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사회학 제5판 (18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iddens, Anthony, 1938- 김미숙, 역 김용학, 역 박길성, 역 송호근, 역 신광영, 역 유홍준, 역 정성호, 역
서명 / 저자사항
현대 사회학 / 앤서니 기든스 지음 ; 김미숙 [외]옮김
판사항
제5판
발행사항
서울 :   을유문화사,   2009   (2010)  
형태사항
704 p. : 삽화 ; 24 cm
원표제
Sociology (5th ed.)
ISBN
9788932471440
일반주기
역자: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서지주기
참고문헌(p. 657-692)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Sociology
000 01142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515222
005 20110525092850
007 ta
008 090302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32471440 ▼g 93330
035 ▼a (KERIS)BIB000011586356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01 ▼2 22
085 ▼a 301 ▼2 DDCK
090 ▼a 301 ▼b 2009z2
100 1 ▼a Giddens, Anthony, ▼d 1938-
245 1 0 ▼a 현대 사회학 / ▼d 앤서니 기든스 지음 ; ▼e 김미숙 [외]옮김
246 1 9 ▼a Sociology ▼g (5th ed.)
250 ▼a 제5판
260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2009 ▼g (2010)
300 ▼a 704 p. : ▼b 삽화 ; ▼c 24 cm
500 ▼a 역자: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504 ▼a 참고문헌(p. 657-692)과 색인수록
650 0 ▼a Sociology
700 1 ▼a 김미숙, ▼e
700 1 ▼a 김용학, ▼e
700 1 ▼a 박길성, ▼e
700 1 ▼a 송호근, ▼e
700 1 ▼a 신광영, ▼e
700 1 ▼a 유홍준, ▼e
700 1 ▼a 정성호, ▼e
900 1 0 ▼a 기든스, 앤서니,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115345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212100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51273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115345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212100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1 2009z2 등록번호 151273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 사회학>의 다섯 번째 개정판이다. 이 책은 방대한 양의 전문적 지식을 담고 있는 개론서임에도 어렵거나 지루하지 않다. 사회학의 추상적인 개념과 이론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명쾌하고 생생하게 설명하여 배경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5판은 테마별 전개 방식과 세계 여러 사회를 비교하는 다양한 관점 등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고려하여 새로운 자료를 추가해 과감히 수정했다. 지구적 불평등, 장애, 고령화, 생애 과정(life-course)에 걸친 사회화, 네트워크 사회, 테러리즘 등에 대한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으며, 현대 사회의 주요 화두인 빈곤, 사회적 배제, 환경 문제를 비롯하여 젠더, 건강과 질병, 범죄와 일탈, 종교, 인종 갈등,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더욱 심도 있게 탐구했다.

이 책은 순서에 상관없이 각 장을 따로 떼어 읽어도 하나의 완결된 구조로 손색없는 잘 짜인 강의 노트와 같다. 각 장마다 개요, 주제에 대한 탐구, 결론, 요약으로 마무리한 데 덧붙여 더 깊이 사고하기 위한 질문과 읽을거리, 관련 웹사이트까지 충실하게 소개되어 있다. 그 밖에도 텍스트를 보완하는 사진, 표, 그림 등 학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장치를 총동원했다.

사회학계 최고의 석학, 앤서니 기든스의 역작

“이 책으로 기든스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해냈다.
그는 사회학에 대한 최상의 개론서를 발군의 탁월함으로 길어 올렸다.“
- 울리히 벡

세계 지성들이 격찬한, 사회학 입문서의 고전
현대 사회학의 최신 흐름을 반영한 전면 개정판


이 책은 1989년 초판이 출간된 이래 지난 20년간 시대 상황의 변화와 학문적 성장에 따라 새로운 내용을 담아 사회학 개론서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현대 사회학》의 다섯 번째 개정판이다. 저자인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위르겐 하버마스, 울리히 벡 등과 함께 유럽 지성을 대표한다.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끈 중도 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된 《제3의 길》의 저자이기도 한 기든스는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기든스의 《현대 사회학》은 특별하다. “사회학자는 재미없는 학문적 탐구에 그쳐서는 안 되고, 상상력을 동원해 주제에 접근하고 사회학적인 생각과 발견을 자신의 생활 속 상황과 연결해 재미를 부여해야 한다”는 평소의 철학대로 이 책은 방대한 양의 전문적 지식을 담고 있는 개론서임에도 어렵거나 지루하지 않다. 사회학의 추상적인 개념과 이론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명쾌하고 생생하게 설명하여 배경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5판은 이전 판의 성공 요인인 테마별 전개 방식과 세계 여러 사회를 비교하는 다양한 관점 등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고려하여 새로운 자료를 추가해 과감히 수정했다. 지구적 불평등, 장애, 고령화, 생애 과정(life-course)에 걸친 사회화, 네트워크 사회, 테러리즘 등에 대한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으며, 현대 사회의 주요 화두인 빈곤, 사회적 배제, 환경 문제를 비롯하여 젠더, 건강과 질병, 범죄와 일탈, 종교, 인종 갈등,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더욱 심도 있게 탐구했다. 아울러 이런 주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최신의 예제로 대체했다. 또한 현대와 고전의 사회학 이론과 근거 자료를 대폭 보강하여 사회학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이 책은 단순한 입문서를 넘어 현대 사회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

