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호철, 연구
서명 / 저자사항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 이호철 연구
발행사항
용인 :   법무연수원,   2008  
형태사항
252 p. ;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50-252
000 00629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502895
005 20120901190454
007 ta
008 090216s2008 ggk b 000c korFC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85 ▼a 340.1 ▼2 DDCK
090 ▼a 340.1 ▼b 2008z10
245 0 0 ▼a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 ▼d 이호철 연구
246 1 ▼i 판권기표제: ▼a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연구 : ▼b 2008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논문
260 ▼a 용인 : ▼b 법무연수원, ▼c 2008
300 ▼a 252 p. ; ▼c 27 cm
504 ▼a 참고문헌: p. 250-252
700 1 ▼a 이호철, ▼e 연구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8z10 등록번호 111530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법질서 확립의 의의 및 필요성 = 5
  1. 법질서의 개념 = 5
  2. 법질서확립과 법치주의 = 6
  3. 국가경쟁력과 법질서 확립 = 8
    가. 경제발전과 법질서확립 = 8
    나. 국가경쟁력과 법질서확립 = 10
    다. 법질서 확립과 국가경쟁력과의 관계에 대한 각종 통계자료 = 16
    라. 소결 = 19
Ⅲ. 우리나라의 법질서 준수 실태 = 21
  1. 법질서 준수에 대한 국민의식 = 21
    가. 준법의식 = 21
    나. 법에 대한 인상 = 22
    다. 법질서 준수 정도 = 23
    라. 법 미준수 이유 = 24
    마. 분쟁해결 수단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 25
    바. 각 분야별 법질서 준수실태 = 26
    사. 기초생활 법질서 실태 = 29
    아. 법질서 확립을 위한 엄정대처 분야 = 32
    자. 소결 = 33
  2. 우리나라 법질서 수준의 다른 나라와의 비교 = 36
    가. 법질서 준수와 소득 및 경제성장과의 관계 비교 = 36
    나. 다른 나라와 비교한 우리나라 법질서 수준 = 38
    다. 다른 나라와 비교한 우리나라의 범죄발생 수준 = 43
Ⅳ. 법질서 확립 저해원인 = 45
  1. 부정적 법의식 상존 = 45
    가. 전통 유교적 법문화의 부정적 잔재 = 45
    나. 일제하의 타율적 서구법 계수에 따른 현실과의 괴리 = 48
    다. 권위주의 정권하의 국가중심주의적 법체계에 대한 저항 = 49
    라. 경제성장에 따른 사회적 약자의 소외감 증대 = 50
  2. 준법질서 의식 미성숙 = 51
  3. 사회지도층의 수범의지 부족 = 52
  4. 국가기관 및 형사사법에 대한 신뢰도 저조 = 54
    가.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도 = 54
    나. 형사재판에 대한 신뢰도 = 55
    다. 수사기관 및 수사에 대한 신뢰도 = 57
    라. 법관 및 재판에 대한 신뢰도 = 60
  5. 민주화와 국민참여 욕구의 과잉 = 63
  6. 이념대립 양상 표면화 = 64
  7. 법 인지도 및 신뢰도 저조 = 65
    가. 법 인지도 저조 = 65
    나. 법 신뢰도 저조 = 66
  8. 불합리한 규제 및 투명하지 못한 업무처리 절차 = 67
    가. 불합리한 규제 = 67
    나. 업무처리 절차의 투명성 부족 = 68
  9. 법 교육과 법질서 확립운동 미흡 = 69
    가. 법 교육 미흡 = 69
    나. 법 질서 확립운동 미흡 = 71
  10. 노사관계 선진화 및 건전한 인터넷 질서 미정착 = 72
    가. 노사관계 선진화 미정착 = 72
    나. 건전한 인터넷 질서 미정착 = 74
  11. 기타 = 75
Ⅴ. 법질서 확립 관련 정책추진상 문제점 = 79
  1. 법집행의 엄정성, 공정성, 확실성 불충분 = 79
    가. 법집행의 엄정성 = 79
    나. 법집행의 공정성 = 81 
    다. 법집행의 확실성 = 83
  2. 정부당국의 법질서 확립 의지 문제 = 84
  3. 정부측의 무원칙한 대처 = 85
  4. 온정주의적 법집행 = 86
  5. 법집행 인력, 예산, 전문성 부족 = 88
  6. 법질서 위배행위 단속에 대한 대응협력체제 미흡 = 89
  7. 법집행을 위한 법제도 미비 = 90
  8. 법질서 준수에 대한 인센티브 및 위반시 불이익 불충분 = 91
  9. 법집행의 실효성 보장 미흡 = 93
  10. 사면ㆍ복권의 적정성 문제 = 94
  11. 기타 = 95
Ⅵ. 법질서 확립 추진방안 = 102
  1. 서언 = 102
  2. 법집행의 엄정성ㆍ확실성 제고방안 = 103
    가. 기본원칙 = 103
    나. 법집행 인프라 확충방안 = 105
    다. 검찰, 법원의 양형 적정화 방안 = 109
    라. 각 분야별 검토 = 117
  3. 법집행의 실효성 제고방안 = 195
    가. 공무집행의 실효성 보장 = 195
    나. 법질서 위반행위에 대한 민사적, 행정적 책임 부과 = 200
    다. 법질서 위반자에 대한 신분상 불이익 철저 = 205
    라. 사면ㆍ복권의 합리적 제한 = 209
  4. 법질서 준수환경의 조성방안 = 211
    가. 법 교육 강화 = 211
    나. 법질서 확립운동의 효과적 추진 = 221
    다. 법령의 선진화 = 225
    라. 법률 서비스 제공확대 = 229
    마. 법질서 준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확대 = 233
  5. 기타 = 240
    가. 범죄신고제도 활성화 및 내부고발자 보호 강화 = 240
    나. 범죄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통한 재범방지 = 242
    다. 대언론 대책 및 홍보강화 = 244
Ⅵ. 결론 = 246
참고문헌 = 250

관련분야 신착자료

Dreier, Horst (2023)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박주영 (2023)
양천수 (2022)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