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총론 = 13
제1부 한ㆍ몽 역사ㆍ민속
1장 솔롱고스(고려) 국명 고찰 = 31
머리글 = 31
솔롱고스(고려)의 어원 = 32
무지개 관련 어원설 = 34
민족과 지역 관련 기원설 = 40
맺음글 = 44
2장 몽골과 고려의 변발 연구 = 47
머리글 = 47
몽골 변발의 수용과 변용과정 = 49
북방민족의 두식 = 55
석인상을 통해서 본 중세 몽골인의 변발 = 57
맺음글 = 64
3장 한ㆍ몽 혼인사 = 69
머리글 = 69
순제와 공녀 기황후의 만남 = 71
원제국 기황후의 치적 = 73
맺음글 = 81
4장 한ㆍ몽 역사문화공동체 = 85
머리글 = 85
몽골 관광 산업 = 86
한ㆍ몽 "역사테마관광지" 개발의 필요성 = 87
맺음글 = 91
5장 제주도와 몽골 = 93
머리글 = 93
제주도 지명과 방언 = 95
대마도 지명 = 106
맺음글 = 113
제2부 몽골의 일생의례
6장 몽골인의 출생의례 = 117
머리글 = 117
몽골민족의 터럭과 수염의 사회사적 의미 = 120
중앙아시아 제민족의 터럭과 수염의 사회사적 의미 = 128
맺음글 = 133
7장 한ㆍ몽 연지와 혼인례 = 137
머리글 = 137
연지 = 138
몽골의 전통 혼례 = 140
맺음글 = 143
8장 몽골인의 장례습속 = 147
머리글 = 147
몽골제국시대의 장례습속 = 148
툴레시祭 - 기마민족의 가축문화 = 157
祭의식과 관련된 몽골인의 성수-3 = 160
맺음글 = 164
제3부 몽골의 의식주
9장 몽골 철릭과 샤먼복식 = 169
머리글 = 169
몽골의 철릭과 고려 첩리 = 170
몽골 샤먼 복식 = 174
맺음말 = 185
10장 식문화 = 191
머리글 = 191
수라와 설렁탕 = 192
맺음글 = 201
11장 '설'의 어원 고찰과 북방민족의 '설' 풍습 = 203
머리글 = 203
중ㆍ한ㆍ몽의 정초 명절 풍습 = 204
15일(대보름)의 풍속 = 209
맺음글 = 214
제4부 몽골의 유목과 관습
12장 중세 몽골의 법령집 = 219
머리글 = 219
중세 몽골제국 법전의 성격과 내용 = 220
맺음글 = 234
13장 한ㆍ몽 금기 비교 = 237
머리글 = 237
금기의 개념 = 238
몽골민족의 금기 = 239
한ㆍ몽 금기 비교 = 244
맺음글 = 251
14장 몽골 차용어 '말보기(화장실)'의 민속학적 고찰 = 255
머리글 = 255
차용과 완곡어법 = 257
몽골어 속의 말(馬) = 258
몽골의 말과 관련된 일반적 관습 = 259
말과 통과의례 = 261
오줌 문화 = 265
국어 속의 말(馬) = 266
맺음글 = 271
15장 오랑캐 어원과 몽골 오리앙하이씨족의 민속 = 275
머리글 = 275
오랑캐의 족칭 = 276
오랑캐의 어원 = 287
맺음글 = 289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