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5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496814 | |
005 | 20100927161214 | |
007 | ta | |
008 | 090109s2008 ulkaj 000c kor | |
020 | ▼a 9788970137018 ▼g 04300 | |
020 | 1 | ▼a 9788970137001(세트) |
035 | ▼a (KERIS)BIB000011508155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323.4 ▼2 22 |
085 | ▼a 323.4 ▼2 DDCK | |
090 | ▼a 323.4 ▼b 2008z2 | |
100 | 1 | ▼a 최현 ▼0 AUTH(211009)133627 |
245 | 1 0 | ▼a 인권 / ▼d 최현 지음 |
260 | ▼a 서울 : ▼b 책세상, ▼c 2008 | |
300 | ▼a 138 p. : ▼b 삽화, 연표 ; ▼c 21 cm | |
440 | 0 0 | ▼a 비타악티바 = ▼a Vita activa , ▼p 개념사 ; ▼v 01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4 2008z2 | Accession No. 1512726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4 2008z2 | Accession No. 1512901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비타 악티바 개념사'는 한국 사회와 현대 세계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열쇠가 되는 사회과학 개념들을 뽑아 그 의미와 역사, 실천적 함의를 해설하는 시리즈다. 이 책은 시민권을 통해 인권을 바라보고, 그 개념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살핀다.
오늘날 인권이라는 개념은 좌우 이념과 사상을 떠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는 '보편적 가치' 또는 '지배적 이념'을 말한다. 인권 존중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20세기 후반 냉전 종식 이후 동유럽으로 확대되었고, 지금은 전 세계를 지배하는 '지구적 가치'로 자리 잡았다.
인권이 좀 더 근본적인지를 판단하려면 인권이라는 가치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권이라는 개념을 둘러싼 논쟁과 인권 사상의 발전, 그리고 인권을 보장하는 제도의 발전을 살펴보아야 한다.이는 우리가 인권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고, 인권을 둘러싼 논쟁 속에서 올바른 방향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시민권을 통해 바라보는 인권, 그 개념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살피다
오늘날 한국에서 살아가는 시민들 가운데 비정규직 노동과 실업의 위협에서 자유로운 이는 많지 않다. 신자유주의와 시장 개방의 확대로 삶의 기반 자체를 위협받게 된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민이나 가족 동반 자살 등 극단적 해결책을 취하기에 이르렀다. 한 인간으로서 행복할 권리를 보장받기는커녕 존엄성조차 존중받지 못하는 시대, 과연 누구의 책임일까. 책세상 개념사 시리즈 ‘비타 악티바’의 첫 책《인권》은 이런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한다. 저자에 따르면 오늘날 인권은 보편적 가치가 되었지만 아직까지 당위적인 가치에 머물러 있다. 현실에 바탕을 둔 시민권을 통해 인권을 바라보지 않기 때문이다. 인권이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 모두에게 보장되어야 할 권리들의 가치를 정당화한다면, 시민권은 그러한 가치를 실현하는 제도이다. 즉 인권이라는 당위적 가치는 현실에서 시민권을 통해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자는 인권과 시민권의 개념, 사상, 제도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우리가 누리지 못하는 인권과 시민권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인권과 시민권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저자에 따르면 ‘인권Human Right’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고 추정되는 권리’이고, ‘시민권Citizen Right’은 ‘모든 시민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서로에게 또는 공동체와 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서비스와 지위’이다. 이때 국가라는 정치 기구 및 제도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된 인권이 곧 시민권이라 할 수 있는데, 서구 유럽의 계몽사상가들이 이 시민권 개념을 발전시켜 근대적 인권의 기초를 마련했다. 특히 라파예트 등이 기초하고 프랑스 혁명 후 1789년에 프랑스 국민의회가 헌법 서문으로 채택한〈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인권과 시민권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고, 인간의 자유와 평등의 원리 즉 인권이 처음으로 ‘법(제도)’의 보호를 받게 된다. 이로써 인권 및 시민권 개념은 사회권 개념으로 확대된다. 이렇듯 이 책은 인권과 시민권의 개념 및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서 하나의 가치 또는 이념으로 발전해온 인권과 현실에서 정치 공동체에 의해 보장된 시민권을 종합적으로 바라본다. 결과적으로 시민권을 보장해주는 현실적인 정치 공동체와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소수자 시민권, 다문화 시민권까지 두루 논의한다. 나아가 지구 공동체에 걸맞은 참된 지구 시민권을 희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1장 인권과 시민권이란 무엇인가 왜 인권인가 = 10 인권 = 12 시민권 = 14 시민권과 함께 발전한 인권 = 15 깊이 읽기|〈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 20 2장 근대 이전의 인권과 시민권 - 고대 자연법사상과 시민권의 형성 1. 자연법사상 = 24 자연법사상의 출발,《안티고네》 = 25 자연법사상의 철학적 발전 -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학파 = 27 자연법사상의 실정법 적용 - 키케로와 만민법 = 29 2. 고대의 시민권 = 32 고대 시민 -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시티즌십 = 33 시민 지위의 변화 - 자연법사상과 만민법의 적용 = 36 시민 지위의 구체화 - 가이우스 = 37 깊이 읽기|공화주의와 키케로의〈공화국에 관하여〉 = 39 3장 근대 인권 사상 및 시민권 제도의 발전 1. 근대 인권 사상 및 시민권 제도의 사회적ㆍ역사적 조건 = 42 상공업과 도시의 발달 = 43 봉건 제도와 가치관의 붕괴 = 47 2. 근대 인권 사상의 발전 = 50 자연법에서 자연권으로 = 50 근대적 인간관의 형성 = 52 홉스 - 자연법은 자연권에서 나온다 = 53 로크 - 자연법에서 다시 자연권으로 = 57 루소 - 일반 의지로 혁명을 싹틔우다 = 61 근대 인권 사상과 사회 계약의 핵심 = 64 3. 근대 시민권 제도의 발전 = 65 근대 이전의 시민권 = 65 시민권 제도의 탄생 조짐 = 67 국민 국가와 시민권 제도의 등장 = 68 가. 근대 국민 국가와 민족주의 = 69 나. 프랑스 혁명과 시민권 제도 = 74 국민 국가와 시민권 제도의 확산 = 82 국제기구 - 시민권 확장을 위한 노력 = 84 깊이 읽기|홉스, 로크, 루소의 질서와 권리 = 89 4장 현대 인권 - 시민권 이론의 발전 1. 영국 시민권의 발전 과정 - 사회권의 탄생 = 92 개인주의 시민권의 한계 = 92 사회 통합의 매개가 된 시민권 = 93 영국의 시민권의 세 단계 = 95 사회권의 근거와 내용 = 98 2. 여성의 인권과 시민권 = 101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권리 - 집단 인지적 시민권 = 101 더 많은 소수자를 보호하는 집단 인지적 시민권 = 104 3. 문화적 권리의 문제와 다문화 시민권 = 108 다문화 시민권의 필요성 = 109 가. 지구화, 다양성의 승리 = 110 나. 종족 갈등과 다문화 시민권 = 111 다문화 시민권의 주요 내용 = 113 다문화 시민권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 = 115 다종족ㆍ다문화 국가의 통합을 위해 = 119 깊이 읽기|한국 사회의 시민권 = 123 5장 지구 공동체의 지구 시민권을 꿈꾸다 인권과 시민권의 범위 = 126 지구화와 지구 시민권 = 129 깊이 읽기|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는 근대적 시민권 = 133 개념의 연표 - 인권 =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