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휘관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들의 자율성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휘관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들의 자율성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4회 대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이강희
서명 / 저자사항
지휘관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들의 자율성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강희.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08.  
형태사항
iii, 69 p. : 삽도 ; 26 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조직관리 전공, 2008.8.
학과코드
0510   6K04   65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수돌  
부록수록  
단면인쇄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1-63
000 00873namcc2200265 a 4500
001 000045502908
005 20120315134415
007 ta
008 090216s2008 ulka bmAC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085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65
100 1 ▼a 이강희
245 1 0 ▼a 지휘관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들의 자율성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d 이강희.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c 2008.
300 ▼a iii, 69 p. : ▼b 삽도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강수돌
500 ▼a 부록수록
500 ▼a 단면인쇄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 전공, ▼d 2008.8.
504 ▼a 참고문헌: p. 61-63
538 ▼a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900 1 ▼a 강수돌, ▼e 지도교수
945 ▼a KINS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지휘관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들의 자율성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289회 열람)
PDF 초록 목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630473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63047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530544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630473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63047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65 등록번호 1530544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과 집단의 유기적인 협조가 매우 중요한데 개인과 집단의 협조는 그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리더의 역할이 없이는 실현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에서 리더십은 개인행동과 집단행동의 형성은 물론, 이들 행동을 조직성과에 연결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Lussier & Achua, 2001: 이덕로․이종찬, 1999). 따라서 지금까지 리더십은 정치뿐만 아니라 군사와 경제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오랫동안 주요 관심의 대상이었다.
  전형적으로 리더십은 특성이론에서 출발하여 행동이론과 상황이론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지난 1978년 정치과학자인 Burns(1978)가 초월적인 목표를 통해 부하들을 동기 부여시키는 리더를 기술하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주장한 후 Bass(1985, 1996)에 의해 보다 발전을 거듭한 이래 이 이론과 관련하여 보다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조직시민행동 또한 Organ과 그의 동료들(1993)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된 이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90년대에 들어 외부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공식적인 역할이외의 혁신적이고 자발적인 행동에 대한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면서 조직행동에 대한 관심은 조직행동은 물론이고 인적자원관리, 마케팅, 병원경영, 노동법, 나아가 전략경영 등 매우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 왔다(Podsakoff, Mackenzie, Paine, & Bachrch, 2000).
  지금까지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양자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문제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여러 학자들(Pawar & Eastman, 1997; Pettigrew, 1988)이 상황적 요인이 변혁적 리더십의 가능성을 증대시키거나 부하들에 대한 영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고 주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상황변수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상황요인의 중요성이 증대하면서 상황변수를 고려한 경우에도 대부분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리더만족, 과업만족, 그리고 공정성 등을 사용해 왔을 뿐이다. 이에 따라 자율성을 상황변수로 부여하여 가설을 설정, 검증하고자 한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Ⅱ. 군 조직의 특성 5
  1. 군대 문화의 유형 5
  2. 병사들의 의식성향 7
  3. 리더십과 군대 문화 9

Ⅲ. 이론적 고찰 10
  1. 교환관계와 계약 관점에서의 조직 10
  2.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13
  3. 부하의 자율성 21
  4. 조직시민 행동 26

Ⅳ. 연구 모형 설계 및 가설 설정 28
  1. 연구 모형 28
  2. 가설 설정 28

Ⅴ. 연구 방법 35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5
  2.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37
  3. 가설 검증 및 분석 38

Ⅵ. 연구 결과, 시사점, 한계점 57
 참고문헌 61
 설 문 지 6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