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원1 기존 세포 과정: 통합과 조정
1 생리학 소개 = 1
1. 생리학적 시스템 = 2
2. 기능과 작용 = 3
3. 항상성 = 4
4. 생리학: 유전체를 넘어서 나아가다 = 6
5. 생리학은 통합과학이다 = 7
6. 생리학의 주제 = 8
7. 과학으로서의 생리학 = 10
7.1 훌륭한 과학적 실험은 철저히 디자인되어야 한다 = 10
7.2 인간에 관한 실험의 결과는 해석하기 곤란한 점도 있다 = 11
7.3 인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 14
8. 과학 문헌의 검색과 읽기 = 15
2 분자 상호작용 = 20
1. 화학 지식의 검토 = 21
1.1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 21
1.2 핵 안에 있는 양성자의 수가 원소를 결정한다 = 22
1.3 동위원소들은 다른 수의 중성자를 가졌다 = 22
1.4 전자들은 원자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 23
2. 분자결합과 모양 = 24
2.1 공유결합은 인접한 2개의 원자가 전자를 공유할 때 형성된다 = 24
2.2 원자들이 전자를 잃거나 얻을 때 이온결합이 형성된다 = 26
2.3 수소결합과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들 사이의 약한 상호작용이다 = 26
2.4 분자 모양은 분자 기능과 관계가 있다 = 27
3. 생체분자들 = 27
3.1 탄수화물은 가장 풍부한 생체분자이다 = 28
3.2 지질은 구조적으로 가장 다양한 생체분자이다 = 28
3.3 단백질은 기능이 가장 많은 생체분자이다 = 31
3.4 어떤 분자들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을 포함한다 = 33
3.5 뉴클레오티드는 에너지와 정보를 보관하고 전달한다 = 34
4. 수용액, 산, 염기 그리고 완충용액 = 36
4.1 모든 분자가 수용액에 녹는 것은 아니다 = 36
4.2 용액의 농도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 36
4.3 몸의 수소 이온 농도는 pH 단위로 표현한다 = 37
5. 단백질 상호작용 = 39
5.1 단백질은 결합하는 분자에 대하여 선택적이다 = 40
5.2 여러 가지 인자들이 단백질의 결합을 변화시킨다 = 41
5.3 조절자는 단백질의 결합과 활성을 바꾼다 = 41
5.4 물리적인 요인들이 단백질을 조절하거나 불활성화한다 = 43
5.5 우리 몸은 세포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양을 조절한다 = 44
5.6 반응속도에는 최대한계치가 존재한다 = 44
3 구획화: 세포와 조직 = 51
1. 몸의 기능적인 구획 = 52
1.1 속이 빈 기관의 내강은 내부 환경의 일부가 아니다 = 52
1.2 몸은 기능적으로 다른 3개의 유동성 구획으로 되어 있다 = 53
2. 생체막 = 54
2.1 세포막은 세포를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킨다 = 54
2.2 막은 대부분 지질과 단백질로 되어 있다 = 55
2.3 막지질은 세포질과 세포외액 사이의 장벽을 형성한다 = 56
2.4 막단백질은 막에 느슨하거나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 56
2.5 막탄수화물은 지질과 단백질에 모두 결합되어 있다 = 59
3. 세포 내 구획 = 59
3.1 세포는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다 = 59
3.2 세포질은 세포기질, 봉입체, 세포소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60
3.3 봉입체는 세포기질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 62
3.4 세포질의 단백질섬유는 세 가지 크기로 존재한다 = 62
3.5 미세소관으로부터 중심소체, 섬모, 편모가 형성된다 = 62
3.6 세포골격은 변화 가능한 지지체이다 = 63
3.7 운동성 단백질은 이동성을 만들어낸다 = 64
3.8 세포소기관은 특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구획을 이루고 있다 = 65
3.9 핵은 세포의 조절중추이다 = 68
4. 몸의 조직 = 69
4.1 세포외 기질은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 70
4.2 세포이음으로 세포가 연결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 70
4.3 상피는 보호와 물질교환의 기능을 한다 = 73
4.4 결합조직은 지지와 장벽의 기능을 한다 = 77
4.5 근육과 신경조직은 흥분성이다 = 80
5. 조직의 재구성 = 82
5.1 세포자살은 세포 죽음의 한 형태이다 = 82
5.2 줄기세포로 새롭게 특성화된 세포를 만들 수 있다 = 82
6. 기 관 = 84
4 세포대사 = 89
1. 생물계에서의 에너지 = 90
1.1 에너지는 일을 하는 데 쓰인다 = 91
1.2 에너지는 운동과 위치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92
1.3 에너지는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 92
1.4 열역학은 에너지 이용에 대한 학문이다 = 93
2. 화학반응 = 93
2.1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에 분자들 사이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 93
2.2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을 개시한다 = 94
2.3 에너지는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축적되거나 방출된다 = 94
2.4 총 자유에너지 변화량은 반응의 가역성을 결정한다 = 95
3. 효 소 = 96
3.1 효소는 전형적인 단백질 상호작용에 참여한다 = 96
3.2 효소는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되거나 해서 조절될 수 있다 = 97
3.3 효소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춘다 = 98
