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 ⅰ
제1장 머리말 = 1
제2장 한국노동패널 5차조사의 개요 = 16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란 = 16
제2절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과 설문내용 = 20
1.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 = 20
2. 설문내용 = 22
제3절 조사방법과 조사결과 = 26
1. 조사과정 및 조사방법 = 26
2. 조사결과 및 원표본유지율 = 28
제4절 응답 가구와 가구원의 특성 = 31
1. 계속응답 가구의 특성 = 31
2. 계속응답 가구원의 특성 = 35
제5절 이사·분가 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 38
1. 이사 가구의 특성 = 38
2. 분가 가구의 특성 = 40
3. 비성공 가구의 특성 = 41
4. 신규 조사자의 특성 = 42
〈보론〉 한국노동패널의 가중치 부여 = 44
제3장 조사가구의 특성 = 49
제1절 가구 및 세대 구성 = 49
제2절 가구주 및 가구원의 특성 = 53
1. 가구주의 특성 = 54
2. 가구원의 특성 = 55
제3절 가구원의 출생과 사망 = 57
1. 출생아의 특성 = 58
2. 사망자의 특성 = 59
제4절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 = 61
제4장 가계 경제 = 65
제1절 가구 소득 = 65
1. 가구의 총소득 = 66
2. 소득원천별 가구 소득 = 71
제2절 가계 소비 = 73
1. 생활비 = 73
2. 저축 = 78
제3절 주거형태 및 비용 = 82
1. 입주형태 및 주거 비용 = 82
2. 주택의 종류 및 주거 비용 = 86
제4절 자산 및 부채 = 89
1. 부동산 자산 = 89
2. 금용 자산 = 91
3. 가구의 부채 = 93
제5장 자녀의 사교육 및 보육 = 99
제1절 사교육 및 보육시설의 이용 현황 = 99
1. 사교육·보육시설의 이용 여부 = 100
2. 사교육·보육시설 비용 = 105
3. 사교육·보육비로 인한 가계의 경제적 부담정도 = 109
제2절 사교육 이용 유형 = 112
1. 이용하는 사교육 기관의 종류 = 112
2. 연령별 사교육 이용 현황 = 114
3. 사교육 종류에 따른 유형과 비용 = 117
제3절 사교육비 지출의 지역적 비교 = 122
1.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 = 122
2. 자녀단위 사교육비 = 130
제4절 보육시설 이용 및 비용 = 133
1. 보육시설의 이용 여부 및 현황 = 133
2. 모(母)의 특성에 따른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과 경제적 부담 = 139
제6장 개인의 경제활동상태 = 144
제1절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145
1. 경제활동상태 = 145
2.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151
제2절 취업자의 특성 = 155
1. 산업·직업·인구학적 특성별 취업자의 분포 = 155
2. 취업자의 구직 활동 = 161
제3절 미취업자의 특성 = 166
1. 구직활동 및 취업 가능성, 비구직 이유 = 166
2. 구직방법 및 구직기간, 구직시 어려움 = 168
3. 희망하는 일자리의 특성 = 172
제7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 176
제1절 고용형태 = 177
1. 근로계약 = 177
2. 종사상 지위 = 179
3. 시간제/전일제 근로 = 185
제2절 근로시간 = 187
1. 근로시간 규칙성과 정규근로시간 = 187
2. 초과근로시간 = 192
제3절 임금 = 193
1. 임금지급주기 및 임금산정방식 = 194
2. 월평균임금과 시간당 임금 = 198
제4절 사회보험 및 노동조합 = 203
1. 사회보험 = 203
2. 노동조합 = 206
제5절 비정규직 근로자의 특성 = 211
1. 비정규직의 규모 = 212
2.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임금 = 214
3. 비정규직 근로자의 복리후생 및 만족도 = 217
제8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 221
제1절 종사상 지위 = 222
제2절 근로시간 = 224
1. 근로시간의 규칙성과 월평균 근로일수 = 224
2. 주당근로시간 = 225
제3절 근로소득 = 229
제4절 사업체의 창업과 운영 = 232
1. 사업체의 창업 = 233
2. 사업체의 운영 = 237
3. 이직희망 여부 = 238
제9장 생활·직무만족도 및 조직 몰입, 사회계층 소속감 = 241
제1절 생활만족도와 사회계층 소속감 = 242
제2절 직무만족도 및 불일치도, 조직 몰입 = 249
1. 직무만족도 = 249
2. 직무불일치와 기술(기능)의 유용성 = 254
3. 조직 몰입 =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