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 17
제1장 행정의 본질 = 19
제1절 행정의 의의 = 19
1. 행정의 개념 = 19
2. 행정개념의 역사적 전개 = 20
3. 행정과 경영 = 22
4. 행정과 정치 = 25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25
1. 행정학의 연구 대상 = 25
2. 행정학의 성격 = 26
제3절 정부와 행정 = 29
1. 정부의 개념 = 29
2. 국가특성의 변화와 행정 = 30
3. 정부의 구조 = 32
4.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3
5. 정부의 운영 실태 = 34
제4절 행정과 환경 = 37
1. 행정환경 = 37
2. 행정의 정치적 맥락 = 37
3. 행정의 법적 맥락 = 40
4. 행정의 경제적 맥락 = 42
5. 행정의 사회적 맥락 = 43
6. 행정의 공간적 맥락 = 45
제2장 행정학의 발달 과정 = 47
제1절 유럽의 행정학 = 47
1. 근대정부의 생성 = 47
2. 관방학 = 48
3. 슈타인 행정학 = 49
제2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 = 50
1. 미국행정학 성립의 사상적 토대 = 51
2. 발달 과정 = 51
제3절 한국 행정학의 전개 = 57
1. 행정학의 도입 = 57
2. 우리나라 행정연구의 과제 = 58
제3장 행정의 접근방법과 최근의 주요 행정 이론 = 59
제1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59
1. 행태론적 접근방법 = 59
2. 생태론적 접근방법 = 61
3. 체제론적 접근방법 = 66
4. 제도론적 접근방법 = 66
5. 현상학적 접근방법 = 69
제2절 최근의 주요 행정이론 = 71
1. 신공공관리 = 71
2. 뉴 거버넌스론 = 73
3. 신공공서비스이론 = 76
제2편 행정이념, 윤리와 행정통제 = 79
제4장 행정이념과 행정윤리 = 81
제1절 행정이념 = 81
1. 본질적 가치 = 81
2. 수단적 가치 = 84
3. 민주성ㆍ형평성과 능률성 간의 갈등 = 85
제2절 행정윤리 = 86
1. 행정윤리의 의의와 중요성 = 86
2. 공무원 부패 = 87
3.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89
제5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 93
제1절 행정책임과 행정통제의 의의 = 93
제2절 행정통제의 유형 = 94
1. 외부통제 = 95
2. 내부통제 = 99
제3절 행정통제의 한계와 통제력의 향상 방안 = 101
1. 행정통제의 한계 = 101
2. 행정통제력의 향상 방안 = 102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천 = 107
제6장 정책 = 109
제1절 정책학의 기초 이론 = 109
1. 정책학의 발전 = 109
2. 정책의 의의와 유형 = 109
3. 정책의 필요성 = 111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참여자 = 119
1. 정치체제와 정책환경 = 119
2. 정책결정요인론 = 120
3. 정책과정의 단계 = 122
4. 정책 과정의 참여자 = 123
제3절 정책의제설정 = 129
1. 의의 = 129
2. 정책의제설정의 과정 = 130
3. 정책의제설정의 유형 = 131
4.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2
제4절 정책결정 = 133
1. 정책결정 과정 = 133
2. 정책결정 모형 = 140
3. 우리 정부의 정책결정 = 151
제5절 정책집행 = 153
1. 의의 = 153
2. 접근방법 = 154
3. 성공적 정책집행을 좌우하는 요인 = 155
4. 집행사례 연구: 농어촌구조개선사업 = 159
제6절 정책평가 = 160
1. 의의와 유형 = 160
2. 정책평가의 방법 = 162
제7절 정책변동과 정책종결 = 166
1. 의의 = 166
2. 정책변동의 유형 = 166
3. 정책변동의 원인 = 169
4. 저항과 극복 전략 = 170
제7장 조직 = 175
제1절 조직일반론 = 175
1. 조직의 의의와 구성 요소 = 175
2. 조직의 분류 = 176
3. 조직이론의 전개과정 = 178
제2절 조직문화 = 190
1. 조직문화의 의의 = 190
2. 조직문화의 유형과 기능 = 190
3.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192
제3절 조직구조론 = 195
1. 조직구조의 의의 = 195
2. 조직구조의 차원 = 195
3. 조직구조의 형성원리 = 197
4. 조직구조의 유형 = 203
제4절 조직형태론 = 220
1. 동기부여 = 220
2. 리더십 = 233
3. 의사전달 = 245
제5절 조직변동론 = 254
1. 조직혁신 = 254
2. 조직발전 = 258
제8장 인사 = 261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261
1. 인사행정의 의의와 과정 = 261
2. 인사행정의 발달 = 263
제2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 273
1. 인사행정기관 = 273
2. 공직구조의 형성 = 277
제3절 인적자원의 관리 = 291