3.4 반응속도는 변수이다 = 98
3.5 가역반응은 질량작용의 법칙을 따른다 = 98
3.6 효소반응은 분류될 수 있다 = 99
4. 대 사 = 101
4.1 세포는 대사 경로를 조절한다 = 101
4.2 ATP는 반응 사이에서 에너지를 전달한다 = 102
5. ATP 생산 = 103
5.1 해당과정은 포도당과 글리코겐을 피루브산으로 전환시킨다 = 103
5.2 무기성 대사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전환시킨다 = 105
5.3 피루브산은 유기성 대사과정에서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간다 = 106
5.4 전자전달계는 NADH와 FADH₂로부터 ATP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 108
5.5 ATP 생성은 수소 이온의 이동과 짝지어져 있다 = 109
5.6 포도당 한 분자의 최대 에너지 생성량은 30∼32개의 ATP이다 = 109
5.7 거대 생체분자는 ATP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109
6. 합성 경로 = 111
6.1 글리코겐은 포도당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 111
6.2 포도당은 글리세롤과 아미노산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 112
6.3 아세틸 CoA는 지질 합성을 위한 중요한 전구물질이다 = 112
6.4 단백질은 세포의 기능을 위한 열쇠이다 = 113
6.5 DNA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이다 = 114
6.6 전사과정 동안 DNA가 자신과 상보적인 mRNA 분자의 합성을 안내한다 = 114
6.7 선택적 이어맞추기는 하나의 DNA 서열로부터 여러 개의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 116
6.8 mRNA의 번역은 하나의 아미노산 연결체를 생성한다 = 118
6.9 단백질의 분류과정으로 단백질의 최종 위치가 결정된다 = 119
6.10 단백질의 최종 구조는 번역후 변형에 의해서 결정된다 = 120
6.11 소포체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분비경로로 들어간다 = 120
5 막의 역동성 = 126
1. 질량 균형과 항상성 = 127
1.1 배출은 몸으로부터 물질들을 제거한다 = 128
1.2 항상성은 평형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 128
2. 확산 = 130
2.1 확산은 분자운동의 에너지만을 이용한다 = 130
2.2 친지질성 분자는 인지질 이중층을 확산으로 통과한다 = 132
3. 단백질 매개수송 = 134
3.1 막단백질은 구조단백질, 효소, 수용체 그리고 수송체로 기능한다 = 134
3.2 채널단백질은 물로 채워진 열린 통로를 만든다 = 135
3.3 운반단백질은 분자를 이동하기 위하여 분자구조를 바꾼다 = 136
3.4 촉진확산은 운반단백질들을 이용한다 = 137
3.5 능동수송은 농도 기울기의 높은 방향으로 물질을 이동한다 = 139
3.6 운반체 매개수송은 포화, 특이성 그리고 경쟁을 나타낸다 = 142
4. 소포 수송 = 144
4.1 식세포작용은 세포골격을 이용하여 소포를 만든다 = 144
4.2 세포내이입은 작은 소포를 만든다 = 145
4.3 세포외유출은 수송체 단백질로 이동하기에 너무 큰 분자를 방출한다 = 146
5. 상피관통 수송 = 147
5.1 포도당의 상피관통 수송은 막단백질을 이용한다 = 148
5.2 상피관통 수송은 상피세포를 통과하는 소포체를 이용한다 = 149
6. 삼투작용과 긴장성 =150
6.1 우리 몸의 대부분은 물이다 = 150
6.2 우리 몸은 삼투적 평형 상태이다 = 150
6.3 삼투는 용액 속의 입자 수로 표시한다 = 151
6.4 한 용액의 긴장성은 그 용액에 한 세포를 넣었을 때 부피 변화를 나타낸다 = 153
7. 휴지막전위 = 156
7.1 세포막은 몸의 전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 156
7.2 휴지막전위는 대부분 칼륨에 의한 것이다 = 158
7.3 이온 투과성의 변화는 막전위를 변화시킨다 = 161
8. 통합적으로 일어나는 세포막에서의 사건: 인슐린의 분비 = 162
6 소통, 통합 및 항상성 = 168
1. 세포-세포 소통 = 169
1.1 틈새이음은 원형질을 연결하는 다리를 형성한다 = 169
1.2 접촉의존신호는 세포-세포 접촉이 필요하다 = 170
1.3 주변분비물질과 자가분비물질은 국소 소통을 수행한다 = 170
1.4 전기신호, 호르몬 및 신경호르몬은 장거리 소통을 수행한다 = 170
1.5 시토카인은 국소 신호와 장거리 신호로 작용한다 = 171
2. 신호경로 = 171
2.1 수용체는 세포 내부나 세포막에 존재한다 = 172
2.2 막 단백질은 신호전달을 촉진시킨다 = 174
2.3 수용체-효소는 단백질 인산화효소나 구아닐산 고리화효소의 활성을 가진다 = 176
2.4 대부분의 신호전달은 G단백질을 이용한다 = 177
2.5 아데닐산 고리화효소-cAMP는 많은 혐지질성 호르몬에 대한 신호전달체계이다 = 177
2.6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또한 지질 유래의 2차 전령을 이용한다 = 178
2.7 인테그린 수용체는 세포외 기질의 정보를 운반한다 = 178
2.8 가장 빠른 신호경로는 채널을 통한 이온 흐름의 변화이다 = 178
3. 독특한 신호분자 = 179
3.1 칼슘은 중요한 세포 내부의 신호이다 = 180
3.2 기체는 순간적인 신호분자이다 = 181
3.3 지질도 중요한 주변분비물질 신호이다 = 182
4. 신호경로의 변형 = 183
4.1 수용체는 포화, 특이성 및 경쟁을 나타낸다 = 183
4.2 수용체의 상승조절과 하향조절은 세포의 응답을 변화시킨다 = 184
4.3 세포는 신호경로를 종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 185
4.4 많은 질병과 그 약제들은 그 표적이 신호전달 단백질이다 = 185
5. 조절경로: 응답과 되먹임 고리 = 186
5.1 캐넌의 법칙은 조절변수와 생리조절계를 설명한다 = 186
5.2 항상성은 국소 경로와 장거리 경로에 의해 유지된다 = 188
5.3 응답 고리는 자극으로 시작하고 응답으로 끝난다 = 192
