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아동 문제별 놀이치료 : DSM-IV-TR에 따른 증상별 놀이치료

아동 문제별 놀이치료 : DSM-IV-TR에 따른 증상별 놀이치료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andreth, Garry L., 저 Sweeny, Daniel S., 저 Ray, Dee C., 저 Homeyer, Linda E., 저 Glover, Geraldine J., 저 유미숙, 역 이미경, 역 이세연, 역 하승연, 역
서명 / 저자사항
아동 문제별 놀이치료 : DSM-IV-TR에 따른 증상별 놀이치료 / Garry L. Landreth [외] 공저 ; 유미숙 [외] 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09  
형태사항
369 p. ; 24 cm
원표제
Play therapy interventions with children's problems : case studies with DSM-IV-TR diagnoses (2nd ed.)
ISBN
9788963300276
일반주기
공저자: Daniel S. Sweeny, Dee C. Ray, Linda E. Homeyer, Geraldine J. Glover  
공역자: 이미경, 이세연, 하승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lay therapy -- Abstracts Play therapy -- Case studies -- Abstracts Play Therapy -- Case Reports
000 01413camcc2200409 c 4500
001 000045518026
005 20120724102140
007 ta
008 090216s2009 ulk 001c kor
020 ▼a 9788963300276 ▼g 93180
035 ▼a (KERIS)BIB000011568863
040 ▼d 222001 ▼d 21104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2/891653 ▼2 22
085 ▼a 618.92891653 ▼2 DDCK
090 ▼a 618.92891653 ▼b 2009
245 0 0 ▼a 아동 문제별 놀이치료 : ▼b DSM-IV-TR에 따른 증상별 놀이치료 / ▼d Garry L. Landreth [외] 공저 ; ▼e 유미숙 [외] 공역
246 1 9 ▼a Play therapy interventions with children's problems : ▼b case studies with DSM-IV-TR diagnoses ▼g (2nd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09
300 ▼a 369 p. ; ▼c 24 cm
500 ▼a 공저자: Daniel S. Sweeny, Dee C. Ray, Linda E. Homeyer, Geraldine J. Glover
500 ▼a 공역자: 이미경, 이세연, 하승연
500 ▼a 색인수록
650 0 ▼a Play therapy ▼v Abstracts
650 0 ▼a Play therapy ▼v Case studies ▼v Abstracts
650 1 2 ▼a Play Therapy ▼v Case Reports
700 1 ▼a Landreth, Garry L., ▼e▼0 AUTH(211009)11756
700 1 ▼a Sweeny, Daniel S., ▼e
700 1 ▼a Ray, Dee C., ▼e▼0 AUTH(211009)104522
700 1 ▼a Homeyer, Linda E., ▼e▼0 AUTH(211009)38013
700 1 ▼a Glover, Geraldine J., ▼e▼0 AUTH(211009)2738
700 1 ▼a 유미숙, ▼e▼0 AUTH(211009)4005
700 1 ▼a 이미경, ▼e▼0 AUTH(211009)120410
700 1 ▼a 이세연, ▼e▼0 AUTH(211009)101022
700 1 ▼a 하승연, ▼e▼0 AUTH(211009)97559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653 2009 등록번호 11153556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새로운 세대를 살아갈 미래의 주역인 아동과 청소년을 제대로 이해하고 도와주는 일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며, 특히 언어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제한이 있는 아동을 대할 때는 더욱 힘들다. 이러한 순간에 아동과의 만남의 질을 높여 주고 관계를 깊게 하는 매체가 놀이이다. 아동은 놀이를 매체로 하여 이야기하고 표현하며, 놀이치료사는 함께하는 놀이 작업을 통해 아동의 이야기를 들어 주고, 성장을 촉진시킨다.
놀이치료와 증상의 진단이라는 서로 독자적으로 발전한 두 분야를 연결하여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재는 지금껏 개발되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 목마름을 해소시켜 줄 책을 발견하여 반가웠다. 이 책은 아동의 증상을 과학적 준거에 근거하여 이해하고, 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실증적인 논문들을 통해 놀이치료 방법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아동의 다양한 증상과 놀이치료 개입 방법은 우리가 만나는 다양한 아동을 위해 어떠한 치료계획을 세우면 효과적일지를 잘 안내하고 있다. 아울러 임상현장에서 놀이치료 연구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모델들을 소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Garry L. Landreth(지은이)

