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역사 속의 기독교 : 태초부터 21세기까지 기독교가 걸어온 길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orbin, Alain, 저 주명철 朱明哲, 1950-, 역 Lemaitre, Nicole, 편 Thelamon, Francois, 편 Vincent, Catherine, 편 Argyriou, Asterios, 저 Barmay, Sylvie, 저 Baslez, Marie-Francoise, 저
서명 / 저자사항
역사 속의 기독교 : 태초부터 21세기까지 기독교가 걸어온 길 / 알랭 코르뱅 외 지음 ; 주명철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길,   2008  
형태사항
480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역사도서관. 교양 ; 11
원표제
Histoire du christianisme : pour mieux comprendre notre temps
ISBN
9788987671888
일반주기
책임편집자: 니콜 르메트로(Nicole Lemaitre), 프랑수아즈 텔라몽(Francois Thelamon), 카트린 뱅상(Catherine Vincent) ; 기고자: 아스테리오스 아르지리우(Asterios Argyriou), 실리 바르네(Sylvie Barmay), 마리-프랑수아즈 발레즈(Marie-Francoise Baslez) 외 49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6-477
일반주제명
Christianity Church history Civilization, Christian
000 01879camcc2200493 c 4500
001 000045497749
005 20131030171536
007 ta
008 081229s2008 ulka b 000c kor
020 ▼a 9788987671888 ▼g 03900
035 ▼a (KERIS)BIB000011508523
040 ▼a 211028 ▼c 211028 ▼d 244007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270 ▼2 23
085 ▼a 270 ▼2 DDCK
090 ▼a 270 ▼b 2008z2
245 0 0 ▼a 역사 속의 기독교 : ▼b 태초부터 21세기까지 기독교가 걸어온 길 / ▼d 알랭 코르뱅 외 지음 ; ▼e 주명철 옮김
246 1 9 ▼a Histoire du christianisme : ▼b pour mieux comprendre notre temps
260 ▼a 서울 : ▼b 길, ▼c 2008
300 ▼a 480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역사도서관. ▼p 교양 ; ▼v 11
500 ▼a 책임편집자: 니콜 르메트로(Nicole Lemaitre), 프랑수아즈 텔라몽(Francois Thelamon), 카트린 뱅상(Catherine Vincent) ; 기고자: 아스테리오스 아르지리우(Asterios Argyriou), 실리 바르네(Sylvie Barmay), 마리-프랑수아즈 발레즈(Marie-Francoise Baslez) 외 49인
504 ▼a 참고문헌: p. 476-477
536 ▼a 이 책은 프랑스 외무부와 주한프랑스대사관의 출판 번역 지원 프로그램의 도움으로 출간되었음
650 0 ▼a Christianity
650 0 ▼a Church history
650 0 ▼a Civilization, Christian
700 1 ▼a Corbin, Alain, ▼e▼0 AUTH(211009)97939
700 1 ▼a 주명철 ▼g 朱明哲, ▼d 1950-, ▼e
700 1 ▼a Lemaitre, Nicole, ▼e
700 1 ▼a Thelamon, Francois, ▼e
700 1 ▼a Vincent, Catherine, ▼e
700 1 ▼a Argyriou, Asterios, ▼e
700 1 ▼a Barmay, Sylvie, ▼e
700 1 ▼a Baslez, Marie-Francoise, ▼e
900 1 0 ▼a 코르뱅, 알랭, ▼e
900 1 0 ▼a 르메트로, 니콜, ▼e
900 1 0 ▼a 텔라몽, 프랑수아즈, ▼e
900 1 0 ▼a 뱅상, 카트린, ▼e
900 1 0 ▼a 아르지리우, 아스테리오스, ▼e
900 1 0 ▼a 바르네, 실리, ▼e
900 1 0 ▼a 발레즈, 마리-프랑수아즈,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115272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117045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512750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115272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117045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8z2 등록번호 1512750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역량 있는 역사학자 55명이 참여하여 만든 서양 기독교 2천년의 역사를 다룬 교양서이다. 무엇보다 이 책이 갖는 장점은 기독교의 역사를 단순히 “종교의 역사”로 써내려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19세기 프랑스 언어학자 리트레가 말했듯이 “종교 없는 역사가 존재하지 않듯이, 역사의 일반 법칙을 따르지 않는 종교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말은 이러한 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즉 이 책은 기독교가 단순히 종교로서만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와 경제, 문화, 예술 등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 걸쳐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춰 서양 기독교의 탄생에서부터 최근 21세기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세계 인구의 30퍼센트를 차지하는 기독교! ― 종교를 넘어 그것은 또 하나의 역사다!