5.4 한계점은 바뀔 수 있다 = 192
5.5 되먹임 고리는 응답 고리를 변화시킨다 = 193
5.6 예상조절은 몸으로 하여금 변화를 예상하게 하고 안정성을 유지시키게 한다 = 194
5.7 생물학적 리듬은 한계점의 변화에 기인한다 = 195
5.8 조절계는 그 속도와 특이성이 변한다 = 196
5.9 복합반사조절 경로는 몇 개의 통합중추를 가지고 있다 = 198
단원 2 항상성과 조절
7 내분비계 = 205
1. 호르몬 = 206
1.1 호르몬은 고대부터 알려져 왔다 = 206
1.2 어떻게 화학물질이 호르몬이 되는가? = 207
1.3 호르몬은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 210
1.4 호르몬 작용은 마지막에 꼭 종료되어야 한다 = 211
2. 호르몬의 종류 = 211
2.1 대부분의 호르몬은 펩티드호르몬이다 = 211
2.2 스테로이드호르몬은 콜레스테롤에서 만들어진다 = 214
2.3 아민호르몬은 두 아미노산의 어느 하나로부터 만들어진다 = 216
3. 호르몬 방출의 조절 = 217
3.1 호르몬은 그 반사작용 회로에 따라 분류된다 = 217
3.2 내분비세포는 가장 간단한 내분비 반사작용의 감지 단위이다 = 218
3.3 많은 내분비 반사작용은 신경계를 필요로 한다 = 218
3.4 신경호르몬은 뉴런에 의해 혈액 내로 분비된다 = 218
3.5 뇌하수체는 실제로는 2개의 내분비샘이 융합된 기관이다 = 219
3.6 뇌하수체 후엽은 두 종류의 신경호르몬을 저장하고 방출한다 = 219
3.7 뇌하수체 전엽은 여섯 종의 호르몬을 분비한다 = 220
3.8 되먹임고리들은 시상하부-뇌하수체 회로에서는 다르게 나타난다 = 221
3.9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계는 영양호르몬의 운반을 지령한다 = 223
3.10 뇌하수체 전엽호르몬은 성장, 대사, 생식을 조절한다 = 223
4. 호르몬의 상호작용 = 224
4.1 협동작용으로 상호작용하는 호르몬의 효과는 두 호르몬의 합보다 크다 = 224
4.2 허용효과를 가진 호르몬은 다른 호르몬이 최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225
4.3 길항적 호르몬은 반대효과를 보인다 = 225
5. 내분비 병리학 = 225
5.1 과다분비는 호르몬이 너무 큰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 225
5.2 분비 저하는 호르몬의 효과를 작게 하거나 없앤다 = 226
5.3 수용체나 2차 전령의 문제는 조직의 이상반응을 초래한다 = 226
5.4 내분비 병리학 진단은 반사반응의 복잡성에 의존한다 = 227
6. 호르몬의 진화 = 228
8 뉴런: 세포와 네트워크의 특성 = 235
1. 신경계의 구성 = 236
2. 신경계의 세포 = 238
2.1 뉴런은 전기신호들을 만들어내고 운반하는 흥분성 세포이다 = 238
2.2 신경교세포는 신경계의 지지세포이다 = 242
3. 뉴런에서의 전기신호 = 244
3.1 네른스트 방정식은 한 가지 이온에 대한 세포막전위를 예측한다 = 244
3.2 GHK 방정식은 여러 이온에 대한 세포막전위를 예측한다 = 244
3.3 세포막을 통과하는 이온의 이동은 전기신호를 만들어낸다 = 245
3.4 작동채널은 뉴런의 이온 투과도를 조절한다 = 245
3.5 채널투과성의 변화가 전기신호를 만들어낸다 = 246
3.6 차등전위는 이 전위를 생성한 자극의 강도를 반영한다 = 247
3.7 활동전위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먼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 = 249
3.8 활동전위는 세포막을 통과하는 Na$$a^+$$과 K$$a^+$$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 250
3.9 축삭의 Na$$a^+$$ 채널에는 2개의 게이트가 있다 = 251
3.10 활동전위는 절대적 불응기 동안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 252
3.11 자극 강도는 활동전위의 빈도수에 의해 조절된다 = 254
3.12 활동전위는 이온 농도 기울기를 바꾸지 못한다 = 254
3.13 활동전위는 유발 영역에서 축삭 말단으로 전도된다 = 255
3.14 뉴런의 크기가 클수록 활동전위가 더 빠르게 전도된다 = 257
3.15 유수축삭에서 신호의 전도가 더 빠르다 = 258
3.16 여러 가지 화학적 인자에 의해서 전기 활성이 변화된다 = 259
4. 신경계에서 세포 간의 신호전달 = 261
4.1 시냅스에서 정보가 한 세포로부터 다른 한 세포로 전달된다 = 261
4.2 칼슘은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신호이다 = 262
4.3 신경 분비는 뉴런으로부터 다른 세포로 정보를 전달한다 = 263
4.4 신경계는 많은 신경작용성 물질을 분비한다 = 263
4.5 다양한 수용체 유형은 신경전달물질의 효과를 증폭시킨다 = 266
4.6 시냅스후 반응이 모두 빠르고 짧은 지속효과를 가진 것은 아니다 = 268
4.7 신경전달물질의 활성도는 빠르게 종료된다 = 268
5. 신경 정보전달의 통합 = 269
5.1 신경 경로는 동시에 많은 뉴런을 연관시킨다 = 269
5.2 시냅스 활성도는 축삭 말단에서 조절될 수 있다 = 271
5.3 장기 강화는 시냅스 간의 정보전달을 변화시킨다 = 272
5.4 시냅스 전달의 장애는 많은 질환의 원인이 된다 = 273
5.5 신경계의 발생과정은 화학적 신호에 달렸다 = 274
5.6 뉴런이 손상을 입었을 때 세포체에서 분리된 부분들은 죽는다 = 274
9 중추신경계 = 281
1. 신경 네트워크의 창발적 = 282
2. 신경계의 진화 = 282
3. 중추신경계의 해부구조 = 284
3.1 중추신경계는 속이 빈 관에서부터 발생한다 = 284
3.2 중추신경계는 회색질과 백색질로 나뉜다 = 285
3.3 뼈와 결합조직이 중추신경계를 조정한다 = 286
3.4 두뇌는 뇌척수액 내에 떠 있다 = 289
3.5 혈뇌장벽은 혈액 내의 위험한 요소들로부터 뇌를 보호한다 = 289
3.6 신경조직은 특별한 대사작용이 필요하다 = 291
4. 척수 = 291
5. 뇌 = 292
5.1 뇌줄기는 척수와 중뇌 간의 전환점이다 = 293
5.2 뇌줄기는 연수, 교뇌, 중뇌로 이루어져 있다 = 295
5.3 소뇌는 움직임을 조절한다 = 295
5.4 간뇌는 항상성 중추를 포함한다 = 295
5.5 대뇌는 뇌의 고등기능이 수행되는 장소이다 = 296