1. 인력계획 = 291
2. 확보 = 293
3. 능력 발전 = 301
4. 평가: 근무성적 평정 = 310
5. 보상 = 318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 327
1.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징계 = 327
2. 공무원단체 = 333
제9장 재무 = 339
제1절 예산의 일반이론 = 339
1. 예산의 개념과 기능 = 339
2. 예산의 범위와 규모 = 339
3. 예산의 원칙 = 340
4. 예산의 분류 = 344
5. 예산의 내용 = 351
제2절 예산제도 = 354
1. 품목별 예산제도 = 354
2. 성과주의 예산제도 = 356
3. 계획예산제도 = 358
4. 영기준 예산 = 361
5. 자본예산 = 364
6. 성과관리 예산제도 = 366
제3절 예산과정 = 369
1. 예산편성 = 369
2. 예산심의 = 372
3. 예산집행 = 375
4. 결산과 회계검사 = 382
5. 지방정부의 예산과정 = 384
제4절 예산 및 회계제도의 개혁 = 387
1. 거버넌스식 예산과정의 설계 = 387
2. 프로그램예산제도 = 388
3. 발생주의회계와 복식부기 = 390
4. 그 밖의 조치 = 393
제10장 전자정부 = 395
제1절 전자정부의 개념적 이해 = 395
1. 정보화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 = 395
2. 전자정부의 개념 = 396
제2절 전자정부와 행정 서비스 = 400
1. 전자적 행정서비스 = 400
2. 전자적 행정서비스의 향후 과제 = 405
제3절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추진 과정 및 과제 = 406
1. 추진 과정 = 406
2. 추진체제 = 408
3. 전자정부정책의 성과: 문제점과 개선방안 = 410
제4절 미래의 전자정부: 유비쿼터스정부 = 416
1. 의의와 단계 = 416
2. 유비쿼터스 정부의 동인 = 418
3. 유비쿼터스 정부의 발전 전략 = 419
제11장 지방자치 = 421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421
1. 지방자치의 개념 = 421
2. 지방자치의 필요성 = 423
3. 지방자치의 본질 = 424
4.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연혁 = 425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구성 = 426
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426
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 427
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 = 438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446
1. 자치권의 의의와 부여방식 = 446
2. 자치입법권 = 447
3. 자치행정권 = 451
4. 자치조직권 = 453
5. 자치재정권 = 456
6. 자치교육제와 자치경찰제 = 457
제4절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과의 관계 = 462
1. 주민투표 = 462
2. 주민소송 = 463
3. 주민소환 = 464
제5절 지방재정 = 465
1. 지방재정의 기본적 이해 = 465
2. 지방수입 구조 = 466
3. 지방재정 확충 방안 = 478
제12장 공공서비스 = 483
제1절 서비스행정의 대두 = 483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483
2. 공공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변화 = 483
3. 공공서비스의 유형 = 485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 487
1. 정부에 의한 서비스 공급방식 = 487
2. 민간에 의한 서비스 공급 = 490
3. 민관협력공급 = 499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 502
제13장 행정개혁 : 미래의 청사진 = 509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509
1. 행정개혁의 개념과 성격 = 509
2. 행정개혁의 추진 배경 = 509
3. 행정개혁의 전략과 접근방법 = 510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과 저항 = 512
1. 행정개혁의 과정 = 512
2.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과 극복방안 = 512
제3절 선진국의 행정개혁 = 514
1. 행정개혁의 배경과 특징 = 514
2. 선진국 행정개혁의 사례 = 515
제4절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현황과 과제 = 516
1. 행정개혁의 현황 = 516
2. 행정개혁의 특징 = 517
3. 행정개혁의 향후 과제 = 518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