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청춘예찬 = 5
제1부 청소년심리학의 기초
제1장 청소년기의 정의 = 13
1. 청소년기를 연구하는 이유 = 13
2. 청소년기의 시작과 끝 = 18
3. 청소년헌장 = 27
4. 한국 대학의 청소년 관력 학과의 설치 = 35
5. 청소년지도자 = 39
제2장 청소년연구의 접근 = 57
1. 국내외 전문학술지 = 58
2. 청소년연구의 문제점 = 61
3. 청소년심리학의 연구방법 = 69
제3장 청소년의 신체특성과 스트레스 = 97
1. 성장의 급등 = 97
2. 심리적 영향 = 103
3. 조숙과 만숙 = 104
4. 사회문화적 고려 = 107
5. 청소년과 스트레스 = 109
제2부 청소년기에 대한 각 이론의 관점
제4장 청소년기에 대한 고대의 관점 = 121
1. 플라톤(B.C. 427∼347) = 124
2. 아리스토텔레스(B.D. 384∼322) = 133
3. 중세의 기독교(500/600∼1500) = 143
4. 코메니우스(1592∼1670) = 147
5. 로크(1632∼1704) = 154
6. 루소(1712∼1778) = 159
제5장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관점 = 171
1. 홀(1844∼1924) = 172
2. 게젤(1880∼1961) = 179
3. 바커(1903∼1990) = 186
4. 맥켄들리스(1915∼1975) = 190
제6장 청소년기의 정신분석학적 관점 = 197
1. 프로이트(1856∼1939) = 198
2. 안나 프로이트(1895∼1982) = 223
3. 블로스(1904∼1997) = 232
제7장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관점 = 237
1. 설리번(1892∼1949) = 238
2. 헤비거스트(1900∼1991) = 244
3. 에릭슨(1902∼1994) = 249
4. 마르샤(1937∼ ) = 259
제8장 청소년기의 사회인지적 관점 = 265
1. 피아제(1896∼1980) = 266
2. 콜버그(1927∼1987) = 282
3. 길리건(1936∼ ) = 290
4. 셀먼(1942∼ ) = 298
제9장 청소년기의 문화인류학적 관점 = 307
1. 베네딕트(1887∼1948) = 308
2. 미드(1901∼1979) = 316
제10장 청소년기의 인본 및 실존주의적 관점 = 325
1. 로저스(1902∼1987) = 326
2. 프랑클(1905∼1997) = 335
3. 매슬로(1908∼1970) = 343
제11장 청소년기의 맥락적 또는 생태학적 관점 = 363
1. 레빈(1890∼1947) = 364
2. 브론펜브레너(1917∼ ) = 374
3. 엘더(1934∼ ) = 379
4. 러너(1946∼ ) = 391
제12장 청소년기의 학습이론적 관점 = 401
1. 파블로프(1849∼1936) = 402
2. 스키너(1904∼1990) = 417
3. 반두라(1925∼ ) = 438
제13장 청소년기에 대한 그 외의 관점들 = 453
1. 로빙거(1918∼ ) = 454
2. 엘킨드(1931∼ ) = 461
3. 파울러(1940∼ ) = 469
4. 데이비스(1908∼1997) = 480
참고문헌 = 493
찾아보기 =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