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거시경제학 : 기원, 전개 그리고 현재

현대거시경제학 : 기원, 전개 그리고 현재 (Loan 10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nowdon, Brian Snowdon, Brian, 저 Vane, Howard R., 저 박만섭, 역 배인철, 역 이상호, 역 강성진, 역
Title Statement
현대거시경제학 : 기원, 전개 그리고 현재 / [Brian Snowdon] , [Howard R. Vane 저] ; 박만섭 [외]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울경제경영,   2009  
Physical Medium
xviii, 778 p. : 삽화 ; 27 cm
Varied Title
Modern macroeconomics : its origins, development and current state
ISBN
9788988106525
General Note
공역자: 배인철, 이상호, 강성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679-761)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acroeconomics Keynesian economics Comparative economics
000 01196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513931
005 20120818144427
007 ta
008 090313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88106525 ▼g 93320
035 ▼a (KERIS)BIB000011601267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9 ▼2 22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09
100 1 ▼a Snowdon, Brian
245 1 0 ▼a 현대거시경제학 : ▼b 기원, 전개 그리고 현재 / ▼d [Brian Snowdon] , ▼e [Howard R. Vane 저] ; ▼e 박만섭 [외] 공역
246 1 9 ▼a Modern macroeconomics : ▼b its origins, development and current state
246 3 0 ▼a 거시경제학
260 ▼a 서울 : ▼b 서울경제경영, ▼c 2009
300 ▼a xviii, 778 p. : ▼b 삽화 ; ▼c 27 cm
500 ▼a 공역자: 배인철, 이상호, 강성진
504 ▼a 참고문헌(p. 679-761)과 색인수록
650 0 ▼a Macroeconomics
650 0 ▼a Keynesian economics
650 0 ▼a Comparative economics
700 1 ▼a Snowdon, Brian, ▼e
700 1 ▼a Vane, Howard R., ▼e
700 1 ▼a 박만섭, ▼e
700 1 ▼a 배인철, ▼e
700 1 ▼a 이상호, ▼e
700 1 ▼a 강성진,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115340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11534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512734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115340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11534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9 2009 Accession No. 1512734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ⅶ
감사의 글 = xi
1장 현대거시경제학의 이해 = 1
 1.1 거시경제학의 문제와 사상 = 1
 1.2 경제이론의 역할과 이론적 논쟁 = 3
 1.3 정부의 목표, 도구, 그리고 역할 = 6
 1.4 대공황 = 9
 1.5 케인즈와 거시경제학의 탄생 = 13
 1.6 케인즈주의적 합의의 흥망성쇠 = 15
 1.7 이론적 정신분열증과 신고전파 종합 = 19
 1.8 케인즈 이후의 거시경제학 학파 = 24
 1.9 새정치거시경제학 = 29
 1.10 경제성장 연구의 부흥 = 32
2장 케인즈 대 '구'고전학파 모형 = 35
 2.1 서론 = 35
 2.2 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36
 2.3 고용과 산출량의 결정 = 38
 2.4 세의 법칙 = 44
 2.5 화폐수량설 = 48
 2.6 케인즈의《일반이론》 = 52
 2.7《일반이론》해석 = 54
 2.8 케인즈의 주요 명제 = 55
 2.9 케인즈의 노동시장 분석 = 62
 2.10 케인즈의 세의 법칙 거부 = 65
 2.11 케인즈와 화폐수량설 = 66
 2.12 케인즈에 대한 세 가지 중요한 해석 = 66
 2.13 '신'케이즈연구 = 71
 2.14 대공황의 원인과 결과 = 72
 2.15 전비 부담 문제 = 78
 2.16 케인즈와 국제거시경제학 = 79
 2.17 케인즈의 유산과 고전학파의 부활 = 81
3장 정통파 케인즈주의 학파 = 97
 3.1 서론 = 97
 3.2 정동파 케인즈주의 학파 = 98
 3.3 폐쇄경제 IS-LM 모형 = 98
 3.4 케인즈주의 모형에서 과소고용균형 = 108
 3.5 IS-LM 개방경제 모형 = 116
 3.6 필립스 곡선과 정통파 케인즈주의 경제학 = 127
 3.7 정통파 케인즈주의의 중심 명제들 = 135
4장 정통파 통화주의 학파 = 155
 4.1 서론 = 155
 4.2 화폐수량설 접근법 = 157
 4.3 기대를 고려한 필립스 곡선 분석 = 166
 4.4 국제수지설 및 환율 결정에 관한 통화주의적 접근법 = 177
 4.5 정통파 통화주의 학파와 안정화 정책 = 181
5장 새고전학파 = 209
 5.1 서론 = 209
 5.2 루커스의 영향 = 210
 5.3 새고전학파 모형의 구조 = 213
 5.4 균형경기변동이론 = 224
 5.5 새고전학파 접근법의 정책적 함의 = 230
 5.6 평가 = 253
6장 실물경기변동학파 = 281
 6.1 서론 : 제1호 새고전파 거시경제학의 사멸 = 281
 6.2 통화적 균형경기변동이론에서 실물적 균형경기변동이론으로의 이행 = 282
