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요약 = 11
제1장 서론 = 16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6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9
제2장 법질서에 대한 논의 = 21
제1절 법의 의미 = 21
1. 법의 개념 = 21
2. 법과 다른 사회규범 = 25
3. 법의 목적(이념) = 30
4. 법의 기능 = 31
제2절 법과 사회 = 33
제3절 법질서의 의의 = 35
제4절 법의식 관련 기존의 경험적 연구 = 38
제5절 연구설계 = 40
1. 자료수집 = 40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3
제3장 법의식 = 46
제1절 법 일반에 대한 인식 = 46
1. 법의 본질에 대한 인식 = 46
제2절 현행 법에 대한 인식 = 49
1. 법에 대한 인지도와 법 정보의 획득경로 = 49
2. 현행 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 55
3. 현행 법의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인식 = 59
4. 현행 법집행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 = 62
5. 법적 처벌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 65
6. 법적 처벌의 형평성에 대한 인식 = 68
7. 현행 법의 기능에 대한 인식 = 71
8. 현행 법의 분쟁해결에의 유용성 = 73
9. 법 집행의 한계에 대한 인식 = 78
제4장 준법의식 및 준법행위 = 80
제1절 준법의식의 현황 = 80
1. 준법의식 = 80
2. 일반인의 준법생활에 대한 태도 = 87
제2절 준법생활실태 = 93
1. 일반인의 준법실태 지각 = 93
2. 일반인의 준법생활 실태 = 97
제3절 위법 행위에 대한 태도 = 101
1. 자신의 위법 행위 이유 = 101
2. 위법 상황에 대한 태도 = 102
제5장 법질서 위반에 대한 대처 실태 = 107
제1절 법질서 위반 = 107
1. 법질서 위반 이유 = 107
2. 법질서 확립위한 엄정대처 분야 = 109
3. 사회 각 분야별 법질서 준수에 대한 인식 = 111
4. 사회 각 분야별 법질서 위반 실태 = 114
제2절 법질서지키기 운동 = 141
1. 준법에 대한 홍보 및 교육 = 141
2. 법질서지키기 운동의 전개방향 = 147
제6장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인식 = 155
제1절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인식 = 155
1.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 = 155
2. 형사재판에 대한 인식 = 158
3. 수사기관에 대한 인식 = 160
4. 법관에 대한 인식 = 164
제2절 국민참여재판에 대한 인식 = 169
1. 국민참여재판 실시 사실 인지 여부 = 169
2. 국민참여재판에 대한 태도 = 171
제7장 결론 = 174
참고문헌 = 187
영문요약 = 190
부록 =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