5.6 대뇌는 회색질과 백색질, 두 영역으로 나뉜다 = 297
6. 뇌의 기능 = 298
6.1 대뇌피질은 기능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299
6.2 감각정보는 척수와 뇌에서 통합된다 = 299
6.3 감각정보는 지각으로 처리된다 = 300
6.4 운동계는 중추신경계에서 나오는 정보를 관리한다 = 301
6.5 행동상태계는 운동신호를 조절한다 = 301
6.6 망상활성계는 각성 상태에 영향을 준다 = 301
6.7 왜 우리는 잠을 잘까? = 302
6.8 생리학적 기능은 하루주기리듬을 나타낸다 = 304
6.9 감정과 동기 부여는 복잡한 신경경로를 통해 나타난다 = 304
6.10 기분은 오랫동안 유지되는 감정 상태이다 = 306
6.11 학습과 기억은 뇌 안의 시냅스 연결에 변화를 준다 = 306
6.12 학습은 지식의 습득이다 = 307
6.13 기억은 정보를 유지하고 다시 생각해낼 수 있는 능력이다 = 307
6.14 언어는 가장 정교한 인지 행동이다 = 309
6.15 성격은 경험과 유전성의 조합이다 = 310
10 감각생리학 = 316
1. 감각계의 일반적인 특징 = 317
1.1 수용체는 특정 에너지 형태에 민감하다 = 318
1.2 감각 변환은 자극을 차등전위로 전환시킨다 = 319
1.3 하나의 감각뉴런은 하나의 수용야를 가진다 = 319
1.4 중추신경계는 감각정보를 통합한다 = 320
1.5 정보의 신호화와 처리과정은 자극의 양상, 위치, 강도, 지속 시간을 구별한다 = 322
2. 체성감각 = 325
2.1 체성지각 경로들은 체성감각 피질과 소뇌로 뻗어 있다 = 325
2.2 촉각수용체들은 여러 가지 다른 자극들에 반응한다 = 327
2.3 온도수용체들은 자유신경종말이다 = 327
2.4 통각수용체는 보호 반응을 일으킨다 = 328
2.5 통증과 가려움은 통각수용체에 의해 전달된다 = 329
3. 화학수용: 냄새와 맛 = 331
3.1 후각은 가장 오래된 감각 중 하나이다 = 331
3.2 미각은 다섯 가지 기본 감각들의 조합이다 = 332
4. 귀: 청각 = 336
4.1 청각은 소리에 대한 지각이다 = 336
4.2 소리 변환은 다단계 과정이다 = 338
4.3 달팽이는 체액으로 채워져 있다 = 338
4.4 소리는 먼저 달팽이에서 처리된다 = 341
4.5 청각 경로는 청각피질로 뻗어 있다 = 342
4.6 청각 소실은 물리적 또는 신경의 손상에 기인한다 = 342
5. 귀: 평형 = 343
5.1 전정기관은 내림프로 채워져 있다 = 343
5.2 전정기관은 공간에서의 운동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345
5.3 반고리관은 회전 가속을 감지한다 = 345
5.4 이석기관은 직선 가속과 머리의 위치를 감지한다 = 345
5.5 평형 경로는 주로 소뇌로 뻗어 있다 = 345
6. 눈과 시각 = 346
6.1 눈은 두개골에 의해 보호된다 = 346
6.2 빛은 동공을 통해 눈으로 들어온다 = 348
6.3 수정체는 망막 위에 빛을 모은다 = 349
6.4 광변환은 망막에서 일어난다 = 352
6.5 광수용체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 354
6.6 신호 처리는 망막에서 시작된다 = 357
11 원심신경계: 자율신경 조절과 체성신경 운동 조절 = 364
1. 자율신경계 = 365
1.1 자율신경 반사는 항상성을 위해 중요하다 = 366
1.2 길항적 조절은 자율신경계의 특징이다 = 367
1.3 자율신경로는 연속하여 2개의 원심성 뉴런을 가지고 있다 = 367
1.4 교감신경가지와 부교감신경가지는 다른 부위에서 척수를 빠져 나간다 = 369
1.5 자율신경계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과 조절물질을 이용한다 = 370
1.6 자율신경로는 평활근과 심근, 분비샘 그리고 림프조직과 지방조직을 조절한다 = 370
1.7 자율신경 신경전달물질들은 축삭에서 합성된다 = 371
1.8 대부분의 교감신경로는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한다 = 371
1.9 부신 수질은 카테콜아민을 분비한다 = 373
1.10 부교감신경로는 무스카린성 수용체로 아세틸콜린을 분비한다 = 373
1.11 자율신경 작용제와 길항제는 연구와 의학에서 중요한 수단이다 = 374
1.12 자율신경계의 주요 질병들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 374
1.13 교감신경가지와 부교감신경가지의 요약 = 376
2. 체성운동신경계 = 376
2.1 체성신경 운동로는 하나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다 = 376
2.2 신경근육이음부는 니코틴성 수용체를 가진다 = 377
12 근육 = 382
1. 골격근 = 384
1.1 골격근은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 384
1.2 근원섬유는 근섬유가 수축할 수 있도록 한다 = 385
1.3 근육수축은 힘을 만든다 = 389
1.4 근육은 수축하면 짧아진다 = 389
1.5 트로포닌과 트로포미오신의 조절로 근육수축이 일어난다 = 393
1.6 아세틸콜린은 흥분-수축 짝물림을 시작하게 한다 = 393
1.7 골격근 수축은 지속적으로 ATP가 필요하다 = 396
1.8 근육피로의 원인은 다양하다 = 397
1.9 골격근섬유는 수축 속도와 피로에 대한 저항도에 따라 분류된다 = 398
1.10 근섬유에 의한 장력은 섬유길이에 비례한다 = 399
1.11 수축력은 근육연축의 가중에 비례한다 = 400
1.12 하나의 운동단위는 하나의 체성운동뉴런과 이 신경에 연결된 근섬유들로 이루어진다 = 401
1.13 근육수축은 운동단위의 종류와 숫자에 의해서 결정된다 = 402
2. 몸 운동의 역학 = 403
2.1 등력수축은 부하를 이동시키나 제길이수축은 부하의 이동 없이 힘을 만든다 = 403
2.2 관절 주변의 뼈와 근육은 각각 지렛대와 받침점에 해당한다 = 404
2.3 근육질환에는 여러 원인이 있다 = 406
3. 평활근 = 407
3.1 평활근은 골격근섬유보다 작다 = 408
3.2 평활근은 좀더 긴 액틴과 미오신을 가진다 = 409
3.3 평활근의 수축 필라멘트는 근절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 410
3.4 단백질의 인산화는 평활근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411
