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프로그램
Program
목차
개회식(Opening Ceremony) 9
개회사 / 윤지관 10
Opening Speech / 윤지관 12
Palabras de la Embajador de mexico / Leandro Arellano(이미지참조) 14
축사 / Leandro Arellano 18
Congratulatory Address / Leandro Arellano 22
동아시아 시인의 역할 / 김지하 26
한국 고전문학의 번역을 위하여 / 송재소 34
분과 1(Session 1) : 한국문학의 수용 현황과 문제점(The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Overseas) 38
Blurring the Lines: The Declining Significance of Traditional Generic and National Distinctions in "Korean" Literature / John M. Frankl 40
Blurring the Line between Transplantation and Translation 40
Blurring the Line between Translation and Creative Writing 43
Blurring the Line between "Korean" and "Foreign" 43
경계 흐리기: "한국" 문학 속 전통성과 민족 고유성의 의미 쇠퇴 / John M. Frankl ; 홍시내 48
이식과 번역 간의 경계 흐리기 48
번역과 창조적 글쓰기 간의 경계 흐리기 50
"한국적인 것"과 "외국적인 것"간의 경계 흐리기 51
중국과 한국문학 번역・출판 현황과 몇 가지 제안 / 임춘성 56
1. ''초국적'' 문화흐름과 동아시아의 ''한류'' 56
2. 포스트한류와 한국문학 58
3.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 및 출판 현황 59
4. 중국의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사례 61
5. 몇 가지 제안 62
참고문헌 66
Current Situation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and a Few Suggestions / 임춘성 70
1. "Transnational" Cultural Flows and Hallyu in East Asia 70
2. Post-Hallyu and Korean Literature 72
3. Current Situation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74
4. Examples of Korean Literature Book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China 76
5. A Few Suggestions 77
Bibliography 82
근・현대 한국소설의 수용현황과 문제점: 스페인어권을 중심으로 / 송병선 86
1. 라틴아메리카 소설의 정전과 현 단계 86
2. 한국소설의 스페인어 번역 현황 88
3.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한국소설의 수용: 아직 가야할 길 90
4. 한국소설의 스페인어 번역의 문제점 91
4.1. 번역 대상 작가와 작품 선정의 문제 92
4.2. 번역가의 능력문제 92
5. 맺는말 93
The Reception of and Problems Regard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ovel: Focusing on the Spanish Language / 송병선 96
1. The Canon and Current Phase of the Latin American Novel 96
2. The Present Condition of Translation of Korean Novels into Spanish 98
3. The Reception of Korean Novels in Latin America: A Long Way to Go 100
4. Problems in Translating Korean Novels into Spanish 102
4.1. The Question of Selecting Authors and Works to be Translated 102
4.2. The Issue of the Translator''s Ability 103
5. Conclusion 104
번역된 작품을 통해 본 일본에서의 한국문학의 위상 / 안우식 106
[머리글] 106
누가 읽는가 108
작품 유형별 독자층 분석 114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 in Japan and its Translation / 안우식 122
[Preface] 122
Who Reads Korean Literature 124
Analysis of Readership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ation 130
토론문 140
한국문학의 수용 현황과 문제점 / 윤상인 142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Korean Literature / 윤상인 144
한국문학의 수용현황과 문제점 / 이형진 148
1. 경계 흐리기: ''한국'' 문학 속 전통성과 민족 고유성의 의미 쇠퇴 148
2. 근-현대 한국소설의 수용현황과 문제점: 스페인어권을 중심으로 150
Discussion Points; The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Overseas / 이형진 152
1. Professor John Frankl: "Blurring the Lines: The Declining Significance of Traditional Generic and National Distinctions in ''Korean'' Literature" 152
2. Professor Song Byeong-sun: "The Reception of and Problems Regard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ovel" 154
세션1 회의록 158
Session 1 Minutes 162
분과 2(Session 2) :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Challenges in Teaching Korean Literature Overseas) 166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of Modern Korean Fiction in English Translation / Bruce Fulton 168
Introduction 168
The Literature 169
The Literature in Translation 171
Dissemination of the Translations 173
Future Prospects 178
Conclusion 179
Appendix : Selected Readings in Modern Korean Fiction in English Translation 181
한국현대소설의 영어번역: 그 현재와 미래전망 / Bruce Fulton ; 홍시내 198
서론 198
본론 199
문학 199
번역 문학 200
번역작품의 보급 202
미래 전망 206
결론 207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번역, 교육, 연구 현황과 발전 대책 / 레당호안 210
1. 개괄 상황 210
2.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번역과 소개 상황 211
a〉 산문 작품 212
b〉 시 작품 213
3. 베트남 대학교에서의 한국문학 교육 상황 214
3.1. 한국문학 교육 과정과 내용 214
3.2. 강의 교과서 215
4.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연구 상황 216
