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신경과학의 소개 = 1
신경과학이란 무엇인가 = 2
신경계의 분석 = 4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 4
책의 구성 = 4
세포 수준 = 5
사람신경계의 발달 = 5
몸신경계와 자율신경계 = 5
신경계의 영역 = 5
지지계통 = 6
신경해부학의 소개 = 6
세포 수준 신경해부학 = 7
말초신경계통 = 7
뇌줄기와 소뇌 영역 = 9
대뇌 = 11
지지 계통 = 14
혈관해부학 = 17
뇌줄기와 소뇌로 혈관 공급 = 19
대뇌반구로 혈관공급 = 19
질별의 발병과 유병 = 23
신경과학의 임상적 적용 = 24
신경학적 평가 = 24
진단 = 25
요약 = 26
CHAPTER 2 신경계에서 세포의 물리적ㆍ전기적 특성 = 29
신경세포의 구조 = 31
신경세포의 구성 = 31
신경세포의 형태 = 32
신경세포에 의한 정보 전달 = 34
안정막전위 = 35
국소전위와 활동전위 = 37
신경세포에서 정보 흐름의 방향 = 45
신경세포 간의 상호작용 = 45
지지세포 = 46
말이집: 임상 적용 = 49
말초신경계 말이집 탈락 = 50
중추신경계 말이집 탈락 = 51
신경 줄기세포 = 52
CHAPTER 3 연접과 연접 전달 = 57
연접의 구성 = 58
연접에서 일어나는 일 = 59
연접 전위 = 60
연접이후 전위 = 60
흥분성 연접이후 전위 = 60
억제성 연접이후 전위 = 62
연접이전 촉진과 억제 = 62
신경전달물질과 신경조절물질 = 63
신경전달물질과 신경조절물질 = 64
연접 수용기 = 66
배위-관문 이온 통로 = 66
이온 통로의 간접적 활동 = 67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연속 = 67
특정수용기 = 70
아세틸콜린 수용기 = 70
글루탐산염 수용기 = 71
GABA 수용기 = 71
아민 수용기 = 71
수용기 조절 = 72
신경전달물질/신경조정자 작용제와 대항제 = 72
연접 기능 장애 = 73
신경근육 이음부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 73
통로 장애 = 74
요약 = 74
CHAPTER 4 신경가역성 = 77
습관화 = 78
학습과 기억: 장기 상승작용 = 78
손상으로부터 세포 회복 = 80
축삭 손상 = 80
연접 변화 = 82
대뇌겉질의 기능적 재구성 = 83
활동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방출의 변화 = 84
뇌 손상에 대한 대사의 영향 = 85
가역성에 대한 재활의 영향 = 86
요약 = 87
CHAPTER 5 신경계 발달 = 92
자궁에서의 발달 단계 = 92
배아 전 단계 = 92
배아 단계 = 93
태아 단계 = 93
신경계의 형성 = 93
신경관 형성 = 93
다른 발달 구조물에 대한 신경관의 관계 = 94
뇌 형성 = 96
태아 단계 동안 지속적 발달 = 97
세포 수준에서의 발달 = 97
발달 장애: 자궁기와 출생전후기에서 신경계의 손상 = 101
신경관 결함 = 101
앞뇌 기형 = 102
자궁에서 알코올 또는 코카인에 노출 = 102
세포의 비정상적 위치 = 103
정신지체 = 104
뇌성마비 = 104
발달 장애의 요약 = 107
유아기 동안의 신경계 변화 = 107
CHAPTER 6 몸감각계 = 111
말초 몸감각신경세포 = 112
감각 수용기 = 112
몸감각 말초신경세포 = 112
피부지배 = 113
근육골격 지배 = 115
여러 직경의 축삭 기능에 대한 요약 = 118
뇌로 가는 경로 = 118
대뇌겉질로 가는 의식적인 중계 경로 = 120
식별할 수 있는 촉각과 의식적인 고유감각 경로 = 121
식별할 수 있는 통증과 온도, 거친 감각 = 123
발산 경로 = 129
안쪽 통증체계 = 129
