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제관계론

국제관계론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조순구
Title Statement
국제관계론 / 조순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法文社,   2009  
Physical Medium
x, 534 p. : 삽화 ; 26 cm
ISBN
978891803166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03-534)과 색인수록
000 00609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15218
005 20120814161752
007 ta
008 090408s2009 ggka b 001c kor
020 ▼a 9788918031668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7 ▼2 22
085 ▼a 327 ▼2 DDCK
090 ▼a 327 ▼b 2009z3
100 1 ▼a 조순구 ▼0 AUTH(211009)57121
245 1 0 ▼a 국제관계론 / ▼d 조순구
246 1 1 ▼a International relations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09
300 ▼a x, 534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03-534)과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 2009z3 Accession No. 111534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무대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실들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관한 이론서이자 입문서이다. 수많은 방대한 사건과 사고, 사실들은 이러한 ‘이론적 틀’을 통하여 좀 더 간결하고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그것이 많은 국제관계에 관한 저술들을 전문적으로 배우기 전에 이러한 이론서를 먼저 읽어야 하는 이유이다. (-머리말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순구(지은이)

<국제관계와 한국>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21세기 국제질서의 특징 = 3
 Ⅰ. 전후질서의 붕괴 = 3
 Ⅱ. 21세기 국제질서의 특징 = 4
  1. 제3세계의 문제 = 6
  2. 세계화 = 9
  3. 국가주권의 문제 = 10
  4. 미국의 패권주의 = 11
 Ⅲ. 새로운 유형의 리더십의 필요성 = 15
 Ⅳ. 이 책의 구성 = 19
제2장 국제관계의 본질 = 21
 Ⅰ. 국제관계의 개념 = 21
 Ⅱ.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비교 = 24
  1.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이질성 = 24
  2.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동질성 = 26
  3.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에 있어서 도덕의 문제 = 28
  4.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관계 = 30
 Ⅲ. 국제정치의 연구목적, 대상, 방법 = 31
  1. 국제정치의 연구목적과 대상 = 31
  2. 국제정치의 연구방법 = 31
  3. 자유주의적인 이상주의 = 33
  4. 현실주의 = 37
  5. 신현실주의(neorealism) : 현실주의의 '구조적' 확대 = 42
  6. 신자유(이상)주의(neoliberalism) = 43
  7. 구조(성)주의(급진주의) = 45
 Ⅳ. 21세기의 국제관계학 = 51
제3장 국제정치의 행위주체 = 55
 Ⅰ. 다양한 행위주체 = 55
 Ⅱ. 국가 = 59
  1. 국가의 구성요소 = 59
  2. 국력 = 63
  3. 국력의 평가 = 79
  4. 한국의 국력 = 85
 Ⅲ. 정부간 국제기구 = 87
  1. 국제기구의 개념과 급증 원인 = 87
  2. 국제기구와 국가의 관계 = 89
  3. 국제기구의 역할ㆍ기능과 종류 = 90
  4. 국제연맹 = 92
  5. 국제연합(UN) = 95
  6. 국제연맹과 유엔의 비교 = 105