3.5 평활근의 이완은 몇 단계를 거친다 = 412
3.6 칼슘 유입은 평활근수축을 위한 신호이다 = 412
3.7 근육 신장은 Ca²$$a^+$$ 채널을 열게 한다 = 413
3.8 어떤 평활근은 불안정한 막전위를 보인다 = 413
3.9 평활근의 활성은 화학신호로 조절된다 = 414
4. 심근 = 415
13 통합적 생리학 I: 몸 운동의 조절 = 421
1. 신경반사 = 422
1.1 신경반사 경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된다 = 422
2. 자율반사 = 423
3. 골격근반사 = 424
3.1 근방추는 근육신장에 반응한다 = 425
3.2 골지힘줄기관은 근육장력에 반응한다 = 427
3.3 신장반사와 상호억제는 관절 주변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 429
3.4 굽힘반사는 팔다리를 고통스러운 자극으로부터 멀리하게 한다 = 430
4. 몸 운동의 통합적 조절 = 432
4.1 운동은 반사적, 수의적, 율동적으로 분류된다 = 432
4.2 중추신경계는 운동을 통합한다 = 433
4.3 파킨슨병의 증상은 기저신경절의 기능을 반영한다 = 436
5. 내장근에서 운동의 조절 = 436
단원 3 기능의 통합
14 심혈관계 생리학 = 440
1. 심혈관계의 개요 = 441
1.1 심혈관계는 체내에서 물질을 수송한다 = 442
1.2 심혈관계는 심장과 혈관, 혈액으로 이루어져 있다 = 442
2. 압력, 부피, 유동과 저항 = 444
2.1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은 거리에 따라 감소한다 = 444
2.2 액체의 압력은 부피 변화 없이도 변한다 = 445
2.3 혈액은 고압면에서 저압면으로 흐른다 = 445
2.4 저항은 유동에 대한 항력이다 = 446
2.5 유속은 유량과 단면적에 따라 변한다 = 447
3. 심근과 심장 = 448
3.1 심장은 4개의 방이 있다 = 448
3.2 심장판막은 심장에서 일어나는 유동을 한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 449
3.3 심근세포는 신경자극 없이 수축한다 = 452
3.4 심장의 흥분-수축 연관은 골격근과 평활근의 복합적 특징이 있다 = 454
3.5 심근 수축은 차등 변화가 가능하다 = 455
3.6 심근이 신장하게 되면 더 강하게 수축한다 = 456
3.7 심근세포의 활동전위는 세포 형태에 따라 다르다 = 456
3.8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은 심장박동수를 조절한다 = 458
4. 펌프로서의 심장 = 460
4.1 심장의 전기 전도는 수축을 조정한다 = 460
4.2 박동원은 심장박동수를 결정한다 = 462
4.3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반영한다 = 463
4.4 1회의 심장주기 동안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한 번 진행한다 = 466
4.5 압력-부피 곡선은 1회의 심장주기를 나타낸다 = 468
4.6 박출량은 1회 수축 시 하나의 심실에서 분출하는 혈액량이다 = 471
4.7 심박출량은 심장 기능의 척도이다 = 471
4.8 심장박동수는 자율신경과 카테콜아민에 의해 조절된다 = 471
4.9 다중인자가 1회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친다 = 472
4.10 수축성은 신경계와 내분비계가 조절한다 = 473
4.11 EDV와 동맥혈압은 후부하를 결정한다 = 475
15 혈류와 혈압 조절 = 482
1. 혈관 = 484
1.1 혈관은 혈관평활근을 갖고 있다 = 484
1.2 동맥과 세동맥은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멀리 운반한다 = 484
1.3 혈액과 간질액 사이의 교환은 모세혈관에서 일어난다 = 485
1.4 혈류는 세정맥과 정맥으로 합류한다 = 485
1.5 혈관형성은 새로운 혈관을 형성한다 = 485
2. 혈압 = 486
2.1 혈압은 동맥에서 가장 높고 정맥에서 가장 낮다 = 486
2.2 동맥혈압은 혈류의 추진압력을 반영한다 = 488
2.3 혈압은 혈압계로 측정한다 = 488
2.4 심박출량과 말초 저항은 평균 동맥압을 결정한다 = 489
2.5 혈액량의 변화는 혈압에 영향을 미친다 = 490
3. 세동맥의 저항 = 490
3.1 근원성 자동조절은 혈류를 자율적으로 조절한다 = 492
3.2 주변분비는 혈관평활근 수축을 변하게 한다 = 492
3.3 교감신경은 대부분의 혈관평활근을 조절한다 = 493
4. 조직으로의 혈액 분배 = 495
5. 모세혈관에서 일어나는 물질교환 = 496
5.1 혈류의 속도는 모세혈관에서 가장 느리다 = 497
5.2 대부분의 모세혈관 교환은 확산과 세포관통수송에 의하여 일어난다 = 497
5.3 모세혈관 여과나 흡수는 부피유동에 의하여 일어난다 = 498
6. 림프계 = 500
6.1 부종은 모세혈관 교환 변화의 결과이다 = 501
7. 혈압 조절 = 502
7.1 압력수용기 반사는 혈압에 대한 1차 항상성 조절이다 = 502
7.2 기립성 저혈압은 압력수용기 반사를 일으킨다 = 504
8. 심혈관질환 = 504
8.1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에는 흡연, 비만 그리고 유전인자가 있다 = 505
8.2 죽상동맥경화는 하나의 염증과정?다 = 506
8.3 고혈압은 항상성 기능의 실패를 나타낸다 = 508
16 혈액 = 514
1. 혈액 속의 혈장과 세포성분 = 515
1.1 혈장은 물, 이온, 유기 분자 그리고 용해 기체로 구성된다 = 515
1.2 혈액의 세포성분은 적혈구, 백혈구 그리고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 517
2. 혈액세포의 형성 = 517
2.1 혈액세포들은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 518
2.2 조혈과정은 집락-자극 인자, 인터류킨 그리고 다른 시토카인 등에 의해 조절된다 = 519
2.3 집락-자극 인자들이 백혈구 생성을 조절한다 = 519
2.4 혈소판생성소는 혈소판 생산을 조절한다 = 520
2.5 적혈구생성소는 적혈구 생산을 조절한다 = 520
3. 적혈구 = 521
3.1 성숙한 적혈구는 핵이 없다 = 521
3.2 헤모글로빈의 생산에는 철이 필요하다 = 523
3.3 적혈구는 약 4개월 정도 생존한다 = 524