미국공인상담가(LPC), 공인놀이치료지도감독자(RPT-S) 미국 University of North Texas 놀이치료센터의 설립자이자 상담·발달·고등교육과의 명예교수이며, 놀이치료학회의 명예·지도교수다. 전 세계적으로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대가이며 Virginia Axline(미국 최초의 놀이치료자이며 <딥스>의 저자) 상을 수상하였다. 노스텍사스 대학교 석좌교수로서 2005년 은퇴 후에도 자신을 초청하는 곳이면 한국, 중국, 캐나다, 유럽, 아프리카, 호주 등 세계 어느 곳이든지 기꺼이 날아가서 아동중심 놀이치료와 부모-자녀 관계치료에 대한 특강을 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각 주를 다니면서 아동중심 놀이치료/부모-자녀 관계치료 특강을 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기조연설을 하는 학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97년 한국을 방문하여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부모-자녀 놀이치료 워크숍을 실시한 바 있다.

Linda E. Homeyer(지은이)

Linda E. Homeyer 박사(PhD LPC-S, RPT-S)는 텍사스 주의 샌마르코스 시에 소재한 텍사스 주립대학교 교수로서, 상담 및 리더십, 평생교육 분야의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과 학교상담 등을 가르치고 있다. 텍사스 주 공인상담전문가와 지도감독자 자격을 갖고 있으며, 공식 등록된 놀이치료사 및 지도감독자다. 그녀는 텍사스 주에서 원격 수강의 놀이치료 입문과정을 포함한 놀이치료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미국뿐 아니라 국제학회 및 수련 모임에서 발제자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또한 아동 놀이치료의 옹호자로서, 초창기 놀이치료학회 주 지회의 발족을 도왔으며, 창립 이후 이사 및 다양한 직위로 놀이치료학회와 텍사스협회에 봉사해 왔다. 그리고 두 번의 회장직을 포함하여 6년에 걸쳐 학회 이사로서 재직했다. Play Therapy Intervention with children뭩 Problems(2005)와 The World of Play Therapy Literature(2003)의 공동 저자이며, 다수의 저널과 연구 실적이 있다. Daniel S. Sweeney와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1999)를 공동 편집하였으며, 그녀의 서적들은 중국어, 한국어, 러시아어 및 스페인어로 번역되었다. 현재는 놀이치료, 모래상자치료, 그리고 성적으로 학대받은 아동 관련 분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Daniel S. Sweeney(지은이)

Daniel S. Sweeney 박사(PhD LMFT, LPC, RPT-S)는 오리건 주 포틀랜드 시의 조지폭스 대학교 상담대학원 교수다. 상담 및 상담 프로그램 디렉터이며, 놀이치료연구회 노스웨스트 센터의 설립자이자 이사다. 그는 놀이치료학회의 전 회장이었고 이사직을 맡고 있으며, 공인된 놀이치료사 및 감독자로 등록되어 있으면서 소규모의 개인 상담실도 운영하고 있다. Daniel은 위탁양육기관, 지역사회의 정신건강기관, 개인상담실 그리고 목회상담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아동과 부부, 가족 치료 등의 광범위한 상담 경험이 있다. 그 밖에 놀이치료, 모래상자치료, 부모­자녀 놀이치료 및 외상 중재에 관한 주제로 지역, 국가, 국제회의 등에서 강연을 하였다. 그는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필리핀,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스위스, 독일,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영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및 아르헨티나에서도 주제 강연을 하였다. 부모와 가족, 놀이치료 주제, 아동상담에 관한 논문 및 서적들을 출간하였고, Play Therapy Intervention with Children뭩 Problems(2005), Counseling Children Through the World of Play(1997),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1999) 등 여러 책의 저자 또는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 그의 책은 중국어, 한국어 및 러시아어로 번역되었다. 현재, 아내와 네 명의 성장한 자녀와 함께 오리건 주 포틀랜드 지역에서 살고 있다.

Dee C. Ray(지은이)

노스텍사스대학교 Child and Family Resource Clinic의 소장이자 Counseling Program의 부교수이다.

