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회 연결망 이론 개정판

사회 연결망 이론 개정판 (1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용학
서명 / 저자사항
사회 연결망 이론 / 김용학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2004  
형태사항
xiii, 289 p. : 삽화 ; 26 cm
ISBN
891038039X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8-281)과 색인수록
000 00606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04174
005 20120904100806
007 ta
008 090220s2004 ulka b 001c kor
020 ▼a 891038039X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2.4 ▼2 22
085 ▼a 302.4 ▼2 DDCK
090 ▼a 302.4 ▼b 2004z1
100 1 ▼a 김용학
245 1 0 ▼a 사회 연결망 이론 / ▼d 김용학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c 2004
300 ▼a xiii, 289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258-281)과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04z1 등록번호 111530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04z1 등록번호 111530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용학(지은이)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세대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이자,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 연결망 이론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연구했으며,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 설립위원회, 교육부 BK 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분석》(개정 3판)과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이론》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 《사회구조와 행위》(개정 3판), 《비교사회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연결망 사회의 출현 = 2
 1.1 분산화와 '결합의 연결망' = 5
 1.2 위계에서 연결망으로 = 10 
 1.3 복잡계로서의 연결망 사회 = 13
 1.4 책의 구성 = 19
제2장 사회 연결망 이론이란 무엇인가? = 24
 2.1 관계적 인간관 = 28 
 2.2 관계성과 속성 = 33
 2.3 미시-거시의 연결 = 36
 2.4 사건의 관계성과 역사사회학 = 40 
제3장 구조주의와 연결망 분석 = 52
 3.1 분포 구조주의와 연결망 분석 = 53
 3.2 전체 구조주의와 연결망 분석 = 57
 3.3 변형 구조주의와 연결망 분석 = 64
 3.4 연결망 분석의 확장 가능성 = 70 
제4장 대인 관계망 = 80
 4.1 좁은 세상 = 82 
 4.2 연결망의 크기 = 90
 4.3 유유상종(類類相從) = 92
 4.4 지역 간 관계망 = 99
 4.5 학연 = 103
 4.6 연줄과 연결 = 110 
제5장 사회적 자본과 연결망 = 122
 5.1 사회적 자본의 개념 정의 = 124
 5.2 사회적 자본의 개념요소 = 129 
 5.3 신뢰와 거래비용 = 134
 5.4 신뢰의 유형 = 136
 5.5 사회적 자본이 사용되는 문맥 = 145
 5.6 사회적 자본의 측정 : 행위인가 태도인가 = 150 
 5.7 신뢰와 협동 : 국제 비교 = 155
제6장 시장, 국가 그리고 연결망 = 166
 6.1 구조로서의 시장 = 169  
 6.2 시장구조와 연결망 = 176
 6.3 연결망과 국가 경제발전 = 188
제7장 조직과 연결망 = 210
 7.1 지배구조로서의 연결망 = 212
 7.2 소기업 연결망 = 218 
 7.3 벤처기업 연결망 = 224
제8장 노동시장과 연결망 = 232
 8.1 일자리 구하기 = 233
 8.2 승진과 연결망 = 236
 8.3 연결망과 근로자 성과 = 241
 8.4 여성 연결망 = 243
 8.5 노동이동의 연결망 = 247 
제9장 결론 = 252
참고문헌 = 258
부록 = 284
찾아보기 = 285


관련분야 신착자료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