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의 예술 소비자

한국의 예술 소비자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윤주, 저 이용관, 저 양성희, 저 오세곤, 저 정윤아, 저
Title Statement
한국의 예술 소비자 / 강윤주 [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경희대학교출판국 :   룩스문디,   2008  
Physical Medium
284 p. : 삽화 ; 23 cm
ISBN
9788982223303
General Note
공저자: 이용관, 양성희, 오세곤, 정윤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812namcc2200277 c 4500
001 000045496654
005 20120823114635
007 ta
008 090109s2008 ulka b AB 000c kor
020 ▼a 9788982223303 ▼g 036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103095195 ▼a 700.705195 ▼2 22
085 ▼a 700.1030953 ▼a 700.7053 ▼2 DDCK
090 ▼a 700.1030953 ▼b 2008
245 0 0 ▼a 한국의 예술 소비자 / ▼d 강윤주 [외] 지음
260 ▼a 서울 : ▼b 경희대학교출판국 : ▼b 룩스문디, ▼c 2008
300 ▼a 284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저자: 이용관, 양성희, 오세곤, 정윤아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강윤주, ▼e▼0 AUTH(211009)76095
700 1 ▼a 이용관, ▼e▼0 AUTH(211009)100986
700 1 ▼a 양성희, ▼e▼0 AUTH(211009)12455
700 1 ▼a 오세곤, ▼e▼0 AUTH(211009)113756
700 1 ▼a 정윤아,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115259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115331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512698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115259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115331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030953 2008 Accession No. 1512698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민국'의 예술 소비자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한국의 예술 소비자들은 무엇 때문에 어떤 작품은 좋아하고, 어떤 작품에는 무관심한지. 전문가들의 다양한 경험과 치밀한 분석으로 한국의 음악, 영화, 연극, 미술계 예술 소비자들의 면면을 파악한다.

해외에서 성공한 공연이나 전시가 국내에서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미국이나 서구유럽의 예술 소비자에 대해서가 아닌, 바로 이 땅 '대한민국'의 예술 소비자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한국의 예술 소비자들은 무엇 때문에 어떤 작품은 좋아하고, 어떤 작품에는 무관심한가. 전문가들의 다양한 경험과 치밀한 분석으로 한국의 음악, 영화, 연극, 미술계 예술 소비자들의 면면을 파악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오세곤(지은이)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4년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해 현대 희곡 전공으로 학사, 석사, 박사(논문: 장 주네의 희곡 연구)를 마쳤다. '배우의 화술', '예술강국, 문화대국', '연기화술클리닉' 등의 저서를 집필했고, 연극 분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연기', '연극의 이해', '무대기술', '연극' 등 여러 종의 고등학교 연극 교과서 집필을 주도하였으며, 손턴 와일더의 '우리읍내', 장 주네의 희곡 '하녀들'과 '엄중한 감시', 시집 '사형수',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 이오네스코의 '대머리여가수', '수업', '의자', '왕은 죽어가다', '살인놀이', '알마의 즉흥극', '신부감', 장 아누이의 '반바지', 스트린드베리의 '줄리 아씨', 하벨의 '청중', 보마르셰의 '피가로의 결혼', 베케트의 '승부의 종말', 사르트르의 '더러운 손', 피터 쉐퍼의 '에쿠우스' 등 여러 작품을 번역 출판하였고, '왕은 죽어가다', '우리읍내', '체홉의 수다', '술로먼의 재판', '갈매기', '보이첵', '가라가라', '가라자승', '타이터스', '보이지 않는 하늘', '오 행복한 날들', '하녀들' 등의 작품을 연출하였다. 1996년 가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부임한 후 1999년 순천향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2020년 8월까지 연극무용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20년 9월부터는 같은 대학교 명예교수이다. 2007~2008년 한국연극교육학회 회장과 2005~2012년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5년 한국연극교육학회 산하 분과학회로 한국화술학회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회장을 맡고 있다.