5.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번역, 교육, 연구 사업에 대한 발전 대책 217
5.1.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 번역, 교육, 연구에서의 문제점 217
5.2. 앞으로 발전 대책 218
6. 결론 219
참고문헌 221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Education and Research, and Measures for Their Development in Vietnam / 레당호안 222
1. Overview 222
2.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nto Vietnam 224
A: Prose 225
B: Poetry 225
3. The stat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227
3.1.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and contents 227
3.2. Textbooks 228
4. The state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Vietnam 228
5. Taking measures to develop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education and research in Vietnam 229
5.1. Problems i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education and research 229
5.2. Measures for future development 231
6. Conclusion 232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교육현황 및 문제점 / 한매 234
1. 한국어학과 현황 234
2. 한국문학 교육 현황 236
1) 교수진과 학생 236
2) 문학 강좌의 개설 237
3) 교재 사용 상황 237
3. 학생의 수용 양상 238
4. 한국문학 교육의 문제점 239
1) 문학 강좌의 개설 부족 239
2) 학생들의 인식 부족 240
3) 문학 작품과 교재의 부족 241
5. 건의 사항 241
부록 244
〈부록 1〉 244
〈부록 2〉 산동대학 한국어학과의 커리큐럼 245
〈부록 3〉 설문조사 결과 247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and its Issues / 한매 250
1.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Studies 250
2.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252
1) Faculty and students 252
2)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courses 253
3) The use of teaching materials 254
3. Student Reception 255
4. Issu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257
1) Insufficient establishment of literature courses 257
2) Insufficient student knowledge 257
3) Insufficient literary works and teaching materials 258
5. Detailed proposals 259
Supplementary Materials 262
Supplementary Materials 1. 262
Supplementary Materials 2. Sandong University Korean Language Program Curriculum 263
Supplementary Materials 3. Questionairre Results 265
일본에서의 한국문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 渡邊直紀 268
1. 한 구체적인 사례에서-이청준 선생님 영전에 붙여 268
2. 한국문학을 어떻게 접해야 하는가-colonial guilt의 문제 269
3. 어떻게 번역되어 왔는가? 272
Korean Literature Studies in Japan / 渡邊直紀 276
1. Starting with a specific example-dedicated to the spirit of Yi Chong-Jun 276
2. How should Korean literature be received: the problem of colonial guilt 278
3. How has it been translated? 281
[부록] 韓國・朝鮮文學硏究・敎育のための文獻解題 / 渡邊直紀 284
1. 文學敎育・硏究上の困難について 284
2. 文學史で幅廣い視野を養う 285
3. 各時代の飜譯作品および關連書 287
3.1. 古典文學の飜譯作品と關連書 288
3.2. 近現代文學 (開化期以降)の飜譯書誌と作品選集について 291
3.3. 近代文學 (開化期から植民地時代, 解放まで)の飜譯作品と關連書 294
3.4. 現代文學 (解放後の韓國・北朝鮮)の飜譯作品と關連書 298
4. より專門的な硏究・敎育のために - 結論にかえて 305
토론문 306
해외 한국문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 이욱연 308
For a Stimulating Korean Literature Education Overseas / 이욱연 312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번역, 교육, 연구 현황과 발전대책 / 배다니엘 316
Discussion points fo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Education and Research, and Measures for Their Development in Vietnam" / 배다니엘 318
「한국현대소설의 영어 번역: 그 현재와 전망」 브루스 풀턴 교수에 대한 토론 / 우찬제 322
Discussion on "English Translation of Modern Korean Novels: Its Present Condition and Outlook" by Professor Bruce Fulton / 우찬제 324
세션2 회의록 328
Session 2 Minutes 332
라운드테이블(A Roundtable Discussion) : 번역가와 작가와의 만남(Author and Translator, Creation and Re-Creation) 336
세계번역가대회 라운드테이블 - 번역가와 작가의 만남 / 박범신 ; 윤홍길 ; 최윤 ; Bruce Fulton ; 안우식 ; 한매 338
Author and Translator Creation and Re-Creation: A Roundtable Discussion / 박범신 ; 윤홍길 ; 최윤 ; Bruce Fulton ; 안우식 ; 한매 346
분과 3(Session 3) : 세계속의 한국문학을 위하여 -전망과 제언-(Korean Literature around the World -Outlook and Proposals-) 356
A Reappraisal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 Kevin O''Rourke 358
한국문학 번역의 재평가 / Kevin O''Rourke ; 민은영 368
한국문학번역 체험에서부터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번역 발전 제안까지 / 하밍타잉 380
한-베 문학번역 현황 380
나의 한국문학번역 체험 381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번역발전제안 383
