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분석론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분석론 (Loan 4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홍사만 洪思滿, 저 유장옥, 저 김지은, 저 강덕구, 저 배용득, 저 강병주, 저 瀧口惠子, 저 민영란, 저 염철, 저 이영자, 저 오선영, 저 石堅, 저 박향화, 저 김소야, 저 이소영, 저
Title Statement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분석론 / 홍사만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역락,   2009  
Physical Medium
609 p. : 삽화 ; 24 cm
ISBN
9788955566529
General Note
공저자: 유장옥, 김지은, 강덕구, 배용득, 강병주, 다키구치 게이코, 민영란, 염철, 이영자, 오선영, 슬지엔, 박향화, 김소야, 이소영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608-609
000 01372namcc2200469 c 4500
001 000045519762
005 20120723141058
007 ta
008 090429s2009 ulka b h000c kor
020 ▼a 9788955566529 ▼g 937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jpn ▼a chi ▼a fre ▼a uzb
082 0 4 ▼a 410 ▼2 22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2009
245 1 0 ▼a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분석론 / ▼d 홍사만 [외]
260 ▼a 서울 : ▼b 역락, ▼c 2009
300 ▼a 609 p. : ▼b 삽화 ; ▼c 24 cm
500 ▼a 공저자: 유장옥, 김지은, 강덕구, 배용득, 강병주, 다키구치 게이코, 민영란, 염철, 이영자, 오선영, 슬지엔, 박향화, 김소야, 이소영
504 ▼a 참고문헌: p. 608-609
546 ▼a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우즈벡어가 혼합 수록됨
700 1 ▼a 홍사만 ▼g 洪思滿, ▼e▼0 AUTH(211009)113628
700 1 ▼a 유장옥, ▼e
700 1 ▼a 김지은, ▼e
700 1 ▼a 강덕구, ▼e
700 1 ▼a 배용득, ▼e
700 1 ▼a 강병주, ▼e
700 1 ▼a 瀧口惠子, ▼e▼0 AUTH(211009)91419
700 1 ▼a 민영란, ▼e
700 1 ▼a 염철, ▼e
700 1 ▼a 이영자, ▼e
700 1 ▼a 오선영, ▼e
700 1 ▼a 石堅, ▼e▼0 AUTH(211009)64992
700 1 ▼a 박향화, ▼e
700 1 ▼a 김소야, ▼e
700 1 ▼a 이소영, ▼e
890 ▼b 900농
900 1 0 ▼a 농口惠子, ▼e
900 1 0 ▼a 다키구치 게이코, ▼e
900 1 0 ▼a 슬지엔,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2009 Accession No. 1115359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0년대에 와서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국내 대학에는 중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로부터 한국어를 연구하고자 내한하는 외국 유학생들이 급증했다. 한편으로는 외국어를 전공하는 우리나라 학생들 중에도 우리말과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몽골어, 우즈벡어 등과의 대조 분석적 논문을 쓰려는 사람이 늘어났다.
이 책은 필자의 재임 기간 동안 교내외에서 함께 대조언어학을 탐색해 온 문하연구자들의 논문을 모아 엮은 것이다. 주로 한.일어와 한.중어 대조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한.불어, 한.우즈벡어의 대조론도 실렸다. 연구 주제는 문법론(형태론.통사론)이 중심이 되나, 어휘론과 음운론, 번역학과 사회언어학적 논고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다. 문법론 분야만 보더라도 조사론, 피동문, 상(aspect). '하다' - 동사론, 접속어미, 화제(topic) 구문, 이동 동사, 부정 구문, 관사론, 격범주론 등 다채로운 색태를 띠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홍사만(지은이)

대구출생 경북대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 일본 쓰쿠바(筑波)대학 대학원 문예ㆍ언어학계 문학박사 시마네(島根) 현립대학 교류교수 쓰쿠바대학 연구조직 객원연구원 경북대 문리대, 인문대 교수 한국어문학회, 언어과학회, 한국문학언어학회 회장 현 경북대 명예교수, 중국 산동(山東)대학 강의 초빙교수 [저서] <국어 특수조사론>(학문사, 1983) <국어 어휘의미 연구>(학문사, 1985) <언어학 개설>(공저, 학문사, 1985) <신언어학 개론>(공저, 학문사, 1987) <한ㆍ일어 비교 문법론>(경북대 출판부, 1988) <한국어 독본>(편저)(경북대 어학연구소, 1993) <한ㆍ일어 대조언어학/논고>(탑출판사, 1994) <국어 의미론 연구>(형설출판사, 1994) <우리말과 글의 이해>(경북신학교, 1995) <現代韓國語敎本>(영한문화사, 2000) <표준 한국어 교본>(공저, 경북대 어학당, 2001)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역락, 2002) <한ㆍ일어 대조분석>(역락, 2002) <국어 어휘의미의 사적 변천>(한국문화사, 2003,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쉽게 고쳐 쓴 우리 민법>(공저, 국립국어연구원, 2003) <북한 문화어 어휘 연구>(경북대 출판부, 2004) <한ㆍ일어 언어문화 대조연구>(공저, 역락, 2005) <국어 의미 분석론>(한국문화사, 2008)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 분석론>(공저, 역락, 2009) <국어 형태ㆍ의미의 탐색>(공저, 역락 2009, *문화체육 관광부 우수 학술 도서) [역서] <변형 생성문법 개론>(공역, 형설출판사, 1975) <생성ㆍ구조이론의 언어교육론>(공역, 창학사, 1976) <생성 변형문법 입문>(공역, 학문사, 1979) [논문] “외연적 함의와 내포적 함의”(<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1987) 등 108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5
제1편 한국어와 일본어 대조론
 한ㆍ일어 대조론'의 분석(1) - 조사의 분포와 기능 대조 / 홍사만 = 13
 한ㆍ일 수동 구문의 대조 연구 / 유장옥 = 71
 한ㆍ일어 시상 형태에 관한 의미 기능 연구 / 강덕구 = 103
 한ㆍ일어 호칭어 대조 연구 / 강병주 = 147
 한국어 '하다' 동사와 일본어 'する' 동사의 대조 연구 / 다카구치 게이코(瀧口惠子) = 185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사전'에서의 기술 방법론 연구 - 한국어 연결어미 '-어서'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 오선영 = 219
제2편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론
 한ㆍ중 화제 구문 대비 연구 / 배용득 = 257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동동사 대조 연구 - '오르다'와 '上'를 중심으로 / 염철 = 289
 한ㆍ중 동형이의어의 의미 대조 연구 / 민영린 = 319
 중국 이중언어 사용자의 언어사용에 대한 일고찰 - 일ㆍ미 이중언어 사용자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 이영자 = 357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介詞)의 대조 연구 - 한국어 격조사 '-로'를 중심으로 / 슬지엔(石堅) = 405
 한ㆍ중어 부정 표현의 대조 연구 - 한국어 '안', '못'과 중국어 "不", "沒(有)" / 박향화 = 443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와 습득에 관한 연구 / 김소야 = 481
제3편 한국어와 프랑스어, 우즈베키스탄어 대조론
 한ㆍ불 번역에서의 관사의 문제 - 주어 명사구를 중심으로 / 김지은 = 521
 한ㆍ우즈벡어의 격표지 비교 연구 / 이소영 = 5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