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상주의(Idealism): 1920-1930년대
제1절 이상주의의 등장배경 = 1
제2절 이상주의의 가정과 핵심내용 = 3
제3절 이상주의와 집단안전보장제도 = 6
1. 등장배경 = 6
2. 집단안보의 개념과 다른 개념과의 비교 = 7
3. 집단안보와 약소국 = 9
4. 국제연맹과 국제연합에 있어서의 집단안보제도 = 10
5. 집단안보의 작동조건 = 11
6. 탈냉전기 새로운 집단안보를 위한 제안 = 13
제4절 이상주의에 대한 비판 = 18
제5절 탈냉전시대에 있어서의 이상주의의 적실성 = 19
1. 탈냉전기의 변화와 지속성 = 20
2.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과 신이상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적실성 = 21
제2장 현실주의(Realism) 패러다임
제1절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특징 = 23
1. 현실주의 패러다임 이론들 = 23
2.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가정 = 24
3. 현실주의의 또 다른 이름들 = 26
제2절 전통적 현실주의(Traditional Realism): 1940-1960년대 = 27
1. 전통적 현실주의의 등장배경 = 27
2. 전통적 현실주의의 가정 = 29
3. 전통적 현실주의 이론의 가설 및 명제 = 31
4. 전통적 현실주의의 방법론 = 47
5. 전통적 현실주의의 비판 = 49
제3절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1950-1960년대 = 53
1. 행태주의 이론의 특징과 종류 = 53
2. 국가수준의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이론들 = 61
3. 체제수준의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이론 = 74
4. 후기 행태주의(Post-Behavioralism) = 82
제4절 신현실주의(Neorealism): 1980년대 = 84
1. 신현실주의의 개관 = 84
2. 왈츠의 신현실주의 = 87
3. 패권안정론 : 국제정치경제 영역으로의 확장과 체제변동론 = 131
4. 탈냉전기의 신현실주의의 발전 : 그리코와 미어샤이머 = 151
제5절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 = 157
1. 등장배경 = 157
2. 신고전적 현실주의의 핵심 내용 = 158
3. 쉬웰러의 신고전적 현실주의 = 163
4. 신고전적 현실주의에 대한 평가 = 167
제6절 현실주의의 중요 개념들 = 169
1. 권력 = 169
2. 국가이익(National Interest) = 187
3. 국제체제의 특징 = 189
제7절 주요 문제에 대한 현실주의 관점 = 270
1. 현실주의와 국제제도(International institutions) = 270
2. 현실주의와 세계경제(global economy) = 277
3. 현실주의와 남북문제(North-South Issue) = 281
4. 현실주의와 다국적기업 = 283
5. 현실주의와 세계화 = 284
6. 현실주의와 제국주의 = 289
7. 현실주의와 통합 = 293
8. 현실주의와 냉전의 원인 = 297
제3장 자유주의 패러다임
제1절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특징 = 301
1. 자유주의 패러다임 이론들 = 301
2.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가정 = 303
제2절 외교정책결정 이론 = 316
1. 등장배경과 특징 = 316
2. 제한된 합리성 모델(Limited Rationality Model) = 319
3. 각종 비합리적 행위자 모델(Irrational Actor Model) = 322
4. 정책결정 이론에 대한 평가 = 337
제3절 통합이론 = 338
1. 등장배경과 전개 = 338
2. 통합이론의 공통점과 상치점 = 340
3. 각종 통합이론들 = 341
4. 통합이론의 쇠퇴와 재기 = 358
5. 통합이론의 국제관계 연구에의 공헌 = 362
제4절 연계정치 이론(Linkage Politics Theory) = 363