3.4 적혈구 이상은 산소 수송 능력을 감소시킨다 = 525
4. 혈소판과 혈액응고 = 526
4.1 혈소판은 세포의 작은 조각이다 = 526
4.2 지혈은 손상된 혈관으로부터의 혈액 유출을 방지한다 = 527
4.3 혈액응고 과정은 혈소판 활성화에서 시작된다 = 529
4.4 응고반응은 혈소판 마개를 더욱 단단한 혈병으로 만든다 = 529
4.5 항응고제는 혈액응고를 방지한다 = 531
17 호흡역학 = 536
1. 호흡계 = 538
1.1 흉곽의 뼈와 근육은 폐를 둘러싸고 있다 = 538
1.2 흉막낭은 폐를 감싸고 있다 = 538
1.3 기도는 폐를 외부 환경과 연결한다 = 539
1.4 폐포는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 539
1.5 폐순환은 고유속, 저압력 체계이다 = 542
2. 기체법칙 = 543
2.1 공기는 기체의 혼합물이다 = 543
2.2 기체는 고압력 지대에서 저압력 지대로 이동한다 = 544
2.3 보일의 법칙은 기체의 압력과 부피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544
3. 환기 = 544
3.1 폐부피는 환기중 변화한다 = 544
3.2 기도는 흡입된 공기를 가온, 습윤 및 여과시킨다 = 546
3.3 환기중 공기는 압력 차 때문에 흐른다 = 547
3.4 흡식은 폐포압이 감소할 때 일어난다 = 548
3.5 호식은 폐포압이 대기압을 초과할 때 일어난다 = 549
3.6 흉막강내압은 환기중 변화한다 = 550
3.7 폐의 신전성과 탄성은 질병 상태에서 변할 수 있다 = 552
3.8 표면활성제는 호흡부하를 감소시킨다 = 552
3.9 기도 지름은 기도 저항의 주요 결정인자이다 = 553
3.10 호흡률과 깊이는 호흡의 효율을 결정한다 = 554
3.11 폐포 내 기체 조성은 정상 호흡 동안 거의 변하지 않는다 = 556
3.12 환기와 폐포 혈류는 조화의 일치를 이룬다 = 557
3.13 청진과 폐활량 측정은 폐 기능을 평가한다 = 558
18 기체 교환과 운반 = 564
1. 기체의 확산과 용해도 = 565
1.1 액체 속의 기체의 용해도는 압력, 용해도 및 온도에 의존한다 = 566
2. 폐와 조직에서의 기체 교환 = 566
2.1 폐포 산소분압의 감소는 폐의 산소흡수를 감소시킨다 = 568
2.2 폐포막의 변화는 기체 교환을 변경한다 = 569
3. 혈액 내 기체운반 = 570
3.1 헤모글로빈은 조직에 대부분의 산소를 운반한다 = 570
3.2 각 헤모글로빈 분자는 4분자의 산소까지 결합한다 = 572
3.3 산소-헤모글로빈의 결합은 질량작용의 법칙을 따른다 = 572
3.4 산소분압은 산소-헤모글로빈 결합을 결정한다 = 573
3.5 산소결합은 백분율로 나타낸다 = 573
3.6 온도, pH 및 대사산물은 산소-헤모글로빈 결합에 영향을 준다 = 574
3.7 이산화탄소는 세 가지 방식으로 운반된다 = 576
4. 환기의 조절 = 579
4.1 연수의 신경세포가 호흡을 조절한다 = 579
4.2 이산화탄소, 산소 및 pH는 환기에 영향을 준다 = 581
4.3 방어반사는 폐를 보호한다 = 583
4.4 고위대뇌중추는 환기양식에 영향을 준다 = 584
19 신장 = 589
1. 신장의 기능 = 590
2. 비뇨기계의 해부학적 구조 = 591
2.1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이루어져 있다 = 591
2.2 네프론은 신장의 기능적 단위이다 = 591
3. 신장 기능의 개관 = 594
3.1 네프론의 세 가지 작용은 여과, 재흡수, 분비이다 = 595
3.2 부피와 삼투압은 액체가 네프론을 통과함에 따라 변화된다 = 595
4. 여 과 = 596
4.1 신소체는 세 가지의 여과 장벽으로 이루어진다 = 596
4.2 여과는 모세혈관의 정수압에 의해 일어난다 = 597
4.3 혈압과 신혈류량은 사구체 여과율에 영향을 미친다 = 598
4.4 사구체 여과율은 신경의 자동조절 지배를 받는다 = 600
4.5 호르몬과 자율신경은 사구체 여과율에 영향을 미친다 = 600
5. 재흡수 = 601
5.1 재흡수는 능동적이거나 수동적이다 = 602
5.2 신수송의 포화도는 신장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604
5.3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의 압력이 재흡수를 촉진시킨다 = 605
6. 분비 = 606
6.1 경쟁은 페니실린 분비를 감소시킨다 = 606
7. 배설 = 607
7.1 청소율은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비침입적인 방법이다 = 607
7.2 청소율과 GFR을 아는 것은 신장이 어떻게 용질을 처리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609
8. 배뇨 = 610
20 통합생리학 II: 수분과 전해질 균형 = 616
1. 수분과 전해질의 항상성 = 617
1.1 세포외액의 삼투몰농도는 세포 부피에 영향을 미친다 = 617
1.2 수분과 전해질 균형은 다양한 기관계의 통합을 요구한다 = 618
2. 수분 균형 = 619
2.1 매일 수분 섭취와 배설은 균형을 이룬다 = 619
2.2 신장은 수분을 보존한다 = 619
2.3 오줌 농축은 헨레고리와 집합관에 의해 결정된다 = 620
2.4 바소프레신은 오줌의 삼투몰농도를 조절한다 = 621
2.5 혈압과 삼투몰농도의 변화는 수분 균형 반사를 유도한다 = 622
2.6 헨레고리는 역류증폭기이다 = 623
3. Na$$a^+$$ 균형과 세포외액의 부피 조절 = 626
3.1 알도스테론은 Na$$a^+$$ 균형을 조절한다 = 627
3.2 혈압은 알도스테론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자극이다 = 628
3.3 안지오텐신 II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혈압에 영향을 미친다 = 630
3.4 심방 나트륨뇨 펩티드는 Na$$a^+$$과 수분 분비를 촉진시킨다 = 630
4. K$$a^+$$ 균형 = 631
5. 수분과 염분 균형에서의 행동적 메커니즘 = 632
5.1 물을 마시는 것은 수분 손실을 보충한다 = 632
5.2 낮은 Na$$a^+$$은 짠맛에 대한 식욕을 자극한다 = 633
5.3 기피 행동은 탈수를 방지한다 = 633
6. 부피와 삼투몰농도의 통합적 조절 = 633
6.1 삼투몰농도와 세포외액의 부피는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다 = 633