기독교의 역사! 흔하디 흔한 주제가 아닌가. 그럼에도 이 책이 가치가 있다면 그것은 어떤 점에서 그럴까. 이 책은 현재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역량 있는 역사학자 55명이 참여하여 만든 서양 기독교 2천년의 역사를 다룬 교양서이다. 교양서임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이 책이 전문가들에게도 유익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고 자신한다. 무엇보다 이 책이 갖는 장점은 기독교의 역사를 단순히 “종교의 역사”로 써내려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19세기 프랑스 언어학자 리트레가 말했듯이 “종교 없는 역사가 존재하지 않듯이, 역사의 일반 법칙을 따르지 않는 종교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말은 이러한 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즉 이 책은 기독교가 단순히 종교로서만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와 경제, 문화, 예술 등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 걸쳐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춰 서양 기독교의 탄생에서부터 최근 21세기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세계 인구의 3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는 기독교가 특히나 서양의 역사를 구축한 주요한 장치였음을 간파한다면, 그 중요성은 수없이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세계를 지배했던 종교, 그러나 프랑스혁명 당시에는 기독교를 버리는 운동까지 일어났으니……

기독교는 유대교로부터 태동했지만,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고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뒤 서양을 지배하는 종교가 되었다. 여러 가지 ‘학설’을 이단으로 배척하고, 정통 교리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그 세력을 뻗어나갔다. 게르만 민족이 서로마제국을 멸망시키고 여기저기에 왕국을 세웠지만, 그들은 기독교도가 되었으며, 동로마제국은 7세기 아라비아에서 생긴 마호메트교가 서쪽으로 세력을 뻗는 것을 잘 막아냈다. 또한 프랑크왕국 역시 아프리카 북부를 거쳐 에스파냐 지방까지 점령한 이슬람 세력이 피레네 산맥을 넘는 것을 막아냈다. 이렇게 기독교는 자신의 굳건한 지위를 고난의 역정을 극복하고 세울 수 있었다.
근대 이후 유럽의 기독교는 좀 더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선교에 나서 동양의 중국과 일본, 아프리카, 남북 아메리카 등에서 교세를 확장시켜나갔다. 기독교사가 인간의 역사의 일부임은 결국 이런 교세의 확장 과정에서 수많은 원주민들과의 대립과 박해 등으로 이루어졌다는 데 있을 것이다. 또한 거기에는 ‘정치’라는 함수관계 역시 복잡하게 연관되어 더더욱 기독교의 역사가 인간의 역사임을 말해준다.
프랑스혁명 속에서 기독교의 모습은 우리가 이제까지 보아온 것과는 사뭇 다르다. 게르만 민족 가운데 5세기에 가장 먼저 정통 기독교로 개종한 프랑크 족이 세운 프랑스에서 한때나마 기독교를 버리는 운동이 일어났으니, 그러하다는 것이다. 혁명 전, 계몽주의 시대에는 사상가들이 저마다 기독교의 불합리성, 종교인의 부패와 위선을 공격했고, 필요하다면 포르노그래피를 써서 종교인의 성생활을 묘사하여, 종교인의 근엄함을 위선이라고 비난했다. 볼테르는 “창피한 것을 짓뭉개버립시다”라고 하면서 가톨릭교를 놀려댔을 정도이다. 로베르피에르는 한때 “이성의 종교”를 만들고, 하느님 대신 “최고 존재”를 발명했으며, 국민공회는 일요일(주일)을 알 수 없게 달력을 고쳐 10일을 한 주로 만들기도 했다.