소뇌로 가는 무의식적 중계 경로 = 131
고-충실도 경로 = 131
내적 되먹임로 = 132
척수소뇌로의 기능 = 133
요약 = 133
CHAPTER 7 몸감각: 임상적용 = 135
움직임에 대한 몸감각 정보의 영향 = 136
손상을 예방하는 몸감각정보 = 137
몸감각 검사 = 137
빠른 선별검사 = 137
완벽한 몸감각평가 = 140
검사 결과의 해석 = 140
전기진단학적 검사 = 141
감각신경전도 검사 = 141
몸감각 유발전위 검사 = 143
감각 비정상 = 144
고유감각 신경로 병변: 감각 조화운동못함증 = 144
말초신경 병변 = 144
척수영역의 병변 = 144
뇌줄기 영역의 병변 = 146
대뇌영역의 병변 = 148
통증에 대한 임상적 견해 = 148
근육과 관절에서 오는 유해자극 = 148
연관통증 = 148
통증 바탕질 = 149
통증은 어떻게 조절 되는가? = 151
만성 통증 = 156
유해성 만성통증 = 156
신경병적 만성통증 = 156
신경병적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 = 162
만성 통증 증후군 = 165
만성 통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 = 169
두통의 적신호 = 169
요통의 적신호 = 169
요약 = 170
CHAPTER 8 자율신경계 = 177
수용기 = 178
들신경로 = 178
내장기능에 대한 중추조절 = 178
숨뇌와 다리뇌에 의한 자율 기능 조절 = 180
자율신경 조절에서 시상하부, 시상, 그리고 둘레계의 역할 = 180
정보의 통합 = 180
날신경로 = 180
몸운동계와 자율신경 날신경계의 차이 = 180
자율신경 날신경계에 의해 사용되는 신경전달물질 = 181
교감신경계 = 182
교감신경 날신경세포 = 182
교감신경계의 기능 = 183
부교감신경계 = 186
교감과 부교감 신경 기능 비교 = 187
임상적 상관관계 = 187
말초 영역 = 187
척수 영역 = 187
뇌줄기 영역 = 188
대뇌 영역 = 188
CHAPTER 9 운동계: 운동 신경세포 = 193
움직임 조절에서 감각의 영향 = 194
환자-조절 움직임 = 195
운동계 = 195
근육의 구조와 기능 = 196
수축 = 198
힘 생산 = 199
근육의 길이에 적응하는 근육원섬유마디의 수 = 199
근긴장: 수동적 신장에 대한 저항 = 200
관절의 뻣뻣함 = 204
신장 후 수축기전 = 204
아래운동신경세포 = 204
감마 운동신경세포 = 204
알파 운동신경세포 = 204
운동단위 = 205
운동신경세포로 말초감각의 입력 = 205
알파-감마 동시활성화 = 206
척수 영역 = 206
척수에서 운동신경세포 풀 = 206
척수 영역에서의 협응 = 207
보행에 대한 척수조절: 걸음패턴발생기 = 209
반사 = 209
위운동신경세포 = 213
자세와 대동작: 안쪽 위운동신경세포 = 214
비특이성 위운동신경세포 = 220
운동신경세포 병변의 징후 = 223
불완전마비와 마비 = 224
위축 = 224
불수의적 근수축 = 224
비정상적인 근긴장 = 225
아래운동신경세포 질환 = 226
위운동신경세포 증후군 = 227
불완전마비 = 227
움직임의 세밀화 상실 = 228
비정상적인 반사 = 228
만성 위운동신경세포 병변시 움직임 손상 평가 = 234
위운동신경세포 병변의 형태 = 237
척수손상 = 238
뇌졸중 = 238
강직성 뇌성마비 = 239
위운동신경세포 병변의 일반적 특징 = 239
위운동신경세포 병변으로 인한 이차적 손상에 대한 중재 = 239
뇌졸중 후 기능증진 = 241
척수손상 후 과반사증의 치료 = 242
근육위축가쪽경화증 = 243
요약 = 243
CHAPTER 10 바닥핵, 소뇌, 그리고 움직임 = 251
바닥핵 = 252
바닥핵 회로에서 신경전달물질 = 254
바닥핵의 기능 = 254
바닥핵의 병리학 = 255
소뇌 = 265
