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63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45509299 | |
005 | 20100807115245 | |
007 | ta | |
008 | 090317s2009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53409804 ▼g 93330: ▼c \11,000 | |
040 | ▼d 244002 | |
082 | 0 4 | ▼a 351.0285 ▼2 22 |
090 | ▼a 351.0285 ▼b 2009 | |
100 | 1 | ▼a 윤종현 ▼g 尹鐘炫 |
245 | 1 0 | ▼a 제한적 e-시민참여와 선택적 정부활용 : ▼b Evaluation of E-participation / ▼d 윤종현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9. | |
300 | ▼a 166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123-131)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0285 2009 | 등록번호 1512714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목차 제Ⅰ부 이론 = 11 제1장 전자적 시민참여란 무엇인가? = 13 1. 전자적 시민참여의 개념ㆍ특징 = 13 2. 전자적 시민참여의 필요성 = 15 3. 전자적 시민참여의 등장 배경ㆍ접근 관점 = 17 4. 정책과정별 전자적 시민참여 수준과 수단 = 21 5. 전자적 시민참여의 설명모형 = 24 6. 전자적 시민참여의 기존 논의 = 27 제2장 전자적 시민참여결과 활용이란 무엇인가? = 30 1. 전자적 시민참여결과 활용의 개념ㆍ중요성 = 30 2. 전자적 시민참여결과 활용의 유형 = 30 3. 전자적 시민참여결과 활용의 설명모형 = 32 4. 전자적 시민참여결과 활용의 기존 논의 = 34 제3장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평가란 무엇인가? = 36 1.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평가의 개념ㆍ목적 = 36 2.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평가의 특징ㆍ유형 = 38 3.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평가의 절차 = 41 4.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평가의 기존 논의 = 42 제Ⅱ부 평가 = 47 제1장 전자적 시민참여 지원활동 파악과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 = 49 1. 평가모형의 개발 절차 = 49 2. 정부 문서상모형 및 집행현장모형의 작성 = 51 3. 평가가능모형의 작성 = 57 4. 평가모형의 예비 타당성 조사 = 71 5. 평가항목의 신뢰도 및 구성 타당성의 분석 = 73 제2장 시민들은 얼마나 참여하는가? = 87 1. 평가모형 및 조사방법 = 87 2. 평가항목의 신뢰도 및 구성 타당성 분석 = 89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91 4. 시민참여 및 영향요인의 정도 = 92 5. 시민참여의 양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94 6. 시민참여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97 7. 종합 및 정책적 제언 = 99 제3장 정부는 어떻게 활용하는가? = 103 1. 평가모형 및 조사방법 = 103 2. 평가항목의 신뢰도 및 요인분석 = 107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09 4. 정부 활용 및 영향요인의 정도 = 110 5. 정부 활용 영향요인의 집단 간 특성 비교 = 114 6. 정부 활용 영향요인의 중요도 비교 = 117 7. 종합 및 정책적 제언 = 120 참고문헌 = 123 부록 1_전문가 의견조사 질문지 = 134 부록 2_부서 담당자용 설문지 = 140 부록 3_평가항목의 신뢰도 분석 결과 = 145 부록 4_평가항목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150 부록 5_시민참여결과 활용의 설문지 =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