1. 현대 사회학의 이론, 역사적 과정, 조사 연구, 분야별 주요 쟁점을 망라한 종합적인 개론서
2. 전공 학생을 위해 현대 사회학의 최신 이슈를 포한한 전문적 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
3. 다양한 사진과 그림, 표, 사례 연구, 심화 학습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
4. 독자들의 학습 편의를 위해 요점 정리, 풍부한 읽을거리, 다양한 토론 주제를 제시

이 책은 순서에 상관없이 각 장을 따로 떼어 읽어도 하나의 완결된 구조로 손색없는 잘 짜인 강의 노트와 같다. 각 장마다 개요, 주제에 대한 탐구, 결론, 요약으로 마무리한 데 덧붙여 더 깊이 사고하기 위한 질문과 읽을거리, 관련 웹사이트까지 충실하게 소개되어 있다. 그 밖에도 텍스트를 보완하는 사진, 표, 그림 등 학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장치를 총동원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앤서니 기든스(지은이)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김용학(옮긴이)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세대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이자,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 연결망 이론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연구했으며,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 설립위원회, 교육부 BK 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분석》(개정 3판)과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이론》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 《사회구조와 행위》(개정 3판), 《비교사회학》 등이 있다.

박길성(옮긴이)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교육부총장을 역임하였다. 미국 유타 주립대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세계한류학회 회장과 한국사회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호암상위원회 위원이며, 지속 가능미래를 위한 사회협력 네트워크 대표를 맡고 있다.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in South Korea: From Financial Crisis to K-pop》 외 다수의 국내·외 책을 출간하였다.

송호근(옮긴이)

한림대 석좌교수, 도헌학술원 원장. 전 서울대 및 포스텍 석좌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주요 저서로 한국 현대의 기원을 탐구한 《인민의 탄생》, 《시민의 탄생》, 《국민의 탄생》 3부작, 한국 사회를 다각도로 진단한 《열린 시장 닫힌 정치》,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한국의 의료체제》,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 《나는 시민인가》, 《혁신의 용광로》 등과 소설 《강화도》, 《다시, 빛 속으로》, 《꽃이 문득 말을 걸었다》 등이 있다.

신광영(옮긴이)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Precarious Asia: Global Capitalism and Work in Japan, South Korea, and Indonesia(공저)(*영어 부분은 이탤릭체로 해주세요.) 등이 있다.

유홍준(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부룩)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학부대학 학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조직사회학』, 『직업사회학』, 『신경제사회학』(공저), 『현대중국사회』(공저), 『산업사회학』(공저), 『사회문제』(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중국사회계층』, 『현대중국경제사회조사』, 『사회조사방법론』(공역), 『소비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직업 지위 지수」, 「Occupational Structure in China and Its HRD Policy Implications」, 「잡매칭(job matching)이 청년층 노동시장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직무 만족과 이직 의사의 행태학적 결정 요인」, 「한국 제약 산업의 시장 구조에 대한 신경제사회학적 분석」, 「조직 구조의 결정 요인 분석」 등이 있다.

김미숙(옮긴이)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지방화·정보화 시대의 여성』, 『우리 시대 이혼 이야기』(공저), 『21세기 지역사회의 갈길: 청주시의 경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생명 공학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성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산업 고도화와 한일 여성 노동력 성격 변화」, 「한국 여성 노동력의 성격 변화와 노동 정책: 1960~2000」, 「김대중 정권의 가족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산업 혁명기 여성 노동: 방적업의 경우」, 「참여정부의 가족 정책 성격」,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등이 있다.