음악이나 미술, 하물며 최근 논쟁거리인 생명윤리나 테러 문제에까지 기독교를 알아야만 한다

이런 과정을 보면 우리는 기독교의 역사가 종교의 역사만은 아님을, 문화사 전반의 주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역사학은 “모든 역사는 문화적 구축물”이라고 믿는다. “모든 역사는 과거의 정치”라고 믿던 19세기식 역사학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20세기에는 사회경제사, 사회문화사, 신문화사가 발달하여, 새로운 연구 대상과 새로운 연구방법을 개발했다. 이같은 사학사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책은 아주 오래된 주제를 다루긴 해도, ‘전체사’의 이상을 가지고 출발한 사회사의 연구성과를 폭넓게 수용하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사’를 포기한 뒤 발전한 ‘조각난 역사’의 한 주제를 가지고 인류의 ‘일반사’를 쓸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들의 말처럼, 몽 생 미셸, 로마나 프라하나 벨렘의 웅장한 건축물을 찬미하고, 바흐나 메시앙의 음악을 즐기고, 렘브란트의 그림을 감상하고, 스탕달이나 빅토르 위고의 작품을 확실히 음미하려면, 이러한 장소와 걸작품의 아름다움을 구성하는 기독교적 요소를 해독하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역시 식민지 건설, 인도주의 활동, 생명윤리, 문화 충격을 놓고 벌이는 최근의 토론을 이해하려면 역시 기독교를 알아야 한다. 하물며 9.11사태로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는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대립 양상을 이해하려면 우리는 반드시 두 종교를 이해해야만 한다는 당위에 귀착된다. 그렇게 기독교는 21세기에도 우리 생활 깊숙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알랭 코르뱅(지은이)

근대사와 미시사를 전문 분야로 삼고 있는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1936년 프랑스 북서부 오른에서 태어났으며, 캉 대학에서 공부했다. 투르 대학과 파리1대학에서 가르쳤으며, 정년퇴직을 한 뒤에도 연구와 저술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알랭 코르뱅은 인간의 감각과 욕망, 시간, 공간 인식, 감수성, 유혹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연구 업적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18~19세기의 심성사를 다룬 그의 연구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사료로 이용하고 있는데, 자신이 문학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뿐 아니라 거꾸로 그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했다. 특히 그의 대표적인 저술로 꼽히는 『악취와 향기』는 영화로도 제작된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향수』라는 작품에 영향을 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알랭 코르뱅의 저서는 국내에도 활발히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단독 저술로는 『창부』, 『시간, 욕망, 그리고 공포』, 『침묵의 예술』 등이 출간되었으며,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쓴 작품으로는 『사생활의 역사』, 『기억의 장소』, 『날씨의 맛』, 『몸의 역사』 등이 소개되어 있다. 이 밖에 국내에 아직 출간되지 않은 최근의 저술로는 『풀의 싱그러움: 고대부터 현대까지 감정 폭의 역사』(Fayard, 2018)와 공동저서 『감정의 역사』(Seuil, 2016) 등이 있다.