6.2 탈수는 신장과 심혈관 반응을 유도한다 = 635
7. 산-염기 평형 = 637
7.1 효소와 신경계는 pH 변화에 민감하다 = 638
7.2 몸에서 산과 염기는 다양한 원천에서 온다 = 638
7.3 pH 항상성은 완충제, 폐, 신장에 의존한다 = 639
7.4 완충계는 단백질, 인산 이온, HCO₃$$a^-$$을 포함한다 = 639
7.5 환기는 pH 불균형을 보상할 수 있다 = 640
7.6 신장은 암모니아와 인산 이온 완충제를 이용한다 = 640
7.7 근위세뇨관은 H$$a^+$$를 분비하고 HCO₃$$a^-$$을 재흡수한다 = 642
7.8 원위네프론은 산분비를 조절한다 = 643
7.9 산-염기 불균형은 호흡적 또는 대사적 원인을 가진다 = 643
단원 4 대사, 성장 그리고 노화
21 소화계 = 650
1. 소화계의 기능과 과정 = 651
2. 소화계의 해부 = 652
2.1 소화계는 구강, 위장관 및 부속샘으로 구성되어 있다 = 652
2.2 위장관은 4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 653
3. 운동 = 656
3.1 위장관의 평활근은 자발적으로 수축한다 = 656
3.2 위장관의 평활근은 다양한 형태의 수축을 한다 = 657
4. 분비 = 658
4.1 소화계는 이온과 물을 분비한다 = 658
4.2 소화효소는 입, 위 그리고 창자로 분비된다 = 660
4.3 특수하게 분화된 세포들은 점액을 분비한다 = 661
4.4 침은 외분비성 분비물이다 = 661
4.5 간은 담즙을 분비한다 = 661
5. 위장관 기능의 조절 = 661
5.1 내장신경계는 중추신경계의 지배 없이 독자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664
5.2 위장관 펩티드에는 호르몬, 신경분비물질, 시토카인이 있다 = 665
6. 소화와 흡수 = 665
6.1 탄수화물은 단당류로 흡수된다 = 666
6.2 단백질은 짧은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 667
6.3 일부 큰 펩티드는 분해되지 않고 흡수될 수 있다 = 669
6.4 담즙염은 지방 분해를 돕는다 = 669
6.5 핵산은 염기와 단당류로 분해된다 = 670
6.6 창자는 비타민과 무기질을 흡수한다 = 671
6.7 창자는 이온과 물을 흡수한다 = 671
7. 뇌상 = 672
7.1 화학적, 기계적 소화는 입에서 시작한다 = 672
7.2 연하작용으로 음식물이 입에서 위로 이동된다 = 673
8. 위상 = 673
8.1 위는 음식물을 저장한다 = 674
8.2 위는 산, 효소 그리고 신호물질을 분비한다 = 675
8.3 위는 소화와 보호의 균형을 조절한다 = 676
9. 창자상 = 677
9.1 소장에서의 중탄산염은 위산을 중화시킨다 = 678
9.2 대부분의 용액은 소장에서 흡수된다 = 679
9.3 대부분의 소화는 소장에서 일어난다 = 679
9.4 대장에서 배변물을 농축시켜 배설한다 = 680
9.5 설사는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 681
10. 위장관의 면역 기능 = 682
10.1 M 세포는 창자의 내용물을 조사한다 = 682
10.2 구토는 보호 반사의 일종이다 = 682
22 물질대사와 에너지 균형 = 688
뇌의 음식 섭취 조절 = 689
1. 에너지 균형 = 690
1.1 에너지 유입은 에너지 유출과 같다 = 690
1.2 에너지 사용은 개인의 산소 소비로 반영된다 = 691
1.3 에너지는 지방과 글리코겐으로 저장된다 = 693
2. 물질대사 = 693
2.1 영양소 섭취로 얻은 에너지는 즉시 사용되거나 저장된다 = 694
2.2 호르몬은 효소활성을 변화시켜 물질대사 경로를 조절한다 = 695
2.3 포만 상태에서는 동화작용이 우세하다 = 696
2.4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으로 관상심장질환을 예상할 수 있다 = 698
2.5 절식 상태에서는 이화작용이 우세하다 = 699
3. 물질대사의 항상성 조절 = 700
3.1 췌장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분비된다 = 700
3.2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비율이 물질대사를 조절한다 = 702
3.3 인슐린은 포만 상태에서 우세한 호르몬이다 = 702
3.4 인슐린은 동화작용을 촉진한다 = 703
3.5 글루카곤은 절식 상태에서 우세하다 = 706
3.6 당뇨병은 물질대사질환의 일종이다 = 707
3.7 제1형 당뇨병은 케톤산증 관련 질환이다 = 707
3.8 제2형 당뇨병의 경우 대부분 높은 인슐린 수치를 나타낸다 = 709
3.9 물질대사 증후군은 당뇨병과 심혈관계질환을 연결하게 된다 = 710
4. 체온 조절 = 711
4.1 체온은 열발생, 열획득 및 열손실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 711
4.2 체온은 항상성을 가지고 조절된다 = 713
4.3 몸은 운동과 물질대사를 통해 열을 발생한다 = 714
4.4 몸의 온도조절장치는 재조정될 수 있다 = 715
23 성장과 대사작용에 대한 내분비 조절 = 720
1. 내분비의 원리 복습 = 721
2. 부신 당질코르티코이드 = 722
2.1 부신 피질이 스테로이드호르몬을 분비한다 = 722
2.2 코르티솔 분비는 ACTH가 조절한다 = 723
2.3 코르티솔은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성분이다 = 723
2.4 코르티솔은 좋은 치료 의약품이다 = 724
2.5 코르티솔 병리현상은 호르몬 과다나 결핍에 의해 야기된다 = 725
2.6 CRH와 ACTH는 부가적인 생리기능이 있다 = 726
3. 갑상샘호르몬 = 726
3.1 갑상샘호르몬은 요오드를 포함한다 = 727
3.2 갑상샘호르몬은 생활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 729
3.3 TSH는 갑상샘호르몬을 조절한다 = 730
4. 성장호르몬 = 732
4.1 성장호르몬은 동화작용을 일으킨다 = 732
4.2 성장호르몬은 아이들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수적이다 = 733
4.3 유전공학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 성장호르몬은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 733
