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론
Ⅰ. 特別硏究포럼: 에치오니社會學의 構想力 = 15
1. 總說 = 15
2. 能動的 定向 = 21
3. 理論의 評價基準 = 28
4. 社會構造(The Social Structure) = 31
Ⅱ. 特輯·理念敎育의 再照明: 理念敎育의 基本方向과 方法 = 37
1. 머리말 = 37
2. 社會科學에서의 理念問題 = 38
3. 理念敎育의 方法과 方向 = 41
4. 理想的인 國家의 基準 = 43
5. 맺는말 = 44
Ⅲ. 웨버와 맑스 = 46
1. 緖言: 社會構造와 疎外 = 46
2. 結語 = 50
Ⅳ. 韓國的 福祉模型의 定立에 관한 硏究 = 52
1. 序論 = 53
2. 福祉主義(Welfarism)의 理論的 基礎 = 55
3. 福祉模型과 福祉水準 = 79
Ⅴ. 社會的 平等의 槪念과 規則: 社會政策的 含意 = 83
1. 序論 = 84
2. 社會的 平等의 槪念과 規則 = 87
3. 平等規則과 規範의 適用可能性 = 102
4. 結語: 社會政策的 含意 = 105
제2장 조사연구
Ⅰ. 韓國農村地域社會의 構造와 刷新(Ⅱ) = 115
1. 緖說 = 115
2. 理論, 假說 및 變數 = 116
3. 資料 및 方法(標出 및 資料蒐集) = 121
4. 分析 및 發見事實 = 121
5. 餘論(結論과 討議事項) = 130
Ⅱ. 組織分析에 있어서 體系化에 관한 硏究 = 135
1. 緖論 = 135
2. 組織硏究를 위한 模型 = 135
3. 各 要因(變數)의 解明 = 138
4. 結語 = 159
Ⅲ. 議會常任委員會의 專門性 提高方案 = 163
1. 序論 = 163
2. 委員會의 專門性 分析틀 = 167
3. 國會常任委員會의 專門性 現況分析 = 178
4. 國會常任委員會 專門性 提高方案 = 207
Ⅳ. 政治體制와 福祉政策의 産出 = 212
1. 연구의 목적 = 212
2. 政治體制와 社會福祉政策 = 217
3. 우리나라 社會福祉政策의 變化 = 224
4. 結論 = 249
Ⅴ. 意思決定構造에 관한 硏究 = 253
1. 序 = 253
2. 意思決定構造 = 255
3. 意思決定과 價値 = 259
4. 硏究設計와 方法論 = 270
5. 硏究結果의 分析 = 276
6. 結語 = 289
Ⅵ. 統一政策論意 = 299
1. 서론 = 299
2. 설명과 예측의 구조적 특질 = 300
3. 국제관계 일반이론 = 302
4. 남북한관계의 구조적 특성 = 308
5. 북한내부의 변화가능성과 총리회담 재개가능성: 하나의 시나리오 = 311
Ⅶ. 노동정책 = 324
1. 정책비교의 의의와 그 기준 = 324
2. 노동문제의 성격과 노동정책 = 326
3. 각 정당의 노동정책 비교 = 328
4. 새 정부의 정책과제 = 334
제3장 외국어논문
Ⅰ. An Unfinished Symphony: Dissensus Toward Consensus? = 343
Ⅱ. Democratic Transition and Civil-Military Relations: Partnership or Confrontation? = 350
1. Introduction = 350
2. Nature of Civil-Military Relations = 353
3. Democratic Transition = 356
4. Conclusion: A Future Scenario =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