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대한민국 국가전략 : 대한민국 세계전략, 선진화혁명, 그리고 공동체자유주의 (Loan 2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세일
Title Statement
대한민국 국가전략 : 대한민국 세계전략, 선진화혁명, 그리고 공동체자유주의 / 박세일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21세기북스,   2008   (2009)  
Physical Medium
367 p. ; 23 cm
Series Statement
KI신서 ;1604
ISBN
9788950916633
000 00689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497760
005 20110526102751
007 ta
008 090116s2008 ggk 000c kor
020 ▼a 9788950916633 ▼g 0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0.6095195 ▼2 22
085 ▼a 320.60953 ▼2 DDCK
090 ▼a 320.60953 ▼b 2008
100 1 ▼a 박세일 ▼0 AUTH(211009)144189
245 1 0 ▼a 대한민국 국가전략 : ▼b 대한민국 세계전략, 선진화혁명, 그리고 공동체자유주의 / ▼d 박세일 지음
246 1 1 ▼a Korea's grand national strategy
260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08 ▼g (2009)
300 ▼a 367 p. ; ▼c 23 cm
440 0 0 ▼a KI신서 ; ▼v 1604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1115272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1116279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5210037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1115272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1116279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0.60953 2008 Accession No. 5210037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역사적 전환점을 맞은 대한민국이 앞으로 어떤 길을 가야 할지를 모색한다. 저자는 앞으로 대한민국이 성장의 단계를 넘어 성숙의 단계로 진입하려면 국가운영시스템 전반의 대대적 제도개혁을 비롯해 전 부문에서 혁명적 수준의 대대적 국가대개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구에 대한 모방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우리 것과 서구의 것을 통합하고 융합해 대한민국식 선진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저자는 세계의 변화상을 잘 포착해 국가이익을 최대화하는 세계전략, 철학과 전략을 통해 살펴보는 21세기 대한민국의 선진화 혁명과 선진화를 위한 10가지 국가과제 등을 제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세일(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일본 동경대 대학원(경제학과) 수학 미국 Cornell 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미국 Columbia 대학교 로스쿨 초빙연구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대통령 정책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 사회복지수석비서관 미국 Brookings 연구소 초빙연구원 한국경제학회 청람상 수상 제1대 한국법경제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국회의원 2017년 별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1부 대한민국의 세계전략
 1장 세계전략이란 무엇인가 = 21
  국가전략과 세계전략
  세계전략의 구성
  올바른 세계전략을 위한 조건
 2장 대한민국은 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 24
  1. 냉전의 종식 = 25
  2. 세계화의 시대 = 27
  3. 선진화 목표 = 30
 3장 세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 32
  1. 세계의 변화 - 세 가지 가능성 = 32
   (1) 비관론(Realistic pessimism) = 32
   (2) 낙관론(Idealistic optimism) = 35
   (3) 표류론(Mudding through) = 36
  2. 북한의 변화 = 41
   북한 변화, 소프트 랜딩이냐? 하드 랜딩이냐?
   친중적(親中的) 방향이냐? 친한적(親韓的) 방향이냐
   북의 변화가 대한민국 세계전략에 주는 의미와 과제
   확실한 방향과 원칙 가진 개입정책
 4장 대한민국의 국가이익은 무엇인가 = 48
  국가이익의 구성 요소
  국가안보 국민번영에 북한 문제 밀접
  국가이익에 관한 사활적 도전들
 5장 대한민국은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 54
  1. 국가안보를 위한 전략 = 54
   (1) 대(對) 동아시아 구상 : 역사(歷史)인가 시장(市場)인가? = 54
    중화질서로 복귀인가? 자유질서로 진일보인가?
    20세기적 전략과 21세기적 전략의 차이
    자강(自强) 동맹(同盟) 균세(均勢), 그리고 상호통합의 네트워크전략
   (2) 대북(對北)구상 = 69
    국론의 통일
    원칙 있는 관여정책, 효과적 관여정책
    대북정책, 우리 입장의 확실한 전달에서 출발
    흡수통일 대비해 4강과 적극적 제휴
  2. 국민번영을 위한 세계전략 = 81
   (1) 시장의 확대 = 81
   (2) 과학기술력의 제고 = 83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의 특징
    세계 최고 인재들이 몰려드는 대한민국
   (3) 투자극대화 전략 = 88
    세계화시대의 투자를 결정하는 요인들
    발전균형 통해 소수의 경제적 강소국 만드는 전략
    비교우위 창출전략
    선택과 집중으로 선진국형 비교우위 창출
  3. 세계공헌(영향)을 위한 전략 = 98
   (1) 다문화, 다인종, 다종교 공생의 시대의식 = 98
   (2) 국가정체성의 재창조 = 102
   (3) 세계통치구조의 재구축 = 108
 6장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 110
  1. 세계전략의 추진체계 = 110
  2. 대북전략의 추진체계 = 112
   정책정상화, 국론통일이 우선 필요
   안보ㆍ통일ㆍ외교정책을 차별화
  3. 종합국력의 중요성 = 116
   강력한 종합국력과 올바른 세계전략의 결합
2부 한반도 선진화 혁명 : 철학과 전략
 1장 지난 60년의 회고 : 건국 - 산업화 - 민주화 = 121
 2장 21세기 국가목표 : 선진화 혁명 = 123
  제1단계 : 남한의 선진국 진입과 북한의 근대화 혁명
  제2단계 : 남한의 선진화 완성과 북한의 근대화 성공 후 선진국 진입
 3장 선진화란 무엇인가 : 선진국의 5대 조건 = 127
  경제적 선진화 : 일인당 소득 3만 불의 '항아리형' 경제
  정치적 선진화 : 포퓰리즘(populism)을 넘어 '자유민주주의'로
  사회적 선진화 : 군자와 교양인의 사회
  문화적 선진화 : 다문화 공생사회
  국제적 선진화 : 세계 공헌국가
 4장 선진화의 목표 : '국가이상(國家理想)'으로의 선진국 = 139
 5장 동양적ㆍ한국적 선진국 : 5대 조화사회 = 142
  물질과 정신의 조화 : 선진국병이 없는 선진화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
  과거, 현재, 미래의 조화
  민족과 세계의 조화 : 다문화, 다민족, 다종교의 공생 사회
  지도자와 국민의 조화
 6장 선진화의 철학 : 공동체자유주의 = 149
  공동체자유주의란?