주명철(옮긴이)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2015년 8월까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내가 공부한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려고 애쓰고, 역사교사가 될 학생들에게도 이른바 ‘꼰대’가 되어 우리말을 정확하게 쓰라고 닦달했다. 아무리 좋은 뜻으로 말해도 듣는 사람이 들을 생각이 없으면 소용없다는 사실만 계속 확인했지만, 되도록 그런 말만 하라고 나라에서 주는 월급의 무게를 이겨내고자 비교적 성실하게 살다가 정년퇴임했다. 지나온 과정을 돌이켜볼 때, 내가 만난 학생들은 반드시 가르쳐야 알아듣는 사람들이 아니기에 역사적 인물과 사건에 공감하려고 노력하되 섣불리 좋다거나 싫다고 판단하지 않고 당대의 공동선에 비추어 판단하려고 애쓰리라 믿으며 안심한다. 그러나 늘 사실과 진실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개인의 경험을 되살려 타인의 경험을 재체험하고 공감하는 교육자가 되라고 분명히 말해주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 내가 퇴임한 후에 급변한 정치 상황과 그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수많은 매체가 날마다 ‘팩트’라고 전한다. 과연 진실성을 믿을 만한 ‘사실’이 몇 개나 될까? 따분하고 화나는 현실에 마음공부를 하자고 결심하고 불가의 고승들이 모든 물질과 생각에 얽매이지 않는 태도를 본받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모든 판단은 역사적 판단’이라는 점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현실세계에서는 물질과 정신이 인연에 따라 얽히고설켜 있지만, 역사적 판단으로 대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곁가지를 하나하나 떼어내는 작업은 세상의 본모습에 다가서는 유일한 길임을 잊지 않는다. 게다가 글쓰기는 몸이 기억하는 직업병이다. 그래서 ‘이판사판역사판’을 마음에 새기면서, 진실·사실·팩트가 뒤섞이고 과거·현재·미래가 뒤얽힌 글을 자유롭게 쓰고자 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 5
책머리에 부치는 글 = 13
제1부 태초에 : 기독교 역사의 시작(1∼5세기)
 제1장 기독교의 출현 = 19
  나사렛의 예수: 유대인 예언자인가, 하느님의 아들인가 = 19
  최초의 연합체 속에서: 유대인 사회 = 26
  팔레스티나 지방에 생긴 유대인 기독교도들의 공동체 = 32
  바오로와 초기 기독교의 확장 = 37
 제2장 '이 세상에 속하지 않으면서 이 세상에서' 기독교도로 살기(『디오녜트에게』쓰는 편지) = 48
  박해받으면서도 로마제국에 종속된 사람들(311년까지) = 48
  "우리는 당신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기독교도와 그들이 살던 시대의 풍속 = 55
  아리스티데스부터 테르툴리아누스까지 호교론자들, 비판에 대답하다 = 60
 제3장 로마제국이 기독교를 믿을 때 = 66
  콘스탄티누스부터 테오도시우스까지: 황제의 개종부터 제국의 개종까지 = 66
  기독교 제국을 생각하기: 정치적 신학과 역사의 신학 = 72
  기독교 로마, 영원한 로마: 고대 후기 교회가 로마에게 마련해준 자리 = 76
 제4장 신앙을 규정하기 = 81
  이단과 정통 신앙 = 81
  기독교의 경쟁자들: 영지주의와 마니교 = 86
  4세기와 5세기 정통 교리의 발전 = 92
 제5장 기독교 뼈대 세우기 = 97
  교회의 구조 만들기 = 97
  기독교회 입회 의식, 문화와 의전 = 102
  공간의 기독교화와 시간의 기독교화 = 107
  불쌍한 사람들의 존엄성과 도움의 실천 = 112
  완전무결함을 찾아서 - 금욕주의와 수도 생활 = 118
 제6장 믿음을 다지는 기독교 지성인 : 교부들 = 123
  나지안주스의 바실리우스와 그레고리우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 123
  히에로니무스와 불가타 성경 = 129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사상의 영향 = 133
