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진정한 '언론자유'를 꿈꾸며
제1부 언론통제의 이론적 고찰 = 25
제1장 파시즘체제의 언론통제 = 28
1. 한국의 군사정권 = 29
2. 나치 독일과 군국주의 일본 = 31
제2장 독재권력과 언론통제 유형 = 33
1. 국가흡수적 언론통제 = 34
2. 국가개입에 의한 '관제언론' = 36
제3장 언론통제의 이론적 배경 = 39
1. 뢰플러의 언론관 = 41
2. 권위주의 이론 = 43
3. 언론도구화 정책 = 45
제4장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언론 = 48
1. 대중매체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 50
2. 이데올로기의 주요 기능 = 52
3. 이데올로기적 담론의 특성 = 54
제2부 언론통제의 구조 = 57
제1장 언론통제의 역사와 구조 = 60
1. 나치 독일의 언론통제 = 60
1) 괴벨스의 언론통제 = 60
2) 신문 폐간과 방송사 접수 = 62
3) 기자 자격제한과 보도지침 하달 = 64
2. 군국주의 일본의 언론통제 = 66
1) 언론통제 기관 = 67
2) 신문사 통폐합 = 69
3) 뉴스 검열기준 = 70
4) 전시하의 보도통제 = 72
3.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본 언론통제 구조 = 75
제2장 커뮤니케이터 통제 = 77
1. 언론인 강제해직 = 79
1) 박정희정권(1961년∼1962년) = 79
2) 전두환정권(1980년) = 81
2. 동아일보 기자 대량 해직(1974년∼1975년) = 95
1) 자유언론실천운동 = 96
2) 동아일보 기자 무더기 해고 = 103
3) 중정과 동아 경영진이 협의해 해고 = 109
4) 해고무효 소송 패소 = 114
3. 조선일보 기자 해직(1974년) = 121
1) 자유언론실천운동이 불씨 = 122
2) 해고기자 복직요구 농성 = 125
3) 훗날 조선일보 노조의 진상규명 = 129
4. 동아ㆍ조선투위 활동 방해 = 130
1) 보도되지 않은 '민권일지' 사건 = 130
2) 청우회 사건 등 중앙정보부 연행 = 134
3) 매스컴 관련 재취업 방해 = 137
5. 언론인 탄압 = 139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 141
2) 전두환정권(1980년∼1987년) = 190
6. 언론인 회유 = 216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 218
2) 전두환정권(1980년∼1987년) = 222
3) 경제적 특혜(1974년∼1987년) = 228
제3장 미디어 통제 = 231
1. 언론사 통폐합 = 233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 233
2) 전두환정권(1980년) = 238
2. 언론사 폐간 및 강탈(1961년∼1966년) = 252
1) 민족일보 폐간(1961년) = 252
2) 문화방송 강탈(1961년) = 255
3) 경향신문 강제 매각(1966년) = 257
3. 조선ㆍ동아 광고탄압(1973년∼1975년) = 263
1) 조선일보 광고탄압(1973년) = 263
2) 동아일보 광고탄압(1974년∼1975년) = 265
4. 언론사에 대한 특혜 = 296
1) 박정희정권(1962년∼1979년) = 296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 300
제4장 메시지 통제 = 304
1. 법적 규제 = 306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 307
2) 언론기본법(1980년) = 318
2. 계엄하 사전검열 = 326
1) 박정희정권(1961년) = 326
2) 전두환정권(1979년∼1980년) = 328
3. 보도지침 하달 = 339
1) 박정희정권(1972년∼1979년) = 340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 356
4. 대형사건 여론조작 = 364
1)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 365
2) 대학가 이념 조작(1984년∼1985년) = 374
3) 금강산댐 조작(1986년) = 379
4) 관계기관 여론 조작(1985년∼1987년) = 384
5) 방송 프로그램 통제(1973년∼1987년) = 390
5. 외신에 대한 통제 = 398
1) 박정희정권(1963년∼1979년) = 398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 406
6. 신동아ㆍ월간조선 제작방해(1987년) = 410
1) 사건 경과 = 411
2) 위법성 논란 = 412
