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운동생리학
제1장 건강과 운동 = 15
1.1 건강과 체력 = 15
1.1.1 건강의 개념 = 15
1.1.2 체력의 개념 = 16
1.1.3 건강과 체력과의 관계 = 19
1.1.4 건강한 체력 = 20
1.2 운동부족과 그 영향 = 23
1.2.1 건강저해의 요인 = 23
1.2.2 체력감소 = 24
1.2.3 운동부족증 = 26
1.2.4 침상안정 검사 = 27
1.3 운동의 효과 = 29
1.3.1 체력의 변화 = 29
1.3.2 비만에 대한 효과 = 31
1.3.3 심장에 대한 효과 = 33
1.3.4 혈압에 대한 효과 = 37
1.3.5 동맥경화에 대한 효과 = 38
1.3.6 당뇨병에 대한 효과 = 40
1.3.7 요통에 대한 효과 = 41
1.3.8 자각적 효과 = 41
1.3.9 수명에 대한 효과 = 42
제2장 생체 에너지와 운동적응 = 45
2.1 에너지 발생의 구조 = 45
2.1.1 에너지 개념 = 45
2.1.2 근수축 에너지 = 47
2.1.3 ATP의 보급계 = 51
2.1.4 운동종목과 사용되는 에너지 = 57
2.2 유산소 능력과 무산소성 작업 역치 = 59
2.2.1 유산소 능력 = 59
2.2.2 최대산소 섭취량 = 60
2.2.3 최대산소 섭취량의 결정법 = 62
2.2.4 무산소성 역치 = 65
2.2.5 총산소 섭취량 = 67
2.3 산소부채와 무산소 능력 = 67
2.3.1 산소부채 = 67
2.3.2 무산소 능력 = 69
2.4 운동과 호흡 = 70
2.4.1 호흡계의 구조 = 70
2.4.2 호흡의 종류 = 72
2.4.3 호흡운동 = 73
2.4.4 폐용적과 폐용량 = 74
2.4.5 환기 = 76
2.4.6 확산 = 76
2.4.7 헤모글로빈 = 78
2.4.8 호흡기능의 평가방법 = 80
2.5 운동과 순환 = 81
2.5.1 체순환 = 82
2.5.2 폐순환 = 84
2.6 심박동수 = 85
2.6.1 펌프로서의 심장 = 87
2.6.2 스포츠 심장 = 88
2.6.3 근 펌핑 작용 = 89
2.6.4 혈류 배분 = 90
2.6.5 혈압 = 91
2.7 심전도 = 92
2.7.1 심전도의 정의 = 92
2.7.2 심근세포의 전기ㆍ생리학적 특성 = 92
2.7.3 심장의 박동과 심전도 = 93
2.7.4 기본파형 = 94
2.7.5 심전도 검출방법 = 96
2.7.6 정상 심전도 = 98
2.8 근전도 = 104
2.8.1 근전도란 무엇인가? = 104
2.8.2 표면근전도 시스템의 구성성분 = 105
2.8.3 표면근전도 신호의 기록 = 106
2.8.4 기록된 신호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 = 110
2.8.5 기록된 표면근전도 신호 해석하는 방법 = 114
2.8.6 임상적용의 예 = 116
2.9 신경전도 검사 = 118
2.9.1 신경의 전기생리 = 118
2.9.2 말초신경의 전도속도 검사 = 120
2.9.3 후기반응 = 124
2.9.4 신경전도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127
2.10 운동과 신경 = 128
2.10.1 2개의 운동 신경계 = 128
2.10.2 운동단위 = 128
2.11 운동과 영양 = 129
2.11.1 에너지의 수지 = 129
2.11.2 영양의 균형 = 130
2.11.3 수분 = 130
2.11.4 글리코겐 로딩 = 131
2.11.5 연료로서의 지방 형태 = 131
2.11.6 식사시간과 운동 = 132
2.12 운동과 체온조절 = 133
2.12.1 운동시의 체온 = 133
2.12.2 체온조절 = 134
2.12.3 운동 중 체온 변화 = 141
2.12.4 체온 조절 기전 = 143
2.12.5 고온에서의 운동 = 144
2.12.6 추위에서의 운동 = 146
2.12.7 워밍업 = 148
2.13 운동과 환경 = 148
2.13.1 운동과 기온 = 148
2.13.2 운동과 고지 = 149
2.14 운동과 연령 = 154
2.14.1 신체활동의 감소 = 154
2.14.2 체력과 예비력의 감소 = 154
2.14.3 병의 발생 = 155
2.14.4 조직의 약화 = 155
2.14.5 기능적 유연성의 감소 = 156
2.14.5 개인차의 확대 = 156
