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가 이미지 : 이론·전략·프로그램

국가 이미지 : 이론·전략·프로그램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재웅.
서명 / 저자사항
국가 이미지 : 이론·전략·프로그램 / 유재웅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CommunicationBooks :   CB ,   2008.  
형태사항
ix, 216 p. : 삽도 ; 23 cm.
ISBN
9788984999312
서지주기
참고문헌(p. 201-213) 및 찾아보기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비통제주제어
브랜드마케팅 , 국가이미지 ,,
000 00725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99165
005 20100807095700
007 ta
008 081009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84999312 ▼g 93300: ▼c \19,000
035 ▼a (KERIS)BIB000011469295
040 ▼a 211023 ▼c 211023 ▼d 211023 ▼d 244002
082 0 4 ▼a 659.2935 ▼2 22
090 ▼a 659.2935 ▼b 2008
100 1 ▼a 유재웅.
245 1 0 ▼a 국가 이미지 : ▼b 이론·전략·프로그램 / ▼d 유재웅 지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b CommunicationBooks : ▼b CB , ▼c 2008.
300 ▼a ix, 216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01-213) 및 찾아보기수록
504 ▼a 서지적 각주 수록.
653 ▼a 브랜드마케팅 ▼a 국가이미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2935 2008 등록번호 1512677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는 28년간 정부에서 국내외 홍보업무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이미지에 관한 이론과 연구 경향, 외국의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는 어떠한 목표와 전략, 프로그램을 가져야 하는지 제시한다. 제1부는 이론 편으로, 국가 이미지의 개념에서부터 특징, 국가 이미지 형성 이론, 국가 이미지 형성 요소, 국가 이미지 측정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제2부는 실전 편으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국가 이미지 문제는 실질의 문제이므로 실전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최대한 담아보고자 했다"는 저자의 말처럼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각국의 실전 사례를 분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재웅(지은이)

을지대학교 홍보디자인학과 교수다. 국내외 공공 PR 분야에 있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PR 전문가로 학계와 언론계로부터 평가받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23회 행정고등고시(1979)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다. 공보처 홍보, 기획, 방송, 신문과장, 청와대 국정홍보 담당 과장, 국장, 국정홍보처 국정홍보국장, 홍보기획국장, 대통령홍보기획비서관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약 4년간 정부의 해외 PR 업무를 총괄하는 해외홍보원장(차관보)을 지냈다. 저서로는 ≪위기 사회 대한민국, 생생한 사례연구≫(2021), <30대 뉴스에서 PR을 읽다≫(2019, 공저), ≪PI, 최고책임자의 이미지관리≫(2017), ≪이미지 관리≫(2016), ≪한국사회의 위기 사례와 커뮤니케이션 대응 방법≫(2016), ≪위기관리의 이해≫(2015), ≪정부 PR≫(2014), ≪국가 이미지≫(2013) 등이 있다. 역서로 ≪PR이론≫(2010, 공역), ≪이미지 외교≫(2008, 공역)가 있고 다수의 논문을 SSCI급 국제 학술지 및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정부 및 각종 기관의 PR 관련 자문 및 심사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로부터 대통령표창, 근정포장,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1 국가 이미지 이론
 Chapter 1 세계의 이미지 경쟁 = 3
 Chapter 2 이미지의 정의 = 9
  1. 이미지 = 9
  2. 명성 = 12
  3. 국가 이미지 = 14
 Chapter 3 이미지와 실체 = 20
  1. 이미지의 유형 = 20
  2. 이미지의 특성 = 21
 Chapter 4 이미지 구조와 형성 과정 = 24
  1. 인지론 및 인지구성주의 = 24
   1) 이미지에 대한 인지론적 접근 = 24
   2) 인지구성주의 = 26
  2. 대상-결정론과 인적-결정론 = 28
  3. 이미지 형성 과정 이론 = 29
 Chapter 5 국가 이미지의 연구 영역 = 32
  1. 해외의 국가 이미지 연구 흐름 = 32
  2. 국내의 국가 이미지 연구 경향 = 35
 Chapter 6 국가 이미지의 형성 요소와 경로 = 38
  1. 이미지 형성 요소 = 38
   1) 기업 이미지 형성 요소 = 40
   2) 정부 기관 이미지 형성 요소 = 41
   3) 국가 이미지 형성 요소 = 43
  2. 국가 이미지 형성 경로 = 48
 Chapter 7 국가 이미지 측정 = 51
  1. 이미지 측정 = 51
  2. 명성 측정 = 53
  3. 브랜드 자산 가치 측정 = 55
  4. 국가 경쟁력 측정 = 60
  5. 국가 이미지 측정 = 65
   1) 마틴과 에로글루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65
   2) 피사로디와 파라메스와란의 원산지 이미지 측정 척도 = 67
   3) 이규완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70
   4) 오미영ㆍ박종민ㆍ장지호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72
   5) NIIS 국가 이미지 지표개발(안) = 74
  6. 한국의 국가 이미지 조사 사례 = 79
   1) 미국, 독일, 일본 대상 국가 이미지 조사 = 79
   2) 중국, 인도, 러시아 대상 한국 이미지 조사 = 87
   3) 선진 5개국 대상 한국 인식 조사 = 89
   4) 2005 국가 이미지 조사 = 91
   5) 한국 문화 콘텐츠 소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 조사 = 92
 Chapter 8 국가 이미지와 국가 경쟁력 = 98
  1. 국가 이미지가 상품 경쟁력을 높인다 = 99
  2. 국민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국가 이미지 = 103
2 국가 이미지의 전략과 프로그램
 Chapter 9 해외 사례 = 107
  1. 미국 = 109
   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09
   2) 스마트 파워 강화 방안 = 113
  2. 영국 = 118
   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18
   2) 이미지 외교 다각화 방안 = 120
  3. 프랑스 = 125
   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25
   2) 24시간 뉴스 전문 TV 채널 'France24' 개시 = 127
  4. 독일 = 130
   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30
   2) '아이디어의 나라' 캠페인 = 132
  5. 일본 = 139
   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39
   2) 일본의 발신력 강화 방안 = 141
  6. 노르웨이 = 151
   1) 추진 시스템 = 151
   2) 틈새 외교로 국가 이미지 제고 = 152
  7. 덴마크 = 153
  8. 요약 = 156
 Chapter 10 한국의 국가 이미지 프로그램 = 161
  1. 국가 이미지 제고 활동의 현 주소 = 161
   1) 스포츠 이벤트와 국가 이미지 = 161
   2) 정부 주도의 추진 시스템 = 162
   3) 그간의 국가 이미지 제고 활동 = 164
  2. 무엇이 문제인가? = 168
   1) 목표와 프로그램 = 168
   2) 추진 시스템 = 174
   3) 자원의 배분 = 176
   4) 평가 관리 = 179
  3. 6대 발전 전략과 실행 프로그램 = 180
   1) 목표와 추진 전략을 명확히 한다 = 180
   2) 범국가 차원의 '컨트롤 타워'를 만들자 = 182
   3) 자원 투입을 확충하고 효율화한다 = 187
   4) '선택과 집중' 원칙을 적용하자 = 189
   5) 민간의 이미지 외교 역량을 대폭 강화한다 = 191
   6) 프로그램의 사전 조사, 성과 분석을 제도화한다 = 199
참고문헌 = 201
찾아보기 = 21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