From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Korean to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 Vietnam / 하밍타잉 386
The Current State of Korean - Vietnamese Literature Translation 386
My Experience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388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 Vietnam 390
Reflexiones y Propuestas para la Mayor Difusion de la Literatura Coreana / Francisco Carranza Romero(이미지참조) 394
I. Breve historia de la traduccion y publicacion de la literatura coreana a las lenguas occidentales(이미지참조) 395
II. Politica cultural(이미지참조) 396
1. Un icono cultural(이미지참조) 396
2. Centro Cultural 397
3. Participacion de las empresas privadas(이미지참조) 399
III. Politica de promocion de la literatura coreana(이미지참조) 400
1. Traductores y editoriales 400
2. Planificacion de la traduccion(이미지참조) 401
3. Actividades relacionadas con la literatura 403
IV. Conclusiones 406
V. Bibliografia(이미지참조) 407
한국문학 유포를 위한 고찰과 제안 / Francisco Carranza Romero ; 고혜선 408
I. 한국문학의 서구어 번역과 출판 약사 408
II. 문화정책 409
1. 문화 아이콘 409
2. 문화원 411
3. 민간기업의 참여 412
III. 한국문학 진흥정책 413
1. 번역자와 출판사 413
2. 번역 기획 414
3. 문학 관련 행사 415
IV. 결론 418
V. 참고도서 419
Reflections and Proposals toward a Greater Disse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 Francisco Carranza Romero 420
I. Brief history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Western languages. 421
II. Cultural Politics 422
1. A cultural icon 422
2. Cultural center 423
3.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425
III. Politics of Promotion of Korean Literature 426
1. Translators and publishing houses 426
2. Plans for translation work 427
3. Activities related to literature 429
IV. Conclusions 432
V. Bibliography 434
El llamado de la espada / Andres Felipe Solano Mendoza 436
나를 부른 『칼의 노래』 / Andres Felipe Solano Mendoza ; 최유정 442
The Calling of the Sword / Andres Felipe Solano Mendoza ; Eunha Choi 446
토론문 452
한국문학 번역체험에서부터 베트남에서의 한국문학번역 발전 제언까지 / 고영훈 454
Discussion points: From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Korean to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 Vietnam / 고영훈 458
전망과 제언의 논문발표에 대한 토론문 / 송상기 462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 a discussion on the prospects and proposal / 송상기 464
세션3 회의록 466
Session 3 Minutes 470
분과 4(Session 4) : 번역가의 과제(The Task of the Translator) 474
The Task of the Translator / 나수호 476
번역가의 과제 / 나수호 ; 홍시내 484
번역어 선택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 / 반츠락츠 난딩쩨쩨그 494
1. 들어가며 494
2. 한국어 어휘 번역 방법 496
2.1. 사실적 번역 496
2.2. 창조적 어휘 변형에 의한 번역 498
2.3. 각주에 의한 번역 499
3. 나오며 500
〈부록〉 한국문학작품 어휘 몽골어 번역 사례 502
Specific Methodologies on Selecting Vocabulary for Translation / 반츠락츠 난딩쩨쩨그 506
1. Preface 506
2. Methods of Translating Korean Vocabulary 508
2.1. Realistic Translation 509
2.2. Translation through a Creative Transformation of Vocabulary 510
2.3. Footnote Translation 512
3. Conclusion 513
〈Appendix〉 Examples Mongolian Translation of Vocabulary in Korean Literary Works 515
한국 현대시 번역에 있어 번역가의 과제 / 윤해연 520
The Translator''s Task in Translation Modern Korean Poetry / 윤해연 530
세계적인 브라질 문학번역가 HAROLDO DE CAMPOS(1929~2003) - 번역가의 과제를 넘어선 de Campos의 놀라운 번역탐험기 / 임윤정 542
1. 구상주의(具象主意) 창시자로서의 de Campos 542
2. Pound를 통해 접하게 된 동양 시학과 번역에 대한 매력 545
3. de Campos의 놀라운 번역 탐험기 546
4. 세계가 좁은 de Campos 551
5. 번역가의 과제를 넘어서 552
6. de Campos와 한국문학 554
Haroldo de Campos (1929-2003), a World-renowned Literary Translator - An Extraordinary Exploration into the world of Translation, beyond the Translator''s Task / 임윤정 ; Yewon Jung 556
1. de Campos, the Father of Concretism 556
2. Pound, the Source of Fascination for Asian Poetry and their Translation 559
3. De Campos''s Extraordinary Exploration into the World of Translation 561
4. de Campos, for Whom the World Became Small 566
5. Beyond Translator''s Task 568
6. De Campos and Korean Literature 570
토론문 572
한국 현대시 번역에 있어 번역가의 과제 / 배다니엘 574
Discussion Points for "The Translator''s Task in Translating Modern Korean Poetry" / 배다니엘 578
번역가의 과제 토론문 / 박성창 582
The Task of the Translator / 박성창 586
세션4 회의록 590
Session 4 Minutes 594
[부록] 결과보고 598
판권기 609
[뒷표지]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