소뇌의 해부학 = 265
소뇌의 기능적 영역 = 267
소뇌의 임상적 장애 = 269
움직임 = 271
정상 운동조절의 요약 = 271
움직임의 세 가지 기본적 형태 = 272
CHAPTER 11 말초신경계 = 287
말초신경계 = 288
신경얼기 = 289
건강한 신경을 위해서는 움직임이 필수적이다 = 290
신경근육이음부 = 292
말초신경의 이상 = 294
감각 변화 = 294
자율신경 변화 = 294
운동 변화 = 294
퇴행성 변화: 영양 변화 = 294
신경병증의 분류 = 294
말초신경에 대한 외상 손상: 단발신경병증 = 295
여러 곳 단발신경병증 = 299
다발신경병증 = 299
신경근육이음부의 이상 = 301
근육 병변 = 301
전기 진단학 = 302
임상 검사 = 302
임상 적용 = 303
평가 = 303
치료 = 304
요약 = 305
CHAPTER 12 척수 영역 = 309
척수영역의 해부학 = 310
앞뿌리와 뒤뿌리 = 311
척수의 분절 = 313
척수신경과 가지 = 313
척수의 내부구조 = 315
뇌(척수)막 = 316
척수내 중추신경계의 움직임 = 317
척수의 기능 = 317
척수 사이신경세포의 분류 = 318
척수의 운동 협응 = 319
발디딤 유형 발생기 = 320
반사 = 323
억제 회로 = 324
골반기관의 기능에 대한 척수의 조절 = 325
분절기능 = 328
수직 신경로 기능 = 328
분절기능과 수직 신경로 기능 = 328
분절기능 이상 징후 = 328
수직 신경로 기능 이상 증후 = 329
말초영역 손상과 척수영역 손상 감별하기 = 330
척수영역 증후군 = 330
척수영역 기능이상이 골반 기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 333
외상성 척수손상 = 334
만성 척수손상에서 비정상적 사이신경세포 활동 = 335
척수손상의 분류 = 336
신경학적 수준 결정 = 337
척수손상에서 자율신경 기능이상 = 337
척수손상에 대한 예후와 치료 = 339
척수영역 기능에 영향을 주는 특수한 질환들 = 340
발달학적 장애 = 340
척수영역의 위험 징후 = 343
요약 = 344
CHAPTER 13 뇌신경 = 351
Ⅰ 뇌신경: 후각신경 = 352
Ⅱ 뇌신경: 시각신경 = 352
Ⅲ, Ⅳ, Ⅵ 뇌신경: 눈돌림, 도르래, 가돌림신경 = 355
눈 움직임 조절 = 355
눈 움직임의 협응 = 356
Ⅲ 뇌신경의 부교감신경섬유 = 357
동공, 공감, 조절 반사 = 357
Ⅴ 뇌신경: 삼차신경 = 358
Ⅶ 뇌신경: 얼굴신경 = 362
Ⅷ 뇌신경: 속귀신경(안뜰달팽이신경) = 362
달팽이 = 362
중추신경계 내에서의 청각 기능 = 365
Ⅸ 뇌신경: 혀인두신경 = 366
Ⅹ 뇌신경: 미주신경 = 367
XI 뇌신경: 더부신경 = 368
XII 뇌신경: 혀밑신경 = 368
삼키기와 말하기에 관여하는 뇌신경 = 368
삼키기 = 368
말하기 = 368
뇌신경 아래운동신경세포를 조절하는 체계 = 369
운동 뇌신경의 내림 조절 = 369
뇌신경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 370
후각신경 = 370
시각신경 = 370
눈돌림신경 = 370
도르래신경 = 371
삼차신경 = 371
가돌림신경 = 372
안쪽세로다발 = 372
얼굴신경 = 373
속귀신경과 청각계 장애 = 373
혀인두신경 = 375
미주신경 = 375
더부신경 = 375
혀밑신경 = 375
삼킴곤란 = 375
말더듬증 = 375
뇌신경 검사 = 375
요약 = 375
CHAPTER 14 뇌줄기 영역 = 383
뇌줄기 해부 = 384
뇌줄기의 수직 신경로 = 384
뇌줄기의 세로 부분 = 384
그물체 = 386
그물핵과 신경전달물질 = 386
앞쪽 뒤판영역: 도파민 = 387
다리다리뇌핵: 아세틸콜린 = 387
솔기핵: 세로토닌 = 388
청색반점과 안쪽그물영역: 노르에피네프린 = 389