5. 조직과 뼈의 성장 = 734
5.1 조직 성장은 호르몬과 주변분비 인자가 필요하다 = 734
5.2 뼈의 성장은 적당한 양의 칼슘 섭취가 필요하다 = 734
6. 칼슘의 균형 = 735
6.1 혈액 속의 칼슘 농도는 엄격하게 조절된다 = 736
6.2 세 가지 호르몬이 칼슘의 균형을 조절한다 = 737
6.3 칼슘과 인산의 항상성은 연결되어 있다 = 739
6.4 골다공증은 뼈의 상실로 인한 병이다 = 740
24 면역계 = 744
1. 면역계의 기능에 대한 개괄 = 745
2. 인간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체들 = 746
2.1 세균과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방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746
2.2 바이러스 증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세포가 필요하다 = 746
3. 면역반응 = 747
4. 면역계의 해부학적 특성 = 748
4.1 림프조직은 온몸에 분포한다 = 748
4.2 백혈구는 면역계의 중심 세포이다 = 748
5. 선천성 면역: 비특이적 반응 = 752
5.1 물리적, 화학적 장벽이 몸의 1차 방어선을 구축한다 = 753
5.2 식세포는 외부물질을 인식하고 섭취한다 = 753
5.3 자연살해 림프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암세포를 제거한다 = 754
5.4 화학 매개 물질들이 염증반응을 만든다 = 754
6. 후천성 면역: 항원 특이적 반응 = 756
6.1 림프구는 후천성 면역반응의 중심 세포이다 = 756
6.2 B세포는 형질세포와 기억세포로 분화한다 = 756
6.3 항체는 형질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이다 = 758
6.4 T세포는 반드시 표적세포와 직접적인 접촉을 해야 한다 = 760
7. 면역반응의 경로 = 762
7.1 염증은 세균 침입에 대한 전형적인 반응이다 = 762
7.2 바이러스 감염과 싸우기 위해서는 세포 내부의 방어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763
7.3 알레르기 반응은 특이항원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이다 = 765
7.4 MHC 단백질은 타인에서 유래된 조직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 767
7.5 자기의 인식은 면역계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 768
7.6 면역감시를 통해 비정상적인 세포들을 제거할 수 있다 = 768
8. 신경-내분비-면역계 간 상호작용 = 769
8.1 스트레스는 면역계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 770
8.2 현대의학은 심신치료법을 이용한다 = 771
25 통합 생리학 III: 운동 = 776
1. 물질대사와 운동 = 777
1.1 호르몬은 운동 시 물질대사를 조절한다 = 778
1.2 산소 소비는 운동 강도와 관련이 있다 = 779
1.3 몇 가지 요인들이 운동을 제한한다 = 779
2. 운동에 대한 환기적 반응 = 780
3. 운동에 대한 심혈관 반응 = 781
3.1 운동 시 심박출량은 증가한다 = 781
3.2 운동 시 말초혈관의 흐름은 근육에 재분배된다 = 782
3.3 운동 시 혈압은 약간 올라간다 = 782
3.4 압력수용기 반사는 운동에 맞게 조절된다 = 783
4. 운동 시 예상 반응 = 784
5. 운동 시 온도 조절 = 784
6. 운동과 건강 = 784
6.1 운동은 심혈관 질병의 위험을 낮춰준다 = 785
6.2 제2형 당뇨병은 운동으로 호전될 수 있다 = 785
6.3 스트레스와 면역계는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786
26 생식과 발달 = 790
1. 성의 결정 = 791
1.1 성염색체는 유전적 성을 결정한다 = 792
1.2 성의 분화는 발달 두 달째 일어난다 = 794
2. 생식의 기본 양상 = 795
2.1 배우자발생은 자궁 내에서 시작되며 사춘기 동안 재개된다 = 796
2.2 대뇌가 생식을 통제한다 = 798
2.3 생식은 환경적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799
3. 남성생식 = 800
3.1 정소는 정자와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한다 = 801
3.2 정자형성은 생식샘자극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을 필요로 한다 = 803
3.3 남성 부속샘은 정액에 분비물을 제공한다 = 804
3.4 안드로겐은 제2차 성징에 영향을 준다 = 805
4. 여성생식 = 805
4.1 여성의 생식기관은 난소와 자궁을 포함한다 = 805
4.2 난소는 난자와 호르몬을 생산한다 = 808
4.3 생리주기는 약 한 달간 지속된다 = 808
4.4 호르몬에 의한 생리주기의 조절은 복잡하다 = 808
4.5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은 여성의 제 2차 성징에 영향을 준다 = 812
5. 생식 = 812
5.1 사람의 성적반응은 네 가지 단계를 지닌다 = 812
5.2 남성의 성행위는 발기와 사정을 포함한다 = 813
5.3 성기능장애는 남성과 여성에게 영향을 미친다 = 814
5.4 피임제는 임신을 막기 위해 고안된다 = 814
5.5 불임은 임신을 할 수 없는 것이다 = 816
6. 임신과 출산 = 816
6.1 수정은 수정능획득을 필요로 한다 = 816
6.2 발달하는 배아는 자궁내막에 착상한다 = 817
6.3 태반은 임신중 호르몬을 분비한다 = 818
6.4 임신은 산통과 분만으로 끝난다 = 819
6.5 젖샘은 수유 동안 젖을 분비한다 = 821
6.5 프로락틴은 다른 생리적 역할을 가진다 = 822
7. 성장과 노화 = 822
7.1 사춘기는 생식연령의 시작을 표시한다 = 822
7.2 폐경기와 갱년기는 노화의 결과이다 = 823
부록 A: 각 장 끝부분의 문제 해답 = 828
부록 B: 물리학과 수학 = 857
부록 C: 유전학 = 861
부록 D: 몸의 해부학적 위치 = 866
찾아보기 =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