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ⅶ
감사의 글 = xi
1장 현대거시경제학의 이해 = 1
1.1 거시경제학의 문제와 사상 = 1
1.2 경제이론의 역할과 이론적 논쟁 = 3
1.3 정부의 목표, 도구, 그리고 역할 = 6
1.4 대공황 = 9
1.5 케인즈와 거시경제학의 탄생 = 13
1.6 케인즈주의적 합의의 흥망성쇠 = 15
1.7 이론적 정신분열증과 신고전파 종합 = 19
1.8 케인즈 이후의 거시경제학 학파 = 24
1.9 새정치거시경제학 = 29
1.10 경제성장 연구의 부흥 = 32
2장 케인즈 대 '구'고전학파 모형 = 35
2.1 서론 = 35
2.2 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36
2.3 고용과 산출량의 결정 = 38
2.4 세의 법칙 = 44
2.5 화폐수량설 = 48
2.6 케인즈의《일반이론》 = 52
2.7《일반이론》해석 = 54
2.8 케인즈의 주요 명제 = 55
2.9 케인즈의 노동시장 분석 = 62
2.10 케인즈의 세의 법칙 거부 = 65
2.11 케인즈와 화폐수량설 = 66
2.12 케인즈에 대한 세 가지 중요한 해석 = 66
2.13 '신'케이즈연구 = 71
2.14 대공황의 원인과 결과 = 72
2.15 전비 부담 문제 = 78
2.16 케인즈와 국제거시경제학 = 79
2.17 케인즈의 유산과 고전학파의 부활 = 81
3장 정통파 케인즈주의 학파 = 97
3.1 서론 = 97
3.2 정동파 케인즈주의 학파 = 98
3.3 폐쇄경제 IS-LM 모형 = 98
3.4 케인즈주의 모형에서 과소고용균형 = 108
3.5 IS-LM 개방경제 모형 = 116
3.6 필립스 곡선과 정통파 케인즈주의 경제학 = 127
3.7 정통파 케인즈주의의 중심 명제들 = 135
4장 정통파 통화주의 학파 = 155
4.1 서론 = 155
4.2 화폐수량설 접근법 = 157
4.3 기대를 고려한 필립스 곡선 분석 = 166
4.4 국제수지설 및 환율 결정에 관한 통화주의적 접근법 = 177
4.5 정통파 통화주의 학파와 안정화 정책 = 181
5장 새고전학파 = 209
5.1 서론 = 209
5.2 루커스의 영향 = 210
5.3 새고전학파 모형의 구조 = 213
5.4 균형경기변동이론 = 224
5.5 새고전학파 접근법의 정책적 함의 = 230
5.6 평가 = 253
6장 실물경기변동학파 = 281
6.1 서론 : 제1호 새고전파 거시경제학의 사멸 = 281
6.2 통화적 균형경기변동이론에서 실물적 균형경기변동이론으로의 이행 = 282
6.3 역사적 시각에서 본 실물경기변동이론 = 284
6.4 순환과 임의보행 = 287
6.5 공급측 충격 = 290
6.6 경기변동 : 그 주요 특징과 정형화된 사실들 = 291
6.7 실물경기변동이론 = 293
6.8 실물경기변동이론의 구조 = 295
6.9 기술충격 = 298
6.10 실물경기변동 총수요-총공급 모형 = 300
6.11 모형의 캘리브레이션 = 305
6.12 실물경기변동이론과 화폐의 중립성 = 306
6.13 기술충격의 측정 : 솔로 잔차 = 309
6.14 실물경기변동이론과 정형화된 사실들 = 311
6.1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정책적 함의 = 314
6.16 실물경기변동이론 비판 = 315
6.17 대공황에 관한 실물경기변동이론의 견해 = 319
6.18 평가 = 321
7장 새케인즈학파 = 339
7.1 케인즈주의 경제학의 몰락과 성장 = 339
7.2 케인즈의 부활 = 341
7.3 새케인즈학파 경제학 = 343
7.4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의 핵심 명제와 특징 = 345
7.5 명목수준의 경직성 = 348
7.6 돈부시의 오버슈팅 모형 = 358
7.7 실질수준의 경직성 = 359
7.8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 이론 = 377
7.9 이력현상과 NAIRU = 381
7.10 새케인즈학파 경제학과 정형화된 사실들 = 388
7.11 정책적 함의 = 389
7.12 LM 곡선 없는 케인즈주의 경제학 = 403
7.13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에 대한 비판 = 407
7.14 새케인즈학파 경제학에 대한 평가 = 411
