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61n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500019 | |
005 | 20111215140340 | |
007 | ta | |
008 | 090204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0801 ▼g 9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25.352 ▼2 22 |
085 | ▼a 325.352 ▼2 DDCK | |
090 | ▼a 325.352 ▼b 2009 | |
245 | 0 0 | ▼a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 ▼d 이승일 [외]지음 |
246 | 1 1 | ▼a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lonial modernity"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09 | |
300 | ▼a 365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 ▼v 39 |
500 | ▼a 공저자: 김대호, 정병욱, 문영주, 정태헌, 허영란, 김민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승일 ▼g 李昇一, ▼e 저 ▼0 AUTH(211009)15591 |
700 | 1 | ▼a 김대호 ▼g 金大鎬, ▼e 저 ▼0 AUTH(211009)38559 |
700 | 1 | ▼a 정병욱 ▼g 鄭昞旭, ▼e 저 |
700 | 1 | ▼a 문영주 ▼g 文暎周, ▼e 저 |
700 | 1 | ▼a 정태헌 ▼g 鄭泰憲, ▼e 저 |
700 | 1 | ▼a 허영란 ▼g 許英蘭, ▼e 저 ▼0 AUTH(211009)106462 |
700 | 1 | ▼a 김민영 ▼g 金旻榮, ▼e 저 ▼0 AUTH(211009)100231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11530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115293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212158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512696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512717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11530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115293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212158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512696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52 2009 | 등록번호 1512717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책머리에 = 10 일제의 조선 관습조사 사업 활동과 식민지 법 인식 / 이승일 Ⅰ. 머리말 = 13 Ⅱ. 근대 일본 정부의 민사관례조사 사업 = 16 Ⅲ. 대한제국 법전조사국의 관습조사 사업 = 22 Ⅳ.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법 제정과 조선 관습 = 48 Ⅴ. 조선민사령 제11조 '관습'과 법인화 = 55 Ⅵ. 맺음말 = 65 1910년대∼1930년대 초 경성신사와 지역사회의 관계 - 경성신사의 운영과 한국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대호 Ⅰ. 머리말 = 73 Ⅱ. 경성신사의 초기 모습 - 남산대신궁의 설립과 경성의 초혼제 = 78 Ⅲ. 1910년대∼1920년대 초반 경성신사의 운영과 씨자조직의 결성 = 88 1. 경성신사 운영 주체의 변화 = 88 2. 경성신사 씨자조직의 결성과 조선인 흡수 시도 좌절 = 94 3. 경성신사에서 지내는 여러 제사 = 111 4. 경성신사 마츠리의 시작과 확대 = 116 5. 신사의 운영 경비에 대한 조선인들의 반발 = 126 Ⅳ. 1920년대 중반∼1930년대 초 경성신사의 확장과 조선인의 포섭 = 135 1. 조선신궁의 건립과 경성신사의 위상 조정 = 135 2. 경성신사의 적극적인 조선인 흡수 = 144 3. 국혼신의 합사 = 151 4. 경성신사의 경내 확장 = 157 5. 경성신사에 대한 기타 지원 = 170 Ⅴ. 맺음말 = 174 경제성장론의 '인력개발' 인식 비판 / 정병욱 Ⅰ. 1994년 역사학계의 토론회 - 문제의 소재 = 187 1. 성장이냐 손실이냐 = 188 2. 성장의 양면성과 해방 후 연속성 = 190 3. 개발의 주체와 관점 = 192 4. 또 다른 '문제의 소개' = 194 Ⅱ. 인력개발론의 변화-안병직을 중심으로 = 196 1. 사라진 것-왜곡과 계급의식 = 196 2. 새호운 것-소농사회론 = 203 Ⅲ. 단선적 기원론의 문제점-에커트를 중심으로 = 205 Ⅳ. 최근의 비판을 보면서 - '자기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 209 '경제성장론'의 식민지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문영주 Ⅰ. 머리말 = 215 Ⅱ. 경제성장과 문명론 = 218 1. 식민지 경제의 성장지표 = 218 2. '탈민족 문명사'론 = 224 Ⅲ. 식민지 현실의 양면 = 227 1. 통계의 주관성 = 227 2. 경제성장의 이면 = 229 Ⅳ. 맺음말 = 235 경제성장론 역사상의 연원과 모순된 근현대사 인식 / 정태헌 Ⅰ. 머리말 - 근대주의 역사인식과 식민사학의 친연성 = 245 Ⅱ. 자본주의와 식민지자본주의의 차이 = 248 1. 근대국가, 자본주의 성립의 기본 조건 = 248 2. 국가 없는 자본주의, 식민지자본주의 = 252 3. 식민지 인식 부재의 경험, 전향과 동화 = 257 Ⅲ. 경제성장론 식민지상의 '근대문명론' -국가인식의 결여 = 262 1. 국가와 민족을 배제한 '근대적 개인론' = 262 2. 신고전파적 시장만능론 = 266 3. 변용된 정체성론ㆍ타율성론 = 270 Ⅳ. 경제성장론의 허구적 대한민국 '정통론' - 국가론의 돌출 = 276 Ⅴ. 맺음말 = 281 생활수준 향상론 비판-생활과 경험이 없는 생활수준 논의의 한계 / 허영란 Ⅰ. 머리말 = 287 Ⅱ. 생활수준 향상론의 함의 = 289 Ⅲ. 생활수준 비교의 거시적 기준 = 293 Ⅳ. 생활수준 논쟁 = 298 Ⅴ. 거시적 추계와 역사적 사실성 = 305 Ⅵ. 생활 속의 식민지 경험 = 310 Ⅶ. 덧붙이는 말 = 313 식민지 시대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동원과 개별 기업의 책임 - 메이지광업(주)의 사례 / 김민영 Ⅰ. 머리말 = 319 Ⅱ. 강제동원과 기업의 책임 = 321 1. 야마다 쇼지의 국가 및 기업 책임론 = 321 2. 고쇼 다다시의 기업 책임론 - 미불금과 공탁문제 = 322 Ⅲ. 메이지광업(주)의 강제동원과 기업 책임 = 323 1. 니시키 탄광의 강제동원 = 323 2. 히라야마 탄광의 조선인 노동자 강제동원 = 325 3. 해방 전후 히라야마 탄광의 조선인 강제동원 = 337 Ⅳ. 맺음말 = 347 Abstract = 351 찾아보기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