Geraldine J. Glover(지은이)

미국공인상담가(LPC), 공인놀이치료지도감독자(RPT-S) New Mexico의 Magdalena에 있는 Alamo Navajo 건강클리닉의 아동·청소년 행동 건강부 책임자이자 놀이치료학회의 이사를 맡고 있다.

유미숙(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아동상담전공 석사·박사 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명예교수 ㈜ 원광아동상담센터 대표

이미경(옮긴이)

*학력 수원대학교 가정관리학과(현 아동가족복지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석사) 졸업, 아동상담 전공 University of North Texas 대학원 상담학과(박사) 졸업, 놀이치료 전공/심리학 부전공 현재 Kennedy Krieger Institute Family Center 놀이치료사 *자격증 Registered Play Therapist-Supervisor(RPT-S) National Certified Counselor(NCC) Licensed Clinical Professional Counselor(LCPC: Maryland) Licensed Professional Counselor(LPC: Texas) *임상 경력 현재 Child Psychotherapist, Kennedy Krieger Institute Family Center, Baltimore, Maryland Child Psychotherapist & Program Coordinator, Children First Counseling Center, Grand Prairie, Texas Internship: Child & Family Resource Clinic, Denton, Texas Friends of Family, Denton, Texas Family Place, Dallas, Texas Denton County Children’s advocacy Center, Lewisville, Texas *저서 및 역서 <놀이치료 수퍼비전> <인지행동놀이치료> <아동문제별 놀이치료 개입>

이세연(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석.박사 과정(아동심리치료 전공)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놀이치료실 연구조교

