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간의 모든) 감각 : 우리는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고 이해하는가 (Loan 5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현석
Title Statement
(인간의 모든) 감각 = All human senses : 우리는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고 이해하는가 / 최현석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서해문집,   2009   (2010)  
Physical Medium
296 p. : 삽화 ; 21 cm
Series Statement
인간 개념어 사전
ISBN
9788974833787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703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17666
005 20110601205616
007 ta
008 090421s2009 ggka 001c kor
020 ▼a 9788974833787 ▼g 034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152.1 ▼a 612.8 ▼2 22
085 ▼a 152.1 ▼2 DDCK
090 ▼a 152.1 ▼b 2009
100 1 ▼a 최현석
245 2 0 ▼a (인간의 모든) 감각 = ▼x All human senses : ▼b 우리는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고 이해하는가 / ▼d 최현석 지음
260 ▼a 파주 : ▼b 서해문집, ▼c 2009 ▼g (2010)
300 ▼a 296 p. : ▼b 삽화 ; ▼c 21 cm
440 0 0 ▼a 인간 개념어 사전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116288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211832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310344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512759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116288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211832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310344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2.1 2009 Accession No. 1512759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인간의 모든 ‘감각’을 집대성한 아주 특별한 ‘감각 개념 사전’이다. 사전과 같은 체계적인 분류, 표제어와 같은 소제목의 틀 안에 ‘감각’에 대해 궁금한 것이라면 없는 것 없이 모두 나열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감각과 지각과 인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감각론의 역사, 동물 감각기관의 진화 과정, 인간 감각 능력의 발달 및 노화 과정, 감각과 밀접하게 관련된 우리의 일상생활을 다채롭게 풀어놓았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인간의 모든 ‘감각’을 집대성한 아주 특별한 ‘감각 개념 사전’. 감각과 지각과 인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감각론의 역사, 동물 감각기관의 진화 과정, 인간 감각 능력의 발달 및 노화 과정, 감각과 밀접하게 관련된 우리의 일상생활을 다채롭게 풀어놓았다. 사전과 같은 체계적인 분류, 표제어와 같은 소제목의 틀 안에 ‘감각’에 대해 궁금한 것이라면 없는 것 없이 모두 나열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인간의 모든 감각을 집대성한 아주 특별한
‘감각 개념 사전’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
감각, 감정, 생각 등의 키워드를 통해 인간 종種의 특성을 새롭고도 총체적으로 풀어내고자 하는 자연과학인문서 시리즈, '인간 개념어 사전'. 《인간의 모든 감각》은 그 첫 번째 책으로, ‘감각’을 통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한다.

감각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다
인간의 ‘감각’과 관련한 모든 것을 집대성한 아주 특별한 ‘감각 개념 사전’. 이 책 《인간의 모든 감각》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감각과 지각과 인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감각론의 역사, 동물 감각기관의 진화 과정, 인간 감각 능력의 발달 및 노화 과정, 감각과 밀접하게 관련된 우리의 일상생활을 다채롭게 풀어놓았다.
이 책은 또한 저자가 인간에 대한 고민의 끈을 놓지 않고 내놓는 결과물의 연장선상에 있기도 하다. 저자는 지금껏 《아름다운 우리 몸 사전》, 《유전자의 비밀지도》와 같은 책에서 인간이라는 주제에 천착해 왔고, 그 결과 2007년 《아름다운 우리 몸 사전》을 통해 해부생리 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으로 인체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와 의학대중화에 기여하였기에 그 공로를 인정받아 제39회 동아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 책을 쓰면서 겸손해질 수 있었다는 저자의 말은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기 때문이기도 하리라.
“툭툭 끊어지는 영화 화면을 보면서 연속적인 영상이라고 착각하듯이 일상생활 역시 착각의 연속일 수 있다는 것을 알면 내가 믿었던 것이 사실이 아닐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겸손해집니다. 감각은 태어나서 나이가 들면서 성숙하지만 정점에 달하는 순간 쇠퇴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막상 쇠퇴하는 중에도 사람들은 항상 최상에 있던 감각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개달을 때에도 겸손해집니다.”(머리말에서)