정성호(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올버니)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중년의 사회학』, 『20대의 정체성』, 『화교』, 『유대인』, 『한국 전쟁과 사회 구조의 변화』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도시 사회학 연구 동향」,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 배경과 실제」,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파장」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 서문 = 5
제5판 서문 = 7
이 책에 대하여 = 9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사회학적 관점 = 22
 사회학적 사고의 발달 = 25
 사회학의 유용성 = 39
2 세계화와 변화하는 세계
 사회의 유형 = 45
 사회 변동 = 52
 세계화 = 56
 결론: 지구적 통치가 필요하다 = 70
3 사회학적으로 묻고 답하기
 사회학적으로 질문하기 = 77
 원인과 결과 이해하기 = 82
 연구 방법 = 84
 실제 세계에서의 연구: 방법, 문제, 유혹 = 90
4 사회학의 이론적 사고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 = 98
 네 가지 이론적 논점 = 100
 최근의 사회학 이론 = 107
 네 명의 현대 사회학자들 = 109
 결론 = 113
5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일상생활
 일상생활 연구 = 119
 비언어적 의사소통 = 120
 상호 작용의 사회적 규칙 = 123
 상호 작용에서의 얼굴, 신체와 말 = 128
 시간과 공간에서의 상호 작용 = 132
 결론: 친근성의 강요 = 141
6 사회화, 생애 과정, 고령화
 문화, 사회, 어린이 사회화 = 147
 젠더 사회화 = 153
 전 생애에 걸친 사회화 = 158
 연로함 = 160
7 가족과 친밀한 관계
 기본 개념 = 184
 역사 속의 가족 = 185
 영국 사회의 가족과 친밀한 관계 = 188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 = 208
 결론: 가족 가치에 대한 논쟁 = 214
8 건강, 질병, 장애
 몸의 사회학 = 220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222
 건강의 사회적 토대 = 233
 장애의 사회학 = 239
9 계층과 계급
 계층 체계 = 251
 계급, 계층 이론 = 254
 계급 측정 = 257
 현대 서구 사회에서의 계급 = 262
 사회 이동 = 274
 결론: 계급의 중요성 = 278
10 빈곤, 사회적 배제, 복지
 빈곤 = 285
 사회적 배제 = 295
 복지 국가 = 301
 결론: 변화하는 세계의 빈곤과 복지 = 309
11 지구적 불평등
 지구적 경제 불평등 = 319
 부자 나라의 삶과 가난한 나라의 삶 = 322
 가난한 나라들은 부유해질 수 있는가? = 327
 세계의 인구 성장 = 341
12 섹슈얼리티와 젠더
 인간의 섹슈얼리티 = 356
 성적 취향 = 367
 젠더 = 372
 젠더 불평등에 대한 관점 = 380
 결론: 젠더와 세계화 = 387
13 현대 사회와 종교
 사회학적 이론과 생각 = 393
 실제의 세계 종교 = 399
 세속화와 종교적 부흥 = 407
 결론 = 415
14 미디어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 = 421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관점 = 429
 편견과 미디어: 글래스고 대학교 연구 집단 = 435
 지구적 시대의 미디어 = 437
 결론 = 444
15 조직과 네트워크
 조직 = 451
 관료제를 넘어서? = 468
 조직과 네트워크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474
 결론 = 478
16 교육
 교육의 중요성 = 485
 교육과 불평등 이론 = 486
 불평등과 교육 = 493
 교육과 새로운 통신 기술 = 501
 결론: 교육의 미래 = 503
17 노동과 경제생활
 노동이란 무엇인가? 유급 노동과 무급 노동 = 509
 노동의 사회적 조직 = 509
 노동의 변화와 일하기 = 513
 일자리 불안정, 실업, 노동의 사회적 중요성 = 533
 결론: 일의 성격이 변질하고 있는가? = 541
18 범죄와 일탈
 기본 개념 = 549
 범죄와 일탈에 관한 사회학 이론 = 550
 범죄의 희생자와 가해자 = 560
 교도소: 범죄에 대한 해법인가? = 566
 결론: 범죄, 일탈과 사회 질서 = 568
19 정치, 정부, 테러리즘 
 정치 사회학의 기본 개념에 관한 쟁점 = 574
 민주주의의 지구적 확산 = 580
 영국의 정당 정치 = 586
 정치 변동과 사회 변동 = 591
 민족주의와 민족에 관한 이론 = 595
 테러리즘 = 600
20 도시와 도시 공간
 도시성에 관한 이론 = 612
 도시의 성장 = 618
 도시와 세계화 = 623
 결론: 도시와 지구적 통치 = 629
21 환경과 위험
 사회학의 쟁점이 된 환경 = 635
 일상의 환경 = 635
 위험, 기술, 환경 = 643
 장래에 대한 전망 = 653
참고 문헌 = 657
찾아보기 = 6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