  왜 공동체자유주의여야 하는가?
 7장 21세기 세계화시대의 특징 = 155
  과부유(over-affluence)
  메가 경쟁(mega-competition)의 시대
  위험사회(risk society)
  생태위기(ecological crisis)
  새로운 통치구조(new governance)
 8장 세계화시대의 정책적 함의 = 160
  구조조정의 상시화
  열린 사고와 유연조직
  관계성과 공조 강화
  신(新)정체성(new identity)의 창조
 9장 우리 민족의 3대 특장 = 164
  회통(會通)의 사상
  정명(正名)의 철학
  역동의 문화
 10장 선진화 5대 전략 = 169
  (1) 세계화전략 - 발신형(發信型) 세계화 = 169
  (2) 자유화전략 = 176
  (3) 분권화ㆍ다주체화(多主體化)전략 = 182
  (4) 자존(自尊) 정신과 공동체 강화 = 185
  (5) 국가 및 사회리더십 개혁 = 190
 11장 선진화 주체세력 : 국민통합과 3대 주체 = 199
  (1) 국민통합 :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 = 199
  (2) 선진화 정치세력 = 205
  (3) 선진화 정책세력 = 206
  (4) 선진화 국민운동 = 208
 12장 위대한 도약 = 210
3부 선진화를 위한 10대 국가과제
 1장 문제의 제기 :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려면? = 215
  역사관ㆍ헌법위상ㆍ국가리더십 바로 세우기
  동북아구상ㆍ세계전략 바로 세우기
  구(舊) 발전모델을 넘어 신(新)발전체제를 수립해야
  신(新)사회통합정책으로 국민통합
 2장 선진화를 위한 10대 국가과제 = 224
  (1) 바른 역사관의 정립 = 224
   발전적 계승의 균형적 역사관
  (2)헌법존중과 법치주의 = 227
   애국심은 국가발전의 원동력
   헌법 바르게 지키고 바르게 사랑하기
  (3) 역사 전환적 국가리더십 = 232
   포퓨리즘 극복이 선진화의 출발
   포퓨리즘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4) 동북아구상과 세계전략 = 240
   동북아에서 단일패권대국의 등장을 막으려면?
  (5) 대북정책의 정상화 = 244
   북의 변화 위한 원칙 있는 개입정책
  (6) 세계일류의 창조교육 = 248
   교육경쟁력 높이려면
   자율과 개방의 민간주도 교육
  (7) 세계최고의 과학기술혁신체제 = 253
   모방에서 창조기술로의 전환
   R&D투자 증대시키려면
   투자결정 핵심은 교육경쟁력과 도시경쟁력
  (8) 강소(强小)정부와 민관(民官)협치 = 260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정부역할 집중
   강소(强小)정부가 되려면?
  (9) 광역분권형 국가경영 = 265
   균형발전 아니라 발전균형이 필요
   일본에서는 도주(道州)제 도입 진행
   수도와 도시가 발전해야 지방이 발전
  (10) 평생복지-평생고용-평생교육의 3각안전망 = 272
 3장 누가 선진화를 이룰 것인가 = 276
  3대 세력이 함께 선진화과제 수행
4부 공동체자유주의 : 이념과 정책
 1장 통합과 발전을 위한 신(新)이념의 필요 = 283
  1. 구(舊)우파와 구(舊)좌파의 대립을 넘어 = 283
   공동체자유주의로 국민통합과 국가발전
  2.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결합 = 293
   서양 자유주의의와 서양 공동체주의 결합
   정치적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결합
   서양 자유주의와 동양 공동체주의 결합
 2장 왜 공동체자유주의인가? = 301
  1. 두 가지 자유주의 = 301
   선호적(選好的) 자유주의 對 이성적(理性的) 자유주의
  2. 이론적 이유 - 실재론과 당위론 = 306
  3. 실재론(존재론)적 이유 = 311
  4. 당위론적 이유 = 322
   선(善)한 공동체(a good society)
   선한 공동체 - 예의염치(禮義廉恥)의 정신
   공사(公私)조화 공동체 - 자유와 질서가 조화된 사회
   역사존중 공동체
 3장 어떻게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할 것인가 = 336
  1. 국가정책의 내용과 방향 = 337
   (1) 자유 확대와 투명성 제고 = 337
    3권분립의 정착, 탈규제의 경제정책
    학생만 아니라 학교, 교사, 교육부도 경쟁
    국제관계 - 자강, 동맹, 균세정책 강화
   (2) 공동체 연대 = 343
    민주정치 교육, 정치지도자 교육 필요
    경제정책과 공동체자유주의
    교육정책과 공동체자유주의
    국제정책과 공동체자유주의
  2. 국가정책의 입안과 집행 = 350
   (1) 현장(現場)주의와 당사자주의 = 350
   (2) 역사존중과 협치(協治)의 원리 = 352
 4장 인류 보편의 가치규범 = 355
주석 = 35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Arneil, Barbara (2023)
Negri, Antonio (2022)
박민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