키리코, 쇠라, 라벨
- 감각과 예술의 상관관계

키리코의 그림은 몽환적인 화풍으로 초현실주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그는 편두통에 의한 심한 전조 증상에 시달렸다. 과연 그의 그림은 예술적 상상력이 발현한 결과일까, 아니면 그가 본 현실일까? 쇠라는 화면에 색이 다른 점을 찍어서 햇볕을 받은 순간의 풍경과 동일한 느낌을 보여 주고자 했다. 그는 왜 팔레트가 아닌 시신경에서 색을 섞는 작업을 한 것일까?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은 음악상실증에 걸렸다. 병에 걸린 뒤에도 예전에 자신이 만든 곡을 연주할 수는 있었지만 음악적 심상은 표현되지 않고 머릿속을 맴돌았다. 입력된 음악과 새롭게 표현하는 음악의 차이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세상에서 뇌까지, 뇌에서 마음까지
- 신경세포의 흥분은 어떻게 감각이 되는가?

보다, 듣다, 냄새 맡다, 맛보다, 느끼다… 이와 같은 감각이 일어나는 과정은 곧 외부의 자극이 전기에너지로 바뀌어 전달되는 과정이다. 순차적인 신경세포의 흥분으로 자극이 뇌까지 전달되면서 ‘지각’이 발생한다. 결국 뇌는 전기에너지를 받아들일 뿐이다. 그렇게 몸은 전기로 말을 하고, 마음은 그 전달사항을 분석?해석한다.
사실 뇌에 표상된 지각은 그 사물과 관련된 어떤 것이지 그 사물 자체는 아니다. 감각-지각 과정을 통해 외부 세상의 정보는 신경계가 다룰 수 있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우리의 신경계와 뇌는 우리의 경험을 만들어 가기 때문이다.

착각과 허구의 경험이 만들어내는 실재
망막에는 신경세포가 없어서 이미지가 만들어지지 않는 부분이 있다. 눈을 깜박이는 0.1초의 순간에도 움직이는 대상의 움직임은 끊어져 보이지 않는다. 토막 난 영화 필름은 우리 눈에 연속된 장면으로 보인다. 지극히 정상적인 착각과 환상의 결과다.
그렇게 감각-지각 과정은 감각한 그대로 외부세상을 지각하지 않는다. 또 다시 말하지만 ‘나’의 세상은 나의 신경계와 뇌가 만들어낸 경험. 그렇다면 과연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세상은 실재하는 세상인가, 우리의 뇌가 지각하는 세상인가? 같은 공간에 있는 너와 나의 세상은 동일한가? 또 실재한다고 믿는 세상은 얼마나 허구적인가? 이러한 의문을 가짐으로써 우리가 세상을 지각하는 의식 경험의 폭이 넓어지지 않을까….