 제7장 '이 세상 끝까지' 복음을 설교하다 = 142
  5세기 로마제국의 테두리 안 지중해 연안 지역의 기독교화 = 143
  로마제국 변방의 기독교 민족 = 149
  로마제국 안팎의 기독교도 이민족 = 156
제2부 중세 : 검은 전설도 아니고 황금 전설도 아닌……(5∼15세기)
 제1장 굳히기와 넓히기 = 165
  성 베네딕투스, 서양 수도사의 아버지 = 165
  대(大)그레고리우스, 서양에 걸맞은 사제 = 171
  1000년경 '새로운 기독교' = 176
  라틴계 교회의 우두머리 로마(11세기 이후) = 183
  비잔티움 제국/콘스탄티노플과 서양: 일치와 차이 = 188
  성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와 시토 교단 = 193
  대성당 = 197
 제2장 긍정, 이의, 그리고 주교의 대답 = 202
  최초의 십자군운동(1095)과 그 결과 = 202
  이단(12세기) = 209
  종교재판(13세기) = 214
  시간의 끝 = 219
  라테라노 제4차 공의회(1215): 목회 제도의 발전 = 224
  아시시의 가난한 사람 프란체스코 = 229
  탁발 수도회 = 235
  토마스 아퀴나스 = 240
제3장 자기 구원을 위해 일하다 = 244
  연옥과 저세상 = 244
  성인숭배, 성유물과 순례 여행 = 249
  성모마리아(Notre-Dame) = 254
  자선 행위의 폭발(12∼13세기) = 258
  13세기의 성체 숭배 = 262
  얀 후스(Jan Hus) = 266
  하느님 찾기: 동방과 서방의 신비주의자 = 272
  서방의 신비주의 = 278
  예수 그리스도 본받기 = 283
제3부 근대 : 다원주의의 체험(16∼18세기)
 제1장 개혁의 여러 길 = 294
  에라스무스와 루터: 인간 존재의 자유인가, 예속인가 = 294
  성경을 끝까지 파헤치기: 급진 개혁파 = 300
  칼뱅: 뽑힘, 소명, 일 = 305
  영국국교회의 중간 길: 천천히 구축되다 = 309
 제2장 경쟁 관계와 싸움 = 315
  이냐시오 로욜라와 예수회 = 315
  근대의 종교재판 = 320
  새로운 전례인가, 아니면 언제나 똑같은 전례인가 = 324
  마음과 불과 산의 영성신학 = 330
  강생과 예속의 영성신학 = 336
  얀센주의: 엄격주의의 매력과 반대 정신 사이 = 341
 제3장 세계에 복음을 전하기, 그리고 세상을 둘러싸기 = 346
  먼 나라의 기독교 = 346
  아프리카 선교(16∼20세기) = 351
  "기독교 안에서 가르치기" = 355
  트렌토 공의회 이후의 예술: 질서와 아름다움 = 361
  로마와 제네바: 전도의 새로운 예루살렘 = 366
 제4장 감수성의 새로운 지평 = 371
  바흐: 국경 없는 음악 = 371
  성경 비평의 탄생(16∼17세기) = 376
  개신교의 쇄신: 경건주의에서 신앙 부흥운동을 거쳐 오순절교회운동까지 = 381
  성인들과 그들의 국가(14∼20세기) = 385
  러시아 정교회: 단일성과 분열(16∼18세기) = 390
제4부 현대 세계 적응기(19∼21세기)
 제1장 성경 해석과 여러 형태의 신앙의 발전 = 401
  성경과 모든 종교의 역사(19∼20세기) = 401
  아르의 사제 장-마리-밥티스트 비아네 = 407
  신학과 마리아 숭배의 혁신 = 411
  아기 예수회의 테레즈 = 415
  피우스 10세, 영적 유년기와 사사로운 영성체 = 421
  신성한 미술을 둘러싼 2세기 동안의 말다툼 = 426
 제2장 현대 세계의 기독교 교리 = 431
  타협을 모르는 가톨릭교: '피우스 9세의 시대'(1846∼78) = 431
  회칙 새로운 것에 대하여(Rerum novarum, 1891)와 그리고 가톨릭교회의 사회이론 = 436
  기독교와 20세기의 이념 = 440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 = 444
  가톨릭교와 산아제한 = 448
 제3장 전 세계 모든 차원의 기독교 = 453
  오스만 튀르크 시대(15∼19세기) 동방 기독교의 긴 역사 = 453
  19세기와 20세기의 선교 활동 = 462
  북아메리카의 개신교 = 467
  기독교 통합주의에서 종교 간의 이해까지? = 471
참고 문헌 = 476
필자소개 = 47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