하승연(옮긴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박사 수료(발달심리 전공) 현재 국제디지털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연구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장 학대와 방임
 1. 신체적ㆍ정서적 학대 아동을 위한 퍼펫놀이 = 16
 2. 놀이치료를 통해 심각한 결핍, 탈수증과 혼수상태의 영향 극복하기 = 20
 3. 놀이치료를 통한 학대의 폭로 = 23
 4. 놀이치료가 성 학대 피해 아동의 자아개념과 자아 숙달감에 미치는 영향 = 26
 5. 극심한 방임과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30
제2장 공격성과 행동화
 1. 공격적인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36
 2. 반항성 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와 녹화를 통한 놀이치료 회기에 대한 피드백 = 39
 3. 행동화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43
 4. 사회적 책임감 형성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47
 5. 행동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발달놀이 집단상담 = 51
 6. 심하게 분노 발작하는 유아를 위한 단기놀이치료 = 54
 7. 시설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57
 8. 분노, 두려움, 통제력 관련 행동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60
 9. 행동화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64
 10. 품행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68
 11. 위축되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 대한 놀이치료의 효과 = 71
 12. 적응 문제를 보이는 유치원생에 대한 개별놀이치료와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 74
제3장 애착 문제
 1. 애착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78
 2. 입양된 남아의 애착 향상을 위한 인지적ㆍ반영적ㆍ정신역동적 놀이치료 기법 = 82
제4장 자폐장애
 1. 고기능 자폐 아동을 위한 정신역동적 놀이치료 = 86
 2. 자폐장애 아동을 위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90
제5장 화상
 1. 화상 피해 아동을 위한 다면적 치료 = 94
 2. 화상 피해 아동을 위한 수술 전 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 97
제6장 만성질환
 1. 천식 질환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02
 2.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아동을 위한 개별놀이치료 = 106
제7장 청각장애와 신체장애
 1. 과운동성 간질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 111
 2.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14
제8장 해리와 정신분열증
 1. 정신분열증 남아를 위한 분석학적 놀이치료 = 119
 2. 해리성 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22
 3. 퇴행된 청소년기의 정신분열증 소녀를 위한 놀이치료 = 126
 4. 청소년기 정신병 소녀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 130
제9장 정서장애
 1.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 발달놀이치료 = 134
 2. 경증 소두증 아동의 정서장애와 발모광 치료를 위한 놀이치료 = 137
 3.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140
 4.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개별놀이치료 = 144
제10장 유뇨증과 유분증
 1. 유뇨증과 행동화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와 드라마치료 = 148
 2. 유분증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 놀이치료 = 152
 3. 유분증 아동을 위한 정신역동적 놀이치료 = 155
제11장 두려움과 불안
 1. 불안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60
 2. 발모광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63
 3. 유괴를 두려워하는 아동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한 구조화된 놀이치료 = 166
 4. 가정놀이치료와 배변훈련 = 171
 5. 말더듬이 아동을 위한 단기놀이치료 = 174
 6. 분리불안 아동을 위한 집중적 놀이치료 = 177
제12장 슬픔
 1. 슬픔에 빠진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 182
 2. 퍼펫을 통한 외상적 슬픔의 놀이치료 = 185
 3. 부모와 사별한 아동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188
 4. 큰 슬픔에 빠진 아동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191
제13장 입원
 1. 병원 공포 반응을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196
 2. 심장도관 수술을 앞둔 아동을 위한 단기퍼펫치료 = 200
 3. 입원 아동에 대한 놀이치료의 효과 = 203
 4. 의료적 치료 과정에서 아동이 놀이를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돕기 = 206
 5. 소아과 병원에서의 놀이치료 = 209
 6. 외과 수술을 받는 아동을 위한 퍼펫치료 = 212
 7. 입원 아동에 대한 치료적 놀이의 효과 = 215
제14장 학습장애
 1.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20
 2.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자기주도적 놀이치료의 효과 = 223
 3. 학교에서 낙인찍힌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26
제15장 정신지체
 1.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230
 2. 놀이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지능, 정서,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233
 3. 시설보호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36
 4.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지시적 놀이치료와 비지시적 놀이치료의 효과비교 = 239
제16장 읽기장애
 1. 읽기장애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44
 2. 읽기 기술 향상을 위한 단기 아동 중심 놀이치료 = 248
 3. 읽기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51
 4. 낮은 읽기 성취도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비지시적 놀이치료 = 254
제17장 선택적 함구증
 1. 선택적 함구증 아동을 위한 비지시적 놀이치료 = 259
 2. 선택적 함구증 아동을 위한 개별놀이치료와 형제간 집단놀이치료 = 262
 3. 선택적 함구증 아동을 위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265
제18장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1. 읽기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놀이치료 = 270
 2.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활동놀이치료 = 273
 3. 사회 측정적 지위와 자아개념의 향상을 위한 아동 중심 집단놀이치료 = 275
 4.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278
 5. 집중적 집단놀이가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81
 6. 위기에 처한 학생에 대한 교내 놀이치료의 영향 = 283
제19장 사회 적응 문제
 1. 또래와 형제간에 관계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288
 2.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유아를 위한 자기주도적 놀이치료 = 291
 3. 학교 적응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 294
 4. 초등학생 남아의 사회 적응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297
 5. 이중언어 아동의 자기 통제 발달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301
 6. 학교에서 성격적ㆍ사회적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303
 7. 사회적으로 고립된 아동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306
제20장 언어 문제
 1. 유아의 말하기와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한 비지시적 집단놀이치료 = 310
 2. 언어가 퇴행된 유아를 위한 놀이치료 = 313
 3. 조음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놀이 = 317
 4. 언어적ㆍ사회적 기술, 성격 특성, 지능 향상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 320
 5. 말더듬이 아동의 집단놀이치료 = 323
제21장 심리적 외상
 1. 입원으로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방임 아동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327
 2. 가정 폭력을 목격한 아동을 위한 집중적 놀이치료 = 331
 3. 외상적 신경증으로 고통받는 아동을 위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334
 4. 인종차별은 놀이치료에서 극단적 거부감을 야기한다: 치료자와 아동 간의 쟁점 = 337
 5. 가정 폭력에 노출된 유아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 341
 6. 가정 폭력을 목격한 아동을 위한 집중적 집단놀이치료 = 345
제22장 위축
 1. 극도로 위축된 남아를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350
 2. 위축된 3학년 남아를 위한 조작적 조건화가 적용된 비지시적 집단놀이치료 = 353
 3. 위축된 섭식장애 아동을 위한 행동주의 학습 이론 놀이치료 = 357
 4. 위축 아동을 위한 아동 중심 놀이치료 = 361
찾아보기 = 3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