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학과 선택법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학과 선택법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성국 이언영, 저
Title Statement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학과 선택법 / 강성국 지음, 이언영 글·구성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KPub :   케이펍,   2007  
Physical Medium
257 p. ; 23 cm
Series Statement
탐색의 달인 시리즈. 진로탐색
ISBN
9788995497586
000 00662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10821
005 20120903222417
007 ta
008 090323s2007 ulk 000c kor
020 ▼a 9788995497586 ▼g 030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422 ▼2 22
085 ▼a 371.422 ▼2 DDCK
090 ▼a 371.422 ▼b 2007z1
100 1 ▼a 강성국 ▼0 AUTH(211009)114016
245 2 0 ▼a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학과 선택법 / ▼d 강성국 지음, ▼e 이언영 글·구성
260 ▼a 서울 : ▼b KPub : ▼b 케이펍, ▼c 2007
300 ▼a 257 p. ; ▼c 23 cm
440 0 0 ▼a 탐색의 달인 시리즈. ▼p 진로탐색
700 1 ▼a 이언영,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422 2007z1 Accession No. 1115327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직업 선택의 기준으로 적성과 흥미 외에도 사회의 트렌드에 맞는가/ 자신의 직업 가치관에 맞는가/ 다양한 탐색을 하라/ 직장보다 일의 내용을 보라/ 희소성있는 분야를 찾아라 등 여섯 가지를 제시한다.

또한 유망 직업 32가지와 관련학과, 필요한 능력, 성격, 수입, 되는 방법 등을 보기 쉽게 한 페이지씩 제시해 직업을 이해하는 틀을 보여준다. '탐색하기'에서는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직업 현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영상 사이트를 안내한다.

스텝1 나를 알자
입시 제도 자체가 학과 중심으로 바뀌었다. 각 대학에서도 계열별, 학과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학생을 평가한다. 따라서 제도와 학교의 정책을 파악하고, 학생 자신의 실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학습 전략을 짜야 한다. 이미 앞서가는 학생들은 중학교 시절에 미래 직업과 목표 학과를 정해놓고 공부한다.
입시 제도의 기본을 이해한 뒤에는 학생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할 차례다. 인생의 주인공인 본인이 무엇을 하고 싶고, 무엇을 잘하는지를 파악한다면 학과와 직업도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탐색하기'에서는 진로 탐색을 위한 상담기관, 직업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을 안내한다.

스텝3 실전 학과선택
목표 학과를 3개 정도 고른 뒤에 학과별 평가에 들어가자. 학과 선택 체크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무엇을 배우나/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하는가/ 취업률, 평균 수입/취업률이 낮은 학과는 어떻게 하나/ 투자 대비 효과를 파악하라/교수진과 시설을 따지자/이름만 바꾼 학과는 아닌가/ 선택한 학과를 대학별로 비교하라/대학 평가 자료를 검토하자/학교 위치를 확인하라/탐색은 여유있게 학과 선택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대학 입학처를 찾아가는 것이다. 4년 동안 다닐 학교인 만큼 직접 방문해 입학처에서 학교 정보도 듣고 재학생 도우미들의 안내로 학교도 둘러보자. 막연한 대학생활이 훨씬 가깝게 느껴진다.
학과를 고를 때 흔히 범하는 오류는 스스로 학과를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좁은 범위에서 고르거나 너무 막연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시대가 변하고 각 분야가 발전하면서 학과 또한 부모님 세대와는 많은 변화가 있다. 대학 학과는 전국에 1만7천여 개에 달한다. 이 많은 학과는 크게 문과 -인문계열/사회계열/예체능계열/교육계열. 이과 -공학계열/자연계열/의약계열 등 7대 계열로 나뉘고 다시 28개 중계열로 분류된다. 이곳에서는 총 128개 소계열별로 교육 내용과 관련학과, 취업분야와 취업률을 제시, 다양한 학과 정보를 일람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체계적으로 분류된 학과 자료는 전공 분야의 큰 흐름을 잡고 숨어있는 관심 학과, 유망 학과를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탐색하기'에서는 관심있는 학과가 어느 대학에 개설되었는지 보여주는 곳과 입시정보가 망라된 사이트를 안내한다. 학과 정보와 취업 현황, 입시정보를 두루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록에서는 수도권 전철로 연결되는 4년제 대학과 전국 4년제 대학의 위치, 전화번호를 안내한다. 이 책은 학과 선택을 위한 입시 제도의 이해, 학생의 적성 파악, 직업 정보 탐색을 거쳐 학과를 찾기까지 전 과정을 함께하는 가이드 역할을 해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성국(지은이)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실장으로 재직하면서 2004년부터 매년 실시 중인 '대졸자 취업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책을 집필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 박사이고, 교육인적자원부 국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T/F 위원,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인력 중장기 수급 전망 T/F 위원, 노동부인력수급전망 인프라개선 T/F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의 글 = 4
Step 1 나를 알자
 시대가 바뀌었다 = 12
 입시 제도는 학과별 전략을 요구한다 = 16
 합격의 순간, 취업 고민이 시작된다 = 24
 관심 있는 것, 잘하는 것에 나만의 학과가 숨어 있다 = 28
 적성 검사로 학과와 직업을 찾자 = 34
 선택이 쉽지 않을 때 = 37
 학과 공부 외의 길도 있다 = 41
 탐색하기 01 진로 탐색 = 44
Step 2 직업을 알자
 하고 싶은 일과 학과를 연결하라 = 50
 직업 선택의 기준 여섯 가지 = 52
 좋은 직업의 기준도 달라진다 = 56
 무엇이 유망 직업인가 = 59
 유망 직업 32가지와 관련 학과 = 62
 테마로 살펴보는 유망 직업 = 66
  경영ㆍ금융 및 기획 관련직 = 68
  법률 및 공공 서비스 관련직 = 72
  사회복지 관련직 = 74
  교육 및 연구 관련직 = 78
  문화예술 관련직 = 79
  개인 서비스 관련직 = 84
  영업 및 판매 관련직 = 88
  기계 및 재료 관련직 = 89
  화학ㆍ환경 및 섬유 관련직 = 92
  전기ㆍ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 95
 탐색하기 02 직업 탐색 = 100
Step 3 실전 학과선택
 학과 탐색, 이것만은 확인하자 = 104
 입학처 찾아가면 대접 받는다 = 112
 학과 사이트만 봐도 답이 보인다 = 116
 학과는 1만개가 넘는다. 내가 모를 뿐이다 = 118
 학과 정보 - 계열별 취업률, 취업 분야 = 120
  인문 계열 = 122
  사회계열 = 138
  교육 계열 = 154
  예체능 계열 = 164
  공학 계열 = 190
  자연 계열 = 222
  의약 계열 = 244
 탐색하기 03 학과 탐색 = 258
부록
 수도권 지하철로 연결되는 4년제 대학 = 262
 전국 4년제 대학 목록 = 26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