제3부 '언론탄압의 완결판' 보도지침 = 415
제1장 보도지침 사건 = 418
1. 보도지침 폭로(1986년) = 419
1)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기관지〈말〉 = 421
2) 보도지침 자료 전달 = 422
3)〈말〉특집호 제작 = 424
4) 보도지침 폭로 이유 = 426
5) 보도지침 공개 기자회견 = 430
6) 국내외 인권단체의 석방촉구 = 431
2. 재판과정의 의혹(1987년) = 434
1) 국가보안법 등 위반 혐의 = 434
2) 인권변호사 총출동 = 435
3) '증인 취소는 외압' = 437
4) '갈등 끝의 타협' = 439
3. 대법원서 무죄 확정(1995년) = 440
1) 변호인 3명 타계 = 440
2) 9년 여 만에 재판 끝나 = 441
제2장 보도지침의 하달 및 이행 = 444
1. 보도지침의 산실 = 444
1) 홍보조정실 설치 = 446
2) 언론통제에 베테랑 기자 출신 포진 = 448
3) 안기부ㆍ보안사와 협의 = 449
4) 국회 언론청문회 = 451
2. 언론사의 보도지침 처리 = 453
1) 보도지침 이행률 = 454
2) 보도지침에 얽힌 이야기 = 456
3) 보도지침 처리 유형 = 459
3. 보도지침 위반 시 보복 = 462
1) 편집국장 경질 = 463
2) 안기부 연행 고문 = 464
제3장 보도통제 지시방향 = 467
1. 박정희정권(1975년∼1979년) = 467
1) 전면통제와 부분통제 = 468
2) 사전통제와 사후통제 = 469
3) 내용이 불분명한 통제 = 470
4) 방송통제의 강화 = 470
2. 전두환정권 시절(1985년∼1986년) = 472
1) 치밀하고 구체적인 지시 = 472
2) 내용 통제 = 475
3) 형식 통제 = 476
4) 언어 통제 = 480
제4장 보도지침과 군사정권의 성격 = 482
1. 박정희정권(1975년∼1979년) = 482
1) 보도지침의 통제내용 분석 = 482
2) 보도지침을 통해 본 정권의 특성 = 483
2. 전두환정권(1985년∼1986년) = 492
1) 보도지침의 통제대상 = 493
2) 보도지침을 통해 본 정권의 성격 = 495
제4부 군사정권 이후의 정부와 언론 = 499
제1장 언론권력의 등장 = 502
1. 언론의 대통령 만들기 = 503
1) 편파ㆍ왜곡 보도로 특정후보 편들기 = 503
2) 지역감정ㆍ색깔론 조장 = 505
3) 기자 80% "2002년 대선보도는 편파적" = 506
2. 자본통제의 심화 = 507
제2장 역대 정부와 언론의 관계 = 511
1. 언론과 국가, 자본 = 511
1) 노태우정부 = 511
2) 김영삼정부 = 512
3) 김대중정부 = 512
4) 노무현정부 = 513
2. 역대 정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 514
1) 조선, 부정적 보도 '전두환 0.8%, 노무현 50%' = 514
2) 조선ㆍ동아, 노대통령 부정적 사설 압도적 = 515
3. 해직언론인 원상회복 노력 = 518
1) 해직 언론인 복직 촉구 = 518
2) 언론인 해직 진상 규명 = 519
3) 행정심판ㆍ국가배상 기각 = 520
제3장 노태우정권의 언론통제(1987년∼1992년) = 522
1. 언론노조의 결성 = 523
2. 언론인 개별접촉 보고서 = 524
1) 은밀하게 언론인 접촉 = 525
2) 기사 삭제, 뉴스순서 조정 요구 = 526
3) 안기부 등과 언론통제 협의 = 527
3. 권언유착의 지속 = 528
제4장 김영삼정부와 언론(1992년∼1997년) = 531
1. 언론개혁 정책 추진 = 531
1) 신문시장 불공정거래 조사 = 532
2) 언론사 세무조사 = 533
2. 언론권력의 '대통령 만들기' = 534
1) 언론의 권력 행사 = 534
2) 노골적인 '권력 만들기' = 535
3. 언론권력의 '정권 죽이기' = 536
제5장 김대중정부와 언론(1997년∼2002년) = 538
1. 통합방송법의 제정 = 538
1) 방송의 독립성 = 539
2) 방송위원회의 위상 = 540
2. 언론개혁 정책 추진 = 540
1) 언론사 세무조사 = 541
2) 신문고시의 부활 = 542
3. 언론권력의 파상 공격 = 543
제6장 노무현정부의 언론정책(2002년∼2007년) = 544
1. 보수언론 끈질긴 공세 = 544
2.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관 = 546
1) 언론관의 핵심 = 546
2) 보수언론의 비판 = 547
3. 대통령과 보수언론의 대립각 = 548
1) 대통령의 보수언론 공격 = 548
2) 보수언론의 반박 = 550
4. 새로운 언론정책 시행 = 552
1) '거버넌스 시대에 맞는 언론' = 552
2) 언론 관련법 제정과 위헌소송 = 553
3) 언론정책에 대한 반발 = 554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