  7.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 = 108
  8. 유엔과 한국 = 111
  9. 지역적 국제기구 = 113
 Ⅳ. 비국가 행위자 = 116
  1. 비정부(국가) 기구 = 116
  2. 다국적기업 = 122
  3. 그 밖의 비국가 행위자 = 126
  4. 비국가적 행위자들과 국가주권의 약화 = 132
제4장 국가의 정책목표 = 135
 Ⅰ. 국가이익 = 135
 Ⅱ. 현상유지 = 140
  1. 현상유지 정책의 의의 = 140
  2. 현상유지 정책의 종류 = 140
 Ⅲ. 제국주의 = 144
  1. 제국주의의 개념과 이론 = 145
  2. 제국주의의 목적과 수단 = 155
  3. 신(현대)제국주의 = 156
  4. 결론 = 159
 Ⅳ. 민족주의 = 159
  1. 민족주의의 의미 = 160
  2. 민족주의의 유형 = 161
  3. 민족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과정 = 162
  4. 아시아ㆍ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서구 민족주의의 비교 = 166
  5. 세계화와 민족주의 = 171
  6. 세력균형과 민족주의 = 172
제5장 국제정치의 수단 = 175
 Ⅰ. 외교적 수단 = 176
  1. 외교의 의의 = 176
  2. 외교의 방법 = 177
  3. 외교기관 = 182
  4. 외교의 형태 = 188
 Ⅱ. 경제적 수단 = 198
  1. 경제적 수단의 중시 배경 = 198
  2. 경제적 수단의 종류 = 199
 Ⅲ. 문화적 수단 = 208
  1. 문화적 수단의 의의 = 209
  2. 문화제국주의 = 211
  3. 소프트파워의 위력 = 212
  4. 한국의 문화외교 = 212
 Ⅳ. 선전적 수단 = 213
  1. 선전의 의의 = 214
  2. 선전의 중요성 = 214
  3. 선전의 목적과 원칙ㆍ기술 = 215
  4. 선전의 발달사 = 216
 Ⅴ. 테러적 수단 = 217
  1. 테러의 정의 = 218
  2. 테러의 역사 = 223
  3. 테러의 유형 = 224
  4. 테러조직의 형태 = 225
  5. 테러(집단)의 성격 = 227
  6. 최근 테러의 특징 = 230
 Ⅵ. 군사적 수단 = 223
  1. 군사적 수단의 의의 = 233
  2. 군사력의 유지ㆍ확대의 목적 = 235
  3. 군사적 수단의 유형 = 236
  4. 군사적 수단의 한계 = 240
 Ⅶ. 전쟁 = 241
  1. 전쟁의 정의 = 241
  2. 전쟁의 목적 = 242
  3. 전쟁의 원인과 그 유형 = 243
  4. 군사력의 사용의 한계와 원칙 = 244
제6장 국제정치체제의 역사적 전개 = 247
 Ⅰ. 정치학에 있어서의 역사 = 247
  1. 정치학과 역사학 = 247
  2. 사료의 선택과 해석의 중요성 = 249
 Ⅱ. 국제정치사의 의의와 접근법 = 256
  1. 외교사와 국제정치사 = 257
  2. 국제정치사의 접근법 = 259
 Ⅲ. 국제정치체제 = 262
  1. 국제정치체제의 본질 = 262
  2. 국제정치체제의 기원: 베스트팔렌 체제 = 266
 Ⅳ. 국제정치체제의 전개 = 269
  1. 비엔나 체제: 유럽협조(지도)체제(1815∼1870) = 269
  2. 비스마르크체제: 동맹협상체제 또는 제국주의 시대(1870∼1914) = 281
  3. 베르사유 체제: 집단안전보장체제 = 324
  4. 얄타체제: 냉전체제(양극체제) = 360
 Ⅴ. 국제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국제체제: 탈냉전체제 = 385
  1. 국제환경의 변화 = 385
  2. 현 국제체제에 관한 논쟁 = 387
제7장 국제정치경제 = 395
 Ⅰ. 국제정치경제의 개념 = 396
  1. 국제정치경제의 정의 = 396
  2. 국제정치경제의 연구영역 = 401
 Ⅱ. 국제정치경제의 이념 = 401
  1. 자유주의적 시각 = 402
  2. 중상주의적 시각 = 406
  3. 급진주의적 시각 = 409
  4. 3대 시각의 상호비교 = 411
 Ⅲ. 국제정치경제의 요소 = 418
  1. 무역 = 418
  2. 국제금융 = 421
  3. 국제투자(생산) = 427
  4. 국제노동 = 428
 Ⅳ.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천 = 428
  1. 국제통화체제의 변천 = 429
  2. 국제무역체제의 변천 = 465
  3.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 473
  4. 세계무역기구(WTO)의 창립 = 476
 Ⅴ. 결론: 국제정치경제와 한국 = 498
참고문헌 = 503
찾아보기 = 5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