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62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496891 | |
005 | 20100807093017 | |
007 | ta | |
008 | 090112s2008 ggka b 000a kor | |
020 | ▼a 978895344393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1 ▼2 22 |
090 | ▼a 351 ▼b 2008z9 | |
100 | 1 | ▼a 한만봉 |
245 | 1 0 | ▼a 행정학 = ▼x Example administration / ▼d 한만봉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8. | |
300 | ▼a 502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00 | 1 1 | ▼a Han, Man-bong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8z9 | 등록번호 1115253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한만봉(지은이)
1994. U.S.A. Midwest University(M.Div 교역학석사) 2002. 고려대학교(교육정책학 석사-수석장학생) 2005.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Cand(교육행정학 전공) 1991. 한국세무신문사 전문취재부 기자 1995. 한국어린이선교원신학교 캠퍼스 분교장 2002. 고려교육정책학회 상임회장(학진 학회검색가능) 2002. 몬테쏘리학회 상임회장(학진 학회검색가능) 2002. 고구려대학교 설립추진위원회 법인이사 2003. 한주신학 학술원 설립 이사(신학원 교수) 2003. U.S.A. Glenford University 교육학과 교수역임 2004. U.S.A. Cohen University 정책학과 외래교수 2004. 한국복지상담학술재단 이사 겸 홍보처장 2005. U.S.A Holy People University Campus 유학담당 지도교수 2005. PHIlIPPINE PRESBYTERIAN THEOlOGICAl COllEGE 객원교수 2005. 대통령직속기관 사법개혁추진위원회 모의재판 배우활동(광주공연, 서울공연) 2005. 혜전대학 겸임교수 역임 2006. 고위직 직무교육 콘텐츠 연기자 활동(기아, 현대, 대우 자동차) 2006. 장애인복지시설, 행복한재단 이사 활동 2008. 혜전대학 초빙교수 역임 2008. 지방분권신문사 사장(대표이사) 역임 2009. Korea Entertainment institute 대표이사 2009. 충남정책자문단 교수위원 위원장 2009. 한민대학교 출강(사회복지정책학, 사회복지행정학, 사회복지상담학 강의) 2009. 고려신학대학원, 고려사이버신학 원격평생교육원 기획처장 2010. 연희대학신학교 총장(2010년 5월 29일 3대 총장 취임)

목차
목차 머리말 = 5 Ⅰ. 행정학의 개념 및 의의 = 9 1. 행정학의 개념 = 11 2. 행정학의 의의 = 15 3. 행정학의 접근방법 = 44 Ⅱ. 행정학 전반 사례(주제별 논의점) = 61 1. 행정학과 의사결정 = 63 2. 공공정책 평가의 문제 = 74 3. 행정과 인간관계 = 83 4. 통계학과 행정학 = 93 5. 인과관계와 행정학 = 108 6. 자료와 행정문제들 = 123 7. 교차분석과 행정학 = 133 8. 고객 가치 분석 = 140 9. 게임이론과 행정학 = 149 10. 경제와 행정학 = 174 11. 인간관계와 행정학 = 182 12. 정보화 지수와 행정학 = 194 13.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과 행정 = 203 Ⅲ. 성공적 행정 이론 = 213 1. 인간관계와 행정학 = 215 2. 행정과 정보활용 = 238 3. 행정조직 개혁이론 = 279 4. 탈부패 행정으로 변화 = 302 5. 행동수정으로서 행정학 = 329 6. 행동주의의 이론 = 362 7. 사례행정을 알기 위한 행정사 = 394 8. 전자행정학(전자민주주의) = 437 9. 미래 행정변화와 가능성 = 458 10. 행정개혁의 이론과 방향 =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