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요약 = ⅰ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5
제3절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방법 = 7
제2장 국내 관련 제도 및 정책 고찰 = 9
제1절 국내학술교류정책 고갈 = 9
1. 학술연구관련 국내 법체계 개관 = 9
2. 학술진흥 및 학자금대출 신용보증 등에 관한 법률 = 9
3. 과학기술기본법 = 10
4. 인적자원개발기본법 = 10
5. 기초과학연구진흥법 = 11
6. 한국과학재단법 = 11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11
제2절 유관 기관의 국제학술교류사업 고찰 = 12
1. 한국과학재단(KOSEF) = 12
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19
3. 한국국제교류재단(KF) = 21
4. 한국학중앙연구원(AKS) = 23
5. 시사점 정리 = 25
제3절 국내 대외원조정책 고찰 = 27
1. 공적개발원조정책(ODA)의 정의 = 27
2.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 추진 현황 = 28
3. 부처별 주요 사업 = 35
제4절 국내 개발경험전수정책 고찰 = 45
1. 개발경험전수정책 목표 및 추진현황 = 45
2. 개발경험 전수 추진목표와 원칙 = 46
3. 전수 대상 분야 및 콘텐츠 = 47
4. 교육분야 개발경험 전수사업 = 49
제5절 유사 정책과의 비교분석 요약 및 시사점 = 52
1. 유사 정책과의 비교분석 요약 = 52
2. 비교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55
제3장 해외 사례 조사분석 = 59
제1절 미국 NSF = 59
1. 개요 = 59
2. 주요 임무 및 기능 = 59
3. 국제과학기술사무국(OISE) = 60
4.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사업 = 60
제2절 일본 JSPS = 61
1. 사업 개요 = 61
2. 국제협력 사업의 중기적 목표와 계획 = 61
3. 국제교류 주요 사업 = 61
제3절 독일 DFG = 63
1. 개요 = 63
2. 주요 임무 = 63
3. 개도국 관련 주요 사업 내용 = 65
제4절 비교분석 결과 및 시사점 = 66
제4장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국제학술교류사업 분석 및 AHP 분석 = 67
제1절 기관 개요 = 67
1. 한국학술진흥재단 일반 현황 = 67
2. 주요 국제협력사업 개관 및 예산 추이 = 68
제2절 주요 국제교류사업 고찰 = 69
1. 국제여구인력교류지원사업 = 69
2. 외국인교수초빙사업 = 70
3.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사업 = 71
4. 국제공동연구지원사업 = 72
5.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74
제3절 내ㆍ외부 환경(SWOT) 분석 = 75
1. 내부 강점 분석 = 75
2. 내부 약점 분석 = 75
3. 외부 기회 분석 = 76
4. 외부 위기 분석 = 76
5.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도출 = 77
제4절 국내외 전문가 의견조사 분석 = 78
1. 조사설계 및 설문지 구성 = 78
2.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사업에 대한 일반통계 분석결과 = 80
3. AHP 조사분석 결과 요약 = 82
4. 분석결과 시사점 요약 = 87
제5장 대 개도국 학술지원 정책 방향 제시 = 89
제1절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정책의 방향성 제시 = 89
제2절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 활성화 추진전략 도출 = 92
1.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 정책네트워크 핵심역할 기능 강화 = 92
2. 대 개도국 국제학술교류사업 집행기능 강화 = 93
3. 선택과 집중에 따른 핵심기술 중심의 협력 = 95
4. 기존 국제학술사업과 연계한 사업 추진 = 96
제3절 대 개도국 학술교류증진을 위한 세부 사업 제안 = 96
1. 대 개도국 학술교류기금 조성 = 96
2. 국제학술교류를 통한 개발경험전수 = 99
3. 학술진흥을 위한 개도국 종합지원사업 = 100
4. 핵심분야지원사업 = 101
5. 학술교류를 통한 한국 알리기 = 103
제6장 결론 = 105
참고문헌 = 109
부록 = 113
영문요약 =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