정윤아(지은이)

숙명여대를 졸업했다. 도쿄 오차노미즈 여자대학에서 미학을 공부했으며 뉴욕 주립대학 계열인 FIT에서 예술행정 석사과정을 마쳤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뉴욕 다이치 프로젝트 갤러리에서 갤러리 리셉셔니스트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스페이스 언타이틀드 갤러리에서 큐레이터 활동했다. 2000년부터 2003년 초까지는 뉴욕 매체 예술 센터 부관장으로 일했다. 뉴욕에서 '백남준 비디오', '로우 리드' 사진전, '짐 다인의 유화', '키키 스미스 프린트', '전자 단풍나무', '비디오 인터랙션', '백남준 드로잉', '라디오 인터존'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현재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강윤주(지은이)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사회학, 정치학, 민속학 등을 수학하고 영화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으로 있다. 지은책으로 <포스트모던 시대 정치적 영화>가 있고, 역서로 <안티 텔레비전? 알렉산더 클루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있으며, 공저로 <교육학과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매체 교육>, <중심부적 현상으로서의 비디오>, <미디어교육과 사귐>, <지식의 사회, 문화의 시대>가 있다.

이용관(지은이)

(재)부산문화회관 대표이자 부산오페라하우스 설립 PM이다. 대전예술의전당 관장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장을 지냈다. 부산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후 ≪중앙일보≫에 입사했다. 볼쇼이발레, 뉴욕필하모닉, 암스테르담 콘서트 헤보우 등 해외 유수 예술단체의 초청과 뮤지컬 제작 및 호암아트홀 운영에 30대를 보냈다. 단국대학교 대학원(예술경영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공연예술학 박사)에서 수학하며 공연장과 예술단체의 경영과 관객 개발, 예술교육 등을 연구했다. 부천문화재단 전문위원과 안양문화예술회관 관장 시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시즌 프로그래밍과 관객 개발을 위한 예술교육 확대로 유료객석점유율 대폭 상승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대전예술의전당에서도 시즌 방식을 도입해 전국 공공 극장 중 최상위의 유료객석점유율을 계속 유지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극장 축제로 코미디아츠페스티벌(CoAFe)을 신설하기도 했다. 아시아태평양공연예술센터협의회(AAPPAC) 이사로 이 기구의 총회를 대전에서 열기도 했다. (사)한국예술경영연구소 소장으로 예술경영과 문화정책 연구에 두루 참여했다. 국립중앙극장과 아시아문화전당을 비롯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공연장과 국립예술단체, 국고지원 예술축제 등의 평가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서울, 대전, 세종, 충남 등의 문화재단 심의위원, 세종문화회관과 국립국악원, 충남문화재단 등의 운영자문위원도 역임했다. 경희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예술경영과 문화정책을 가르쳐 왔다. 저서로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2013), 『한국의 예술소비자』(공저, 2008), 공역서로 『극장경영: 공연예술 제작과 유통』(2011)이 있다.

양성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문화일보〉 등을 거쳤으며, 현재 〈중앙일보〉 문화부장이다. 책으로는 ≪파워 콘텐츠 공식≫, ≪TV를 읽읍시다≫(공저),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공저), ≪한국의 예술 소비자≫(공저)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 6
제1장 예술 소비자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윤주 
 01 예술이란 무엇인가 = 13
 02 예술 소비자 연구의 필요성 = 15
 03 예술 소비자의 선택 = 24
 04 예술 소비자 집단 분류 = 32
 05 시장 세분화 = 36
제2장 음악 공연 소비자의 특성 / 이용관 
 01 관객은 누구인가 = 57
 02 이론과 통계로 본 공연 관객의 특성 = 60
 03 경험으로 본 관객의 특성 = 96
 04 예술경영자의 숙제 - 관객 개발 = 103
 05 관객을 두려워해야 = 107
제3장 영화 소비자의 특성 / 양성희 
 01 지금, 한국영화에 대한 단상 = 119
 02 영화 소비자 연구의 필요성 = 121
 03 한국의 영화 소비자는 누구인가 = 123
 04 영화 관람 동기와 소비자 유형화 = 150
 05 부수적 요소들 = 161
제4장 연극 공연 소비자의 특성 / 오세곤 
 01 연극 관객의 의미 = 173
 02 연극 관람의 걸림돌 = 182
 03 단기 대책 = 195
 04 중장기 근본 대책 = 210
제5장 국내외 미술 전시 환경과 소비자 특성 / 정윤아 
 01 비영리인가, 영리인가 = 225
 02 비영리 전시 = 227
 03 영리 전시 = 259
 04 미술 전시의 밝은 전망 = 275
참고자료 = 2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