2.14.7 훈련 가능성의 감소 = 157
2.14.8 혈압의 상승 = 158
2.14.9 최대심박동수의 감소 = 158
2.15 운동의 강도와 양의 표시방법 = 158
2.15.1 kgm/분 또는 kpm/분 = 158
2.15.2 watt(W) = 159
2.15.3 칼로리(kcal/분) = 159
2.15.4 산소소비량(VO₂) = 159
2.15.5 심박동수 = 160
2.15.6 RMR과 METS = 162
2.15.7 자각적 운동강도(RPE) = 164
2.15.8 소비 에너지 = 165
제3장 운동단위 = 167
3.1 골격근의 구조 = 167
3.1.1 골격근 = 169
3.2 심장근 = 177
3.3 근섬유의 종류 = 179
3.3.1 수축속도의 차이 = 180
3.3.2 대사적 특성의 차이 = 181
3.3.3 신경학적 특성의 차이 = 182
3.4 근 위축과 비대 = 183
3.4.1 근위축 = 183
3.4.2 근비대 = 184
3.5 감각수용기 = 185
3.5.1 근방추 = 185
3.5.2 골지건기관 = 190
3.5.3 자율신경종말 = 191
3.5.4 파치니소체 = 191
3.6 평활근 = 192
3.6.1 평활근 섬유의 구조 = 192
3.6.2 평활근의 미세구조 = 193
제4장 운동기능의 신경생리 = 195
4.1 말초신경의 구조와 전도방식 = 195
4.1.1 신경계의 기본구성 = 195
4.1.2 신경계의 기능 = 196
4.1.3 신경조직 = 196
4.1.4 신경원 = 197
4.1.5 전도방식 = 205
4.2 말초신경계 = 214
4.2.1 말초신경계의 구성 = 214
4.2.2 말초신경의 구조 = 214
4.3 자율신경계 = 219
4.3.1 자율신경계의 발달 = 219
4.3.2 자율신경계의 개관 = 219
4.3.3 자율신경계의 기능 = 223
4.3.4 자율신경계의 해부 = 225
4.3.5 자율신경계의 항상성 불균형 = 230
4.3.6 운동과 자율신경계와의 연관성 = 231
4.4 중추신경계 = 233
4.5 척수의 구조 = 235
4.6 척수반사 = 240
4.6.1 1차 신장반사 = 240
4.6.2 2차 감각성 신경원 반사 = 242
4.6.3 추내운동 반사 = 254
4.6.4 골지건기관 반사 = 256
4.6.5 통증성 굴곡반사 = 257
4.7 상척추 반사 = 259
4.7.1 긴장성 경반사 = 259
4.7.2 정적 미로반사 = 262
4.7.3 동역학적 미로반사 = 269
4.7.4 양성지지 반응과 음성지지 반응 = 272
4.7.5 정위반사 = 272
4.7.6 안면근과 설근의 반사들 = 275
4.8 운동기능에 대한 대뇌의 협응 = 276
제5장 운동과 피로 = 281
5.1 근수축 = 281
5.2 근작용의 신경학적 통합 = 284
5.3 근작용의 생리적 적용 = 286
5.4 전신기능에 관련된 운동 = 291
5.5 훈련과 피로 = 296
5.5.1 피로의 정의 = 296
5.5.2 피로의 분류 = 297
5.5.3 피로의 단계 = 297
5.5.4 피로의 증세 = 297
5.5.5 피로의 원인 = 298
5.5.6 피로 지수 = 301
5.5.7 피로 유발인자 = 301
5.5.8 근피로의 정량적 평가 방법 = 303
5.5.9 운동 형태에 따른 근피로의 원인 = 304
5.5.10 최대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 제한 요인 = 305
5.5.11 최대 유산소성 운동수행 능력을 제한하는 요인 = 306
제2부 운동처방
제6장 건강을 위한 운동처방 = 311
6.1 운동처방과 연구방향 = 311
6.1.1 운동처방의 의의 = 311
6.1.2 운동처방의 과정 = 311
6.2 의학검사 = 314
6.3 체력검사 = 315
6.3.1 체력검사의 목적 = 315
6.3.2 검사방법 = 316
6.3.3 체력의 종합평가 방법 = 328
6.4 운동부하 검사 = 330
6.4.1 검사목적 = 330
6.4.2 검사방법 = 331
6.5 건강에 좋은 운동종목 = 334
6.5.1 운동의 세 가지 형태 = 334
6.5.2 유산소 운동의 특징 = 335
6.5.3 무산소 운동의 특징 = 339
6.5.4 혼합운동의 특징 = 339
6.6 적정 운동강도 = 339
6.6.1 안정성으로 볼 때의 한계 = 339
6.6.2 효과적인 면에서의 한계 = 341