8장 포스트케인지언 학파 = 433
8.1 서론 = 433
8.2 유효수요원리의 중요성 = 435
8.3 분류 = 437
8.4 세의 법칙에 대한 케인즈의 분류체계 상의 공격 = 438
8.5 상대가격의 변화가 D₂로 하여금 간극을 메우도록 할 수 있는가? = 439
8.6 투자지출, 유동성, 화폐의 비중립성 공리 = 441
8.7 어떤 유형의 경제체계가 화폐계약을 사용할 정도로 '비합리적'인가? = 443
8.8 정보, 의사결정, 불확실성 = 445
8.9 의사결정 환경의 분류 = 446
8.10 케인즈적 불확실성, 화폐, 명시적 화폐계약 = 450
8.11 결론 = 454
9장 오스트리아 학파 = 457
9.1 멩거의 관점 = 457
9.2 자본의 시제적 구조 = 458
9.3 저축과 경제성장 = 462
9.4 저축과 투자의 관계 = 465
9.5 대부자금 시장 = 471
9.6 완전고용과 생산가능곡선 = 474
9.7 자본에 기초한 거시경제학의 틀 = 477
9.8 저축이 유도하는 자본 재구조화 = 479
9.9 케인즈의 '절약의 역설' 재론 = 482
9.10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484
9.11 오스트리아 학파의 분석틀에서 바라본 케인즈주의적 경기후퇴 = 490
9.12 오스트리아 학파의 이론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493
9.13 정책과 개혁 = 495
10장 새정치거시경제학 = 497
10.1 소개 : 정치적인 왜곡과 거시경제적 성과 = 497
10.2 정책 선택에 있어 정치적인 영향력 = 498
10.3 정부의 역할 = 501
10.4 정치가들과 안정화 정책 = 503
10.5 '정치적 경기변동'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들 : 개요 = 505
10.6 노드하우스의 기회주의적 모형 = 506
10.7 히브스의 이념정당 모형 = 511
10.8 기회주의적 모형과 이념정당 모형의 쇠퇴와 부흥 = 513
10.9 합리적 정치적 경기변동 = 516
10.10 합리적 이념정당 이론 = 517
10.11 기회주의적 행동과 이념정당 행동 : 통합 = 522
10.12 정치, 시간비일관성, 신뢰성 그리고 평판 = 525
10.13 정치-경제 모형의 정책적 함의 : 중앙은행의 독립성? = 526
10.14 정부부채와 재정적자의 정치경제학 = 531
10.15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불안정성 : 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 = 532
10.16 경제성장의 정치경제 = 533
10.17 경제성장을 막는 정치적 장애물 = 538
10.18 국가의 규모 = 540
10.19 결론 = 542
11장 경제성장 연구의 부흥 = 557
11.1 서론 = 557
11.2 대규모의 소득격차 = 558
11.3 경제사 예찬 = 561
11.4 장기로의 회귀 = 562
11.5 왜 경제성장이 이토록 중요한가 = 566
11.6 역사적 관점에서 보는 현대 경제성장 = 569
11.7 성장의 정형화된 사실들 = 571
11.8 근사적 성장요인 대 근본적 성장요인 = 572
11.9 해로드-도마 모형 = 574
11.10 솔로 신고전파 경제성장 모형 = 578
11.11 경제성장의 원천에 대한 설명 = 587
11.12 수렴논쟁 = 589
11.13 솔로 모형을 넘어서 = 595
11.14 내생적 성장 : 자본축적에 대한 수확불변 = 598
11.15 내생적 성장 : 아이디어의 경제학 = 599
11.16 화장된 솔로 모형 : 신고전파의 부활? = 604
11.17 근본적 성장요인에 대한 강조 = 604
11.18 제도와 경제성장 = 606
11.19 무역과 경제성장 = 617
11.20 지리적 환경과 경제성장 = 622
11.21 역사 속의 성장 : 통합이론을 찾아서 = 624
11.22 성장과 발전을 위한 이상적 조건 : 오래된 진리의 재발견 = 627
12장 결론과 회고 = 667
12.1 서론 = 667
12.2 20세기 거시경제학의 전개 : 진화인가 반복인가? = 668
12.3 주요 거시경제적 문제들에 대해 합의가 존재하는가? = 674
참고 문헌 = 679
주제 찾아보기 = 763
인명 찾아보기 =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