오름그물활성계에 의한 의식조절 = 389
숨뇌 = 389
숨뇌의 겉모양 = 390
아래숨뇌 = 390
위숨뇌 = 390
숨뇌의 기능 = 391
다리뇌 = 392
중간뇌 = 392
다리 바닥부분 = 392
중간뇌뒤판 = 392
중간뇌덮개 = 394
소뇌 = 394
뇌줄기 영역의 장애 = 394
수직 신경로 징후 = 394
생명기능의 장애 = 395
뇌줄기 영역의 네 가지 기능이상 = 395
의식장애 = 396
뇌줄기의 종양 = 396
뇌줄기의 허혈 = 397
요약 = 400
CHAPTER 15 평형계와 시각계 = 403
평형계 = 404
안뜰기관 = 404
중추안뜰계 = 407
운동조절에서 안뜰계의 역할 = 407
안뜰핵의 연결 = 407
시각계 = 410
시력: 망막에서 대뇌겉질로 전달되는 정보 = 410
시각정보 처리과정 = 411
눈 움직임 = 411
눈 움직임 형태 = 412
지각: 대뇌겉질에서 억제 시각 - 안뜰의 상호작용 = 417
안뜰과 시각계의 질환 = 417
안뜰계의 질환 = 418
시각계 질환 = 422
눈 운동계의 질환 = 423
멀미 = 424
안뜰계 검사 = 424
어지러움에 대한 감별 = 424
안뜰기능 검사 = 424
자세조절, 이행 움직임, 그리고 보행 검사 = 425
협응검사 = 426
감각검사 = 426
양성 발작체위성 어지러움을 위한 머리위치 검사 = 426
안뜰-안구반사 검사 = 427
시각과 눈 움직임 검사 = 428
안뜰질환 재활 = 430
CHAPTER 16 대뇌 = 439
사이뇌 = 440
시상 = 440
시상하부 = 441
시상상부 = 442
시상밑부 = 442
겉질밑 구조 = 442
겉질밑 백색질 = 442
바닥핵 = 443
대뇌겉질 = 445
대뇌겉질의 매핑 = 446
대뇌겉질의 국소화된 기능 = 447
둘레계 = 451
둘레계의 연결 = 453
감정기능과 기억기능 = 453
감정과 행동 = 454
심리와 신체의 상호작용 = 455
기억 = 457
서술적 기억 = 457
절차적 기억 = 459
의사소통 = 459
대뇌 우세성 = 461
지각 = 461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 = 461
시각정보의 사용 = 463
의식 = 463
요약 = 463
CHAPTER 17 대뇌: 임상 적용 = 467
대뇌시스템의 손상 위치 = 468
시상 손상 = 468
겉질밑 백색질의 병변 = 468
바닥핵 장애 = 469
대뇌겉질의 특정 영역 장애 = 469
감정 장애 = 473
기억 장애 = 474
언어 장애 = 475
비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 475
무시 = 476
시각정보를 사용하는 능력의 장애 = 478
반대쪽 밀기 = 479
대뇌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과 장애 = 479
자폐 스펙트럼 장애 = 479
간질 = 480
지능 장애 = 480
외상성 뇌손상 = 482
뇌졸중 = 483
종양 = 484
정신질환 = 485
정신분열증 = 485
대뇌 기능 검사 = 485
요약 = 489
CHAPTER 18 혈액 공급과 뇌척수액계 = 497
뇌척수액계 = 499
뇌실 = 500
수막 = 500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 = 500
뇌척수액의 임상 질환 = 501
혈액 공급 장애 = 503
뇌졸중의 형태 = 503
동맥위치에 따른 뇌졸중의 징후와 증상 = 506
혈관형성과 관련된 질병들 = 509
뇌척수액 역학 = 509
혈액뇌장벽 = 509
대뇌 혈류 = 510
대뇌부종 = 510
뇌압의 증가 = 510
갈고리 탈출 = 510
중앙 탈출 = 511
편도 탈출 = 511
대뇌 혈류의 실험적 평가 = 511
정맥계 = 512
요약 =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