6.6.3 처방의 기준 = 342
6.7 운동시간, 운동량의 결정 = 343
6.7.1 운동시간 = 343
6.7.2 운동량의 산출 = 345
6.8 운동빈도 = 345
6.9 컨디셔닝 = 347
6.10 고령자에 대한 운동처방 = 349
6.10.1 주의사항 = 349
6.10.2 고령자에 적당한 운동 = 350
6.11 발육기의 운동처방 = 350
6.11.1 발육기 운동의 의의 = 350
6.11.2 운동능력의 발달 = 351
6.11.3 발육단계에 따른 운동방향 = 354
6.12 여성, 임부의 운동처방 = 356
6.12.1 여성의 신체와 체력 = 356
6.12.2 성기능과 월경 = 357
6.12.3 임신과 운동 = 358
6.13 비만자의 운동처방 = 359
6.13.1 1kg의 감량에 필요한 운동 = 359
6.13.2 비만자에 적당한 운동 = 360
6.13.3 운동요법의 장점 = 360
6.14 체력요소별 운동법 = 361
6.14.1 전신 지구력 = 361
6.14.2 근지구력 = 362
6.14.3 근력 = 362
6.14.4 순발력 = 362
6.14.5 민첩성 = 362
6.14.6 유연성 = 363
6.14.7 평형성 = 363
6.15 안전대책 = 363
6.15.1 운동 전의 안전대책 = 363
6.15.2 운동 중의 안전대책 = 365
6.15.3 운동 후의 안전대책 = 368
제7장 만성질환의 운동생리학적 접근 = 371
7.1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운동생리학적 접근 = 371
7.1.1 원인 = 371
7.1.2 동맥경화와 허혈 = 372
7.1.3 트레이닝의 효과 = 372
7.1.4 운동부하 검사시 유의사항 = 373
7.1.5 검사종료의 기준 = 375
7.1.6 전체적 환자 감독 = 376
7.1.7 운동검사 해석 = 376
7.1.8 운동의 선택 = 376
7.1.9 운동강도 규정 = 377
7.1.10 결론 = 379
7.2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운동생리학적 접근 = 379
7.2.1 원인 및 병리 = 380
7.2.2 증상 = 381
7.2.3 진단 및 평가 = 382
7.2.4 치료의 유형 = 383
7.2.5 운동평가 및 운동처방 = 385
7.2.6 결론 = 387
7.3 요통의 운동생리학적 접근 = 388
7.3.1 요통과 침상안정 = 388
7.3.2 요통과 운동 = 390
7.3.3 질환에 따른 요통 운동 = 392
7.3.4 요통과 운동처방 = 392
7.3.5 요통의 보완적 치료 = 393
7.3.6 결론 = 395
7.4 비만의 운동생리학적 접근 = 395
7.4.1 비만의 정의 = 396
7.4.2 비만의 측정 = 396
7.4.3 비만의 분류 = 399
7.4.4 비만의 원인 = 400
7.4.5 비만의 합병증 = 402
7.4.6 비만의 치료 = 404
7.4.7 비만치료를 위한 운동처방학적 고찰 = 405
7.4.8 결론 = 409
7.5 임산부를 위한 운동생리학적 접근 = 409
7.5.1 임신시 운동의 생리적 측면 = 409
7.5.2 임신시 운동에 대한 호르몬 반응과 기질의 활용 = 410
7.5.3 임신 중 운동시 체온조절 = 411
7.5.4 육체적 활동이 왕성한 임신에서의 영양 = 411
7.5.5 임신과 산욕기 동안의 운동 = 412
7.5.6 운동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 413
7.5.7 정상임부가 자각하는 피로 = 414
7.5.8 임신 중의 운동 = 414
7.5.9 임신 중의 생리적 변화 = 415
7.6 당뇨병에 대한 운동생리학적 접근 = 416
7.6.1 당뇨병의 정의 = 416
7.6.2 당뇨병의 종류 = 416
7.6.3 당뇨병과 운동 = 417
7.6.4 운동과 Ⅰ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 418
7.6.5 운동과 Ⅱ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 421
7.6.6 운동요법 = 422
7.6.7 당뇨환자가 운동할 때 주의할 점 = 424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