‘통섭’, 철학과 과학의 경계에서 지식을 통합하다
- 오래도록 고민한 인식론, 그리고 현대과학의 마지막 개척지, 뇌

《인간의 모든 감각》의 바탕에는 최근 각광받는 뇌 과학이 풀어놓는 감각-지각 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다. 감각-지각-인식을 설명하려는 또 한 가지 학문인 인지심리학 역시 이 책에서 다루는 감각 논의의 연장선상에 있다. 3장 ‘감각론의 역사’에 들어가면 데모크리토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 철학자들이 감각을 어떻게 이해했는지가 인식론에서 발을 뻗어 나와 있다. 신경과학, 심리학, 철학이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틈새를 메우는 자연스러운 통섭이다. 그런가 하면 저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수도 없이 맞닥뜨리는 신체 증세가 왜, 어떤 경로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의학 지식을 쉽게 풀어내었다. 가령 우리가 늘 겪는 우리 몸의 반응이건만 그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연예인의 사생활만큼도 모르고 있기가 일쑤인 귀울림(이명), 멀미, 현기증, 가려움, 통증 등을 다루면서 학문과 일상생활을 자연스럽게 아우르는 유연함을 보여 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최현석(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 및 내과 전공의와 전임의를 마치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교수, 삼성제일병원 내과 과장, 서울현내과 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프라임요양병원을 운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교양으로 읽는 우리 몸 사전》 《인간의 모든 감각》 《인간의 모든 감정》 《인간의 모든 동기》 《인간의 모든 성격》 《인간의 모든 죽음》 등이 있으며, 의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제39회 동아의학상을 수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1. 감각과 지각
 감각 = 13
 지각 = 16
 인식 = 19
 상상 = 21
 감각의 종류 = 24
2. 정상과 비정상
 감각 왜곡 = 29
 잘못된 지각 = 32
 환각제 = 49
 가성환각 = 51
 임사체험 = 52
3. 감각론의 역사
 고대 그리스 시대 = 57
 로마와 중세 시대 = 62
 르네상스와 근대 = 64
 신경학의 탄생 = 66
 뇌 과학과 심리학의 발전 = 69
 현대 감각론 = 72
4. 감각의 진화
 태초의 감각 = 77
 감각기관의 탄생 = 78
 최초의 중추신경 = 79
 생물의 빅뱅 = 81
 시각의 진화 = 82
 육식동물과 초식동물의 눈 = 84
 색감의 진화 = 85
 평형감각과 청각의 진화 = 86
 달팽이관 = 90
 화학적 감각 = 92
 인간의 코 = 95
5. 감각의 발달
 영아의 감각 연구 = 99
 영아의 시각 = 100
 영아의 청각 = 102
 영아의 후각 = 104
 영아의 미각 = 105
 영아의 피부감각 = 106
 영아의 평형감각 = 107
 영아기의 감각 통합 = 108
 자아의 확립 = 110
 음악 감각의 발달 = 112
 시각의 발달 = 115
 미술 감각의 발달 = 116
 평형감각의 발달 = 117
 촉각의 발달 = 118
 미각의 발달 = 120
 근시 = 122
6. 시각
 눈 = 129
 시각신경=시신경 = 132
 '어디에'와 '무엇' 경로 = 134
 시각중추의 기능적 분화 = 138
 정상적인 환상 = 141
 색 = 145
 색에 대한 감각 = 149
 색과 형태 = 151
 선과 형태 = 154
 얼굴 인식 = 157
 공간 = 161
 움직임 = 165
 인공 시각 = 168
7. 청각
 청신경 = 173
 소리의 선택적 지각 = 174
 언어와 음악 = 175
 소리 = 176
 소리의 4요소 = 179
 음악의 요소 = 192
 음치증=음악상실증 = 198
 음악 감상 = 202
 귀울림 = 207
 귀울림의 습관화 = 210
 인공 청각 = 212
8. 평형감각
 전정기관 = 219
 전정신경계 = 221
 고유감각 = 223
 시각신경 = 226
 평형감각의 통합 = 227
 예측과 되먹임 = 228
 전정기관의 반사 작용 = 231
 평형감각과 자율신경 = 232
 멀미 = 234
 메스꺼움과 구토 = 236
 어지럼과 현기증 = 238
9. 후각
 냄새의 특징 = 245
 냄새의 종류 = 246
 후각신경 = 247
 순응과 습관 = 248
 후각과 기억 = 249
 향료 = 251
 후각 혐오 요법 = 252
 악취 = 253
10. 미각
 맛의 종류 = 257
 미각신경 = 259
 미각의 특성 = 261
 향미 = 263
11. 피부감각
 피부감각의 중요성 = 269
 기계감각 = 271
 통각 = 273
 온도감각 = 276
 가려움 = 277
12. 감각의 노화
 시각의 노화 = 283
 청각의 노화 = 285
 평형감각의 노화 = 287
 후각의 노화 = 287
 미각의 노화 = 288
 피부감각의 노화 = 289
찾아보기 = 29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용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