제5절 초국가론과 초정부론 = 365
1. 등장배경 = 365
2. 초국가론(transnationalism) = 366
3. 초정부론(transgovernmentalism) = 369
4. 초국가론과 초정부론의 비판 = 370
제6절 상호의존론 = 370
1. 등장배경 = 371
2. 상호의존의 개념 = 374
3. 상호의존론의 가정과 이론적 모델 = 375
4. 국제정치 과정의 특징과 가설 및 명제 = 381
5. 상호의존 시대에 있어서의 권력 = 390
6. 상호의존론과 국제기구 및 국제레짐 = 392
7. 상호의존과 자유무역이 국제안보에 미치는 영향 = 393
8. 상호의존론의 적용 예 = 395
9. 상호의존론의 평가 = 397
제7절 세계사회론 = 403
1. 세계사회론의 특징 = 403
2. 대표적인 세계사회론자들 = 405
3. 세계사회론에 대한 평가 = 408
제8절 이슈 패러다임(Issue Paradigm) = 408
1. 이슈 패러다임의 가정 = 409
2. 이슈 패러다임이 다루는 문제들 = 410
3. 이슈의 사이클 = 411
제9절 국제사회론(International Society Theory) = 413
1. 국제사회론의 등장배경 = 413
2. 국제정치관의 분류 = 414
3. 불의 국제정치관 : 국제사회론 = 415
제10절 신자유주의론 = 418
1. 등장배경 = 418
2. 이론의 가정과 적실성의 조건 = 423
3. 주요 개념과 연구의 중점 = 428
4. 신자유주의론의 접근법 = 433
5. 신자유주의 이론의 적용 = 449
6. 신자유주의론의 평가 = 451
제11절 탈냉전기의 자유주의 패러다임 국제정치 이론들 = 476
1. 세계정치의 두 세계론(The Two Worlds of World Politics) = 476
2. 전지구적 시민사회론(Global Civil Society Theory) = 479
3. 전지구적 관리론(Global Governance Theory) = 481
4.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 = 488
제12절 주요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 이론의 관점 = 492
1. 자유주의와 국제기구 = 492
2. 자유주의와 세계경제 = 499
3. 자유주의와 다국적기업 = 503
4. 자유주의와 세계화 = 504
5. 제국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설명 = 508
6. 자유주의와 통합 = 510
7. 자유주의와 냉전의 원인 = 511
제4장 구조주의(Structuralism) 패러다임
제1절 일반적 특징과 등장배경 = 513
1. 일반적 특징 = 513
2. 등장배경 = 515
제2절 이론적 가정 = 516
1. 구조주의의 가정 = 516
2. 타 패러다임과의 구별 = 517
제3절 구조주의의 국제정치관 = 519
1. 국제정치관의 특징 = 519
2. 국제정치에 대한 구조주의 설명의 예 = 521
제4절 전통적 마르크스주의(Classical Marxism)와의 차이 = 522
제5절 각종 구조주의 이론들 = 526
1. 총설 = 526
2. 발전주의자(developmentalists) = 526
3. 종속이론(dependency theory) = 529
4. 세계체제이론(World System Theory : WST) = 533
5. 갈퉁의 구조주의적 제국주의 이론 = 551
제6절 타 패러다임의 국가간 불평등 문제의 해결방법 = 554
제7절 구조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 = 555
제8절 주요 문제에 대한 구조주의의 관점 = 557
1. 구조주의와 국제기구 = 557
2. 구조주의와 세계경제 = 558
3. 구조주의와 다국적기업 = 561
4. 구조주의와 세계화 = 563
5. 구조주의와 제국주의 = 566
6. 구조주의와 통합 = 569
7. 구조주의와 냉전의 원인 = 573
제5장 성찰주의
제1절 성찰주의의 등장배경 = 575
제2절 성찰주의 이론들 = 576
1. 코헤인의 논의 = 576
2. 각종 성찰주의 이론들 = 577
3. 합리주의와 성찰주의의 접목 : 구성주의 = 587
제3절 성찰주의의 평가 = 600
참고문헌 = 601
사항색인 = 623
인명색인 =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