 6.3 역사적 시각에서 본 실물경기변동이론 = 284
 6.4 순환과 임의보행 = 287
 6.5 공급측 충격 = 290
 6.6 경기변동 : 그 주요 특징과 정형화된 사실들 = 291
 6.7 실물경기변동이론 = 293
 6.8 실물경기변동이론의 구조 = 295
 6.9 기술충격 = 298
 6.10 실물경기변동 총수요-총공급 모형 = 300
 6.11 모형의 캘리브레이션 = 305
 6.12 실물경기변동이론과 화폐의 중립성 = 306
 6.13 기술충격의 측정 : 솔로 잔차 = 309
 6.14 실물경기변동이론과 정형화된 사실들 = 311
 6.1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정책적 함의 = 314
 6.16 실물경기변동이론 비판 = 315
 6.17 대공황에 관한 실물경기변동이론의 견해 = 319
 6.18 평가 = 321
7장 새케인즈학파 = 339
 7.1 케인즈주의 경제학의 몰락과 성장 = 339
 7.2 케인즈의 부활 = 341
 7.3 새케인즈학파 경제학 = 343
 7.4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의 핵심 명제와 특징 = 345
 7.5 명목수준의 경직성 = 348
 7.6 돈부시의 오버슈팅 모형 = 358
 7.7 실질수준의 경직성 = 359
 7.8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 이론 = 377
 7.9 이력현상과 NAIRU = 381
 7.10 새케인즈학파 경제학과 정형화된 사실들 = 388
 7.11 정책적 함의 = 389
 7.12 LM 곡선 없는 케인즈주의 경제학 = 403
 7.13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에 대한 비판 = 407
 7.14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에 대한 평가 = 411
8장 포스트케인지언 학파 = 433
 8.1 서론 = 433
 8.2 유효수요원리의 중요성 = 435
 8.3 분류 = 437
 8.4 세의 법칙에 대한 케인즈의 분류체계 상의 공격 = 438
 8.5 상대가격의 변화가 D₂로 하여금 간극을 메우도록 할 수 있는가? = 439
 8.6 투자지출, 유동성, 화폐의 비중립성 공리 = 441
 8.7 어떤 유형의 경제체계가 화폐계약을 사용할 정도로 '비합리적'인가? = 443
 8.8 정보, 의사결정, 불확실성 = 445
 8.9 의사결정 환경의 분류 = 446
 8.10 케인즈적 불확실성, 화폐, 명시적 화폐계약 = 450
 8.11 결론 = 454
9장 오스트리아 학파 = 457
 9.1 멩거의 관점 = 457
 9.2 자본의 시제적 구조 = 458
 9.3 저축과 경제성장 = 462
 9.4 저축과 투자의 관계 = 465
 9.5 대부자금 시장 = 471
 9.6 완전고용과 생산가능곡선 = 474
 9.7 자본에 기초한 거시경제학의 틀 = 477
 9.8 저축이 유도하는 자본 재구조화 = 479
 9.9 케인즈의 '절약의 역설' 재론 = 482
 9.10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484
 9.11 오스트리아 학파의 분석틀에서 바라본 케인즈주의적 경기후퇴 = 490
 9.12 오스트리아 학파의 이론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493
 9.13 정책과 개혁 = 495
10장 새정치거시경제학 = 497
 10.1 소개 : 정치적인 왜곡과 거시경제적 성과 = 497
 10.2 정책 선택에 있어 정치적인 영향력 = 498
 10.3 정부의 역할 = 501
 10.4 정치가들과 안정화 정책 = 503
 10.5 '정치적 경기변동'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들 : 개요 = 505
 10.6 노드하우스의 기회주의적 모형 = 506
 10.7 히브스의 이념정당 모형 = 511
 10.8 기회주의적 모형과 이념정당 모형의 쇠퇴와 부흥 = 513
 10.9 합리적 정치적 경기변동 = 516
 10.10 합리적 이념정당 이론 = 517
 10.11 기회주의적 행동과 이념정당 행동 : 통합 = 522
 10.12 정치, 시간비일관성, 신뢰성 그리고 평판 = 525
 10.13 정치-경제 모형의 정책적 함의 : 중앙은행의 독립성? = 526
 10.14 정부부채와 재정적자의 정치경제학 = 531
 10.15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불안정성 : 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 = 532
 10.16 경제성장의 정치경제 = 533
 10.17 경제성장을 막는 정치적 장애물 = 538
 10.18 국가의 규모 = 540
 10.19 결론 = 542
11장 경제성장 연구의 부흥 = 557
 11.1 서론 = 557
 11.2 대규모의 소득격차 = 558
 11.3 경제사 예찬 = 561
 11.4 장기로의 회귀 = 562
 11.5 왜 경제성장이 이토록 중요한가 = 566
 11.6 역사적 관점에서 보는 현대 경제성장 = 569
 11.7 성장의 정형화된 사실들 = 571
 11.8 근사적 성장요인 대 근본적 성장요인 = 572
 11.9 해로드-도마 모형 = 574
 11.10 솔로 신고전파 경제성장 모형 = 578
 11.11 경제성장의 원천에 대한 설명 = 587
 11.12 수렴논쟁 = 589
 11.13 솔로 모형을 넘어서 = 595
 11.14 내생적 성장 : 자본축적에 대한 수확불변 = 598
 11.15 내생적 성장 : 아이디어의 경제학 = 599
 11.16 화장된 솔로 모형 : 신고전파의 부활? = 604
 11.17 근본적 성장요인에 대한 강조 = 604
 11.18 제도와 경제성장 = 606
 11.19 무역과 경제성장 = 617
 11.20 지리적 환경과 경제성장 = 622
 11.21 역사 속의 성장 : 통합이론을 찾아서 = 624
 11.22 성장과 발전을 위한 이상적 조건 : 오래된 진리의 재발견 = 627
12장 결론과 회고 = 667
 12.1 서론 = 667
 12.2 20세기 거시경제학의 전개 : 진화인가 반복인가? = 668
 12.3 주요 거시경제적 문제들에 대해 합의가 존재하는가? = 674
참고 문헌 = 679
주제 찾아보기 = 763
인명 찾아보기 = 7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