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근대서양의학 교육사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형우
서명 / 저자사항
한국근대서양의학 교육사 = The early history of modern medical education in Korea / 박형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청년의사,   2008  
형태사항
xv, 611 p. : 삽화 ; 27 cm
ISBN
899123215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784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496025
005 20130126132321
007 ta
008 090107s2008 ulka 001c kor
020 ▼a 8991232159 ▼g 039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0.9519 ▼a 610.71 ▼2 22
085 ▼a 610.953 ▼2 DDCK
090 ▼a 610.953 ▼b 2008
100 1 ▼a 박형우
245 1 0 ▼a 한국근대서양의학 교육사 = ▼x The early history of modern medical education in Korea / ▼d 박형우 지음
246 3 1 ▼a Early history of modern medical education in Korea
260 ▼a 서울 : ▼b 청년의사, ▼c 2008
300 ▼a xv, 611 p. : ▼b 삽화 ; ▼c 27 cm
500 ▼a 색인수록
536 ▼a 본책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송원 허갑범 명예교수가 지원한 연구비에 의한 것임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115775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11577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310335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115775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11577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0.953 2008 등록번호 1310335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885년 서양의학이 들어온 후 첫 면허의사가 배출되고 이들이 활동했던 191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의학교육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책. 이 책은 특히 면허를 받은 졸업생들이 한국어 의학교과서를 출판하고 교수로 남아 후진양성에 참여하면서, 단순한 서양의학 수용이라는 단계를 넘어 토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밝혔다.

2008년은 우리나라 최초의 면허의사가 배출된 지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다. 이 책은 1885년 서양의학이 들어온 후 첫 면허의사가 배출되고 이들이 활동했던 191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의학교육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특히 면허를 받은 졸업생들이 한국어 의학교과서를 출판하고 교수로 남아 후진양성에 참여하면서 단순한 서양의학 수용이라는 단계를 넘어 토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밝혔다.
책은 모두 5부로 이뤄져 있는데 1부에서는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소개되는 과정과 최초의 서양식 병원 제중원의 설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인 제중원의학교의 설립과 운영, 세브란스병원의학교로 이름이 바뀐 후 1908년 첫 면허의사가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했다. 제중원의학교에서 의학을 배운 최초의 의학생들, 외국에서 교육을 받은 초창기 의사들, 에비슨이 재개한 의학교육, 그중에서도 특히 교과서 편찬 작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관(官)에 의학 의학교육을 다루고 있는데 1899년 조선정부가 설치한 의학교는 1906년 통감부가 설치돼 우리나라가 반 식민지하에 들어간 이후 통감 이토에 의해 대한의원이 설립되면서 그 명맥이 끊겼다. 1910년부터는 일본에 의한 의학교육으로 바뀌게 된다. 의학교와 대한의원을 졸업한 의사들의 활동상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부에서는 선교회와 동인회 등 종교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 곳을 통해 의술개업인허장을 받은 의료인 144명의 활약상을 정리했다.
5부에서는 한국 최초 면허의사 7명의 활동을 정리해 보았다. 이들의 활동을 의학교 졸업생이나 외국에서 교육 받은 의사 등의 활동과 비교해보면 흥미로운 점들이 많이 보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형우(지은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인체해부학(발생학)을 전공하여 1985년 의학박사의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 4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워싱턴 대학교 소아과학교실(Dr. Thomas H. Shepard)에서 발생학과 기형학 분야의 연수를 받았고, 관련 외국 전문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귀국하였다. 1996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신설된 의사학과의 초대 과장을 겸임하며 한국의 서양의학 도입사 및 북한 의학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999년 11월에는 재개관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의 관장에 임명되어 한국의 서양의학과 관련된 주요 자료의 수집에 노력하였다. 