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21세기 국제질서의 특징 = 3
Ⅰ. 전후질서의 붕괴 = 3
Ⅱ. 21세기 국제질서의 특징 = 4
1. 제3세계의 문제 = 6
2. 세계화 = 9
3. 국가주권의 문제 = 10
4. 미국의 패권주의 = 11
Ⅲ. 새로운 유형의 리더십의 필요성 = 15
Ⅳ. 이 책의 구성 = 19
제2장 국제관계의 본질 = 21
Ⅰ. 국제관계의 개념 = 21
Ⅱ.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비교 = 24
1.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이질성 = 24
2.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동질성 = 26
3.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에 있어서 도덕의 문제 = 28
4.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관계 = 30
Ⅲ. 국제정치의 연구목적, 대상, 방법 = 31
1. 국제정치의 연구목적과 대상 = 31
2. 국제정치의 연구방법 = 31
3. 자유주의적인 이상주의 = 33
4. 현실주의 = 37
5. 신현실주의(neorealism) : 현실주의의 '구조적' 확대 = 42
6. 신자유(이상)주의(neoliberalism) = 43
7. 구조(성)주의(급진주의) = 45
Ⅳ. 21세기의 국제관계학 = 51
제3장 국제정치의 행위주체 = 55
Ⅰ. 다양한 행위주체 = 55
Ⅱ. 국가 = 59
1. 국가의 구성요소 = 59
2. 국력 = 63
3. 국력의 평가 = 79
4. 한국의 국력 = 85
Ⅲ. 정부간 국제기구 = 87
1. 국제기구의 개념과 급증 원인 = 87
2. 국제기구와 국가의 관계 = 89
3. 국제기구의 역할ㆍ기능과 종류 = 90
4. 국제연맹 = 92
5. 국제연합(UN) = 95
6. 국제연맹과 유엔의 비교 = 105
7.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 = 108
8. 유엔과 한국 = 111
9. 지역적 국제기구 = 113
Ⅳ. 비국가 행위자 = 116
1. 비정부(국가) 기구 = 116
2. 다국적기업 = 122
3. 그 밖의 비국가 행위자 = 126
4. 비국가적 행위자들과 국가주권의 약화 = 132
제4장 국가의 정책목표 = 135
Ⅰ. 국가이익 = 135
Ⅱ. 현상유지 = 140
1. 현상유지 정책의 의의 = 140
2. 현상유지 정책의 종류 = 140
Ⅲ. 제국주의 = 144
1. 제국주의의 개념과 이론 = 145
2. 제국주의의 목적과 수단 = 155
3. 신(현대)제국주의 = 156
4. 결론 = 159
Ⅳ. 민족주의 = 159
1. 민족주의의 의미 = 160
2. 민족주의의 유형 = 161
3. 민족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과정 = 162
4. 아시아ㆍ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서구 민족주의의 비교 = 166
5. 세계화와 민족주의 = 171
6. 세력균형과 민족주의 = 172
제5장 국제정치의 수단 = 175
Ⅰ. 외교적 수단 = 176
1. 외교의 의의 = 176
2. 외교의 방법 = 177
3. 외교기관 = 182
4. 외교의 형태 = 188
Ⅱ. 경제적 수단 = 198
1. 경제적 수단의 중시 배경 = 198
2. 경제적 수단의 종류 = 199
Ⅲ. 문화적 수단 = 208
1. 문화적 수단의 의의 = 209
2. 문화제국주의 = 211
3. 소프트파워의 위력 = 212
4. 한국의 문화외교 = 212
Ⅳ. 선전적 수단 = 213
1. 선전의 의의 = 214
2. 선전의 중요성 = 214
3. 선전의 목적과 원칙ㆍ기술 = 215
4. 선전의 발달사 = 216
Ⅴ. 테러적 수단 = 217
1. 테러의 정의 = 218
2. 테러의 역사 = 223
3. 테러의 유형 = 224
4. 테러조직의 형태 = 225
5. 테러(집단)의 성격 = 227
6. 최근 테러의 특징 = 230
Ⅵ. 군사적 수단 = 223
1. 군사적 수단의 의의 = 233
2. 군사력의 유지ㆍ확대의 목적 = 235
3. 군사적 수단의 유형 = 236
4. 군사적 수단의 한계 = 240
Ⅶ. 전쟁 = 241
1. 전쟁의 정의 = 241
2. 전쟁의 목적 = 242
3. 전쟁의 원인과 그 유형 = 243
4. 군사력의 사용의 한계와 원칙 = 244
제6장 국제정치체제의 역사적 전개 = 247
Ⅰ. 정치학에 있어서의 역사 = 247
1. 정치학과 역사학 = 247
2. 사료의 선택과 해석의 중요성 = 249
Ⅱ. 국제정치사의 의의와 접근법 = 256
1. 외교사와 국제정치사 = 257
2. 국제정치사의 접근법 = 259
Ⅲ. 국제정치체제 = 262
1. 국제정치체제의 본질 = 262
2. 국제정치체제의 기원: 베스트팔렌 체제 = 266
Ⅳ. 국제정치체제의 전개 = 269
1. 비엔나 체제: 유럽협조(지도)체제(1815∼1870) = 269
2. 비스마르크체제: 동맹협상체제 또는 제국주의 시대(1870∼1914) = 281
3. 베르사유 체제: 집단안전보장체제 = 324
4. 얄타체제: 냉전체제(양극체제) = 360
Ⅴ. 국제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국제체제: 탈냉전체제 = 385
1. 국제환경의 변화 = 385
2. 현 국제체제에 관한 논쟁 = 387
제7장 국제정치경제 = 395
Ⅰ. 국제정치경제의 개념 = 396
1. 국제정치경제의 정의 = 396
2. 국제정치경제의 연구영역 = 401
Ⅱ. 국제정치경제의 이념 = 401
1. 자유주의적 시각 = 402
2. 중상주의적 시각 = 406
3. 급진주의적 시각 = 409
4. 3대 시각의 상호비교 = 411
Ⅲ. 국제정치경제의 요소 = 418
1. 무역 = 418
2. 국제금융 = 421
3. 국제투자(생산) = 427
4. 국제노동 = 428
Ⅳ.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천 = 428
1. 국제통화체제의 변천 = 429
2. 국제무역체제의 변천 = 465
3.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 473
4. 세계무역기구(WTO)의 창립 = 476
Ⅴ. 결론: 국제정치경제와 한국 = 498
참고문헌 = 503
찾아보기 =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