2009년 4월부터 대한의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최근에는 한국의 초기 의료선교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알렌, 헤론, 언더우드 및 에비슨의 내한 과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로 초기 의료 선교사들과 관련된 다수의 자료집을 발간하였으며, 2021년 8월 정년 후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 교수 및 상우연구소 소장으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박형우는 이러한 초기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 업적으로 2017년 1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총동창회의 해정상을 수상하였고, 2018년 9월 남대문 교회가 수여하는 제1회 알렌 기념상을 수상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ⅰ
제Ⅰ부 한국의 서양의학 도입
 제1장 서양의학의 소개
  1. 중국의 한의역서 소개 = 7
  2. 국교확대와 수신사 = 11
  3. 개화상소와 서양의학 도입의 필요성 제기 = 14
  4. 조선 재래의 의료기관과 의학교육 = 17
 제2장 최초의 서양식병원 제중원
  1. 제중원의 설립 = 21
  2. 제중원의 운영 = 30
  3. 알렌과 헤론 시기의 진료 = 39
  4. 구리개로의 이전 = 44
제Ⅱ부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기관 - 제중원의학교
 제1장 알렌에 의한 최초의 서양의학교육
  1. 알렌의 의학교육 계획과 의료조수 = 55
  2. 제중원의학교의 설립 = 60
  3. 의학교육의 경과 = 67
 제2장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최초의 의학생들
  1. 최종악 = 79
  2. 이겸래 = 81
  3. 이진호 = 83
  4. 이의식 = 85
  5. 윤호 = 87
  6. 진학순 = 88
  7. 상소 = 89
  8. 김의환 = 90
 제3장 외국에서 교육을 받은 초창기 한국인 의사들
  1. 서재필 = 95
  2. 김익남 = 99
  3. 안상호 = 105
  4. 김점동 = 110
  5. 박종환 = 113
  6. 오긍선 = 115
  7. 박일근 = 120
 제4장 에비슨에 의한 의학교육의 재개
  1. 에비슨의 내한과 제중원의 선교부 이관 = 125
  2. 에비슨의 의학교육 구상 = 136
  3. 안식년 이전의 의학교육 = 140
  4. 안식년 이후 진행된 체계적인 의학교육 = 148
  5. 세브란스병원으로의 발전 = 156
  6. 세브란스병원 건립 이후의 의학교육 = 161
 제5장 한국어 의학교과서의 편찬
  1. 해부학 교과서의 번역 = 171
  2. 해부학 이외의 의학교과서의 번역 = 183
  3. 제중원-세브란스병원에서 간행된 의학교과서 = 187
 제6장 첫 면허의사 배출
  1. 졸업시험 = 203
  2. 통감 이토와의 교섭 = 206
  3. 세브란스병원(제중원)의학교의 첫 졸업식 = 209
  4. 최초의 의사면허 - 의술개업인허장 = 223
  5. 첫 졸업생 배출 이후 세브란스병원의학교의 발전 = 230
제Ⅲ부 조선정부 - 통감부 - 조선총독부에 의한 의학교육
 제1장 의학교
  1. 의학교 설립 = 259
  2. 교직원 임명 = 273
  3. 의학생 모집 = 277
  4. 번역 교과서 출판 = 281
  5. 의학생 운영 = 288
  6. 첫 졸업생 배출 = 301
  7. 의학교의 운명 = 306
 제2장 대한의원 교육부, 의육부, 부속 의학교
  1. 대한의원의 설립 = 317
  2. 대한의원 교육부 = 325
  3. 대한의원 의육부 = 329
  4. 대한의원부속 의학교 = 334
 제3장 조선총독부의원부속 의학강습소
  1. 조선총독부 부속의학강습소의 설립 = 355
  2. 조선총독부 부속의학강습소의 구성 = 357
 제4장 의학교와 대한의원 졸업생들
  1. 의학교 제1회 졸업생 = 365
  2. 의학교와 대한의원 졸업생들의 활동 = 381
제Ⅳ부 선교부, 동인회 등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
 제1장 선교부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
  1. 미 북장로회 = 393
  2. 미 북감리회 = 404
  3. 미 남감리회 = 409
  4. 미 남장로회 = 410
  5. 캐나다장로회 = 412
  6. 영국 성공회 = 413
  7. 제7일 안식일 재림교회 = 414
 제2장 동인회의 의학교육
  1. 평양동인의원 = 417
  2. 대구동인의원 = 437
  3. 안동동인의원 = 442
 제3장 기타의 의학교육
  1. 분쉬 = 445
  2. 개업의사 주현측의 의학조수 = 447
 제4장 의술개업인허장을 받은 사람들
제Ⅴ부 한국 최초 면허의사들의 활동
 제1장 김필순
  1. 가족 배경 = 469
  2. 배재학당 시절 = 473
  3. 제중원의학교 입학 = 475
  4. 모교 교수 = 483
  5. 중국으로의 망명 = 486
  6. 흩어진 가족들 = 494
 제2장 김희영
  1. 졸업 후 활동 = 499
  2. 쓸쓸한 죽음 = 501
 제3장 박서양
  1. 가족 배경 = 505
  2. 박서양과 에비슨의 만남 = 508
  3. 제중원의학교 입학 = 510
  4. 모교 교수 = 513
  5. 간도에서의 독립운동 = 515
  6. 귀국과 말년 = 520
 제4장 신창희
  1. 가족 배경 = 525
  2. 제중원의학교 입학 = 526
  3. 만주에서의 독립운동 = 528
 제5장 주현측
  1. 가족배경 = 535
  2. 제중원의학교 수학 = 538
  3. 선천에서의 개업 활동 = 539
  4. 105인 사건 = 540
  5.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 542
  6. 귀국 후의 활동 = 548
  7. 수양동우회 사건 = 550
 제6장 홍석후
  1. 가족 배경 = 555
  2. 홍석후와 에비슨의 만남 = 558
  3. 의학교 졸업과 세브란스병원(제중원)의학교 편입 = 559
  4. 모교 교수 = 562
  5. 동창회장 및 기타 활동 = 572
  6. 개업의사 홍석후 = 575
 제7장 홍종은
  1. 가족 배경 = 581
  2. 의학교 졸업 및 세브란스병원(제중원)의학교 편입 = 582
  3. 졸업 후의 짧은 활동 = 584
부록 : 한국 근대 서양의학교육 연표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히든그레이스. 데이터분석팀 (2022)
이충열 (2023)
강연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