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청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우울, 불안, 강박과의 관계 . 상권

청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우울, 불안, 강박과의 관계 . 상권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미령
Title Statement
청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우울, 불안, 강박과의 관계 . 상권 / 지은이: 김미령.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국학술정보 ,   2008.  
Physical Medium
182 p. : 삽도 ; 21 cm.
ISBN
9788953420755
000 00534namccc200193 k 4500
001 000045494575
005 20100807090807
007 ta
008 081229s2008 ggka 000a kor
020 ▼a 978895342075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5.5 ▼2 22
090 ▼a 155.5 ▼b 2008z3 ▼c 1
100 1 ▼a 김미령 ▼0 AUTH(211009)35156
245 1 0 ▼a 청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우울, 불안, 강박과의 관계 . ▼n 상권 / ▼d 지은이: 김미령.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8.
300 ▼a 182 p. : ▼b 삽도 ; ▼c 21 cm.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5.5 2008z3 1 Accession No. 111523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자아가 불안정한 청년기에, 정체성확립이라는 갈등에 직면하게 되면, 개인이 가지는 대처 행동으로 발달 과제를 해결 할 수 없을 때 부적응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서는 이러한 이론에 근거해서 청년기의 심리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정체성혼란이 불안, 우울, 강박의 공통요인이 되는 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서이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고교생ㆍ대학생 1,402(남성 722, 여성 680) 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의 조사 과정을 겪었기에 현재 청년에 대해 현실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본 서는 상권과 하권으로 나누어져 전부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은 1장의 서론에서부터 6장 까지, 하권은 7장에서부터 9장의 총괄적 토론까지로 구성 되어 있다. 심리학도와 상담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미령(지은이)

와세다 석사 연구생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 박사 일본 긴키 대학 강사 요꼬하마 복지대학 시간 강사 고려 대학교 교육학과 연구 교수 주요논저 金 美伶 (2005) 韓國と日本の大學生における對人不安と同一性, 公的自己意識, 相互依存的自己との關係, パ―ソナリティ硏究, 14.42-53 金 美伶(2007)韓國高校生における抑うつの脆弱性としての同一性混亂 パ―ソナリティ硏究, 15, 205-216 金 美伶 (2006) 不安の發生と持?及び測定と心理療法 子ども發達敎育硏究センタ―紀要第 3,123-130 金 美伶 (2006) 靑年期の自我同一性に影響を及ぼす重要な他者との關係性 論叢, Vol. 10,320-334 金 美伶 (2007) 抑うつの槪觀及び抑うつ發生の諸理論,抑うつ評가尺度. 子ども發達敎育硏究センタ―紀要4, 95-104 金 美伶 (2006) 靑年期の抑うつㆍ不安ㆍ强迫の素因である同一性混亂と親の養育態度との因 果モデル檢討 パ―ソナリティ硏究, 第15回大會 表論文集, 126-127. 金 美伶 (2008) 靑年期の抑うつㆍ不安 の原因である同一性混亂日本心理學會第72回會 發表論文集, 54 이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olume. vol.상]----------
목차
1장 서론 = 11
 1. 서론 = 12
  1) 본 논문의 목적 = 12
  2) 본 논문의 구성 = 13
 2. 본 논문의 이론적 어프로치 = 15
  1) 청년기의 자기에 관한 이론 및, 자기 체험의 특징 = 15
  2) 청년기의 부정적 정체성과 부적응과의 관계 = 20
  3) 청년기의 정신적 병리의 분류 = 32
  4) 청년기에 있어서 부모와 자식 관계 및 자의식 = 35
 3. 본 논문의 특성 및 선행 연구와의 관련 = 39
2장 청년기의 정체성 = 43
 1. 서론 = 45
 2. 본론 = 47
  1) 청년기와 정체성 = 47
  2) 청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정신 장애 = 49
  3) 청년의 정체성 형성과 사회 = 51
 3. 결론 = 61
3장 청년기의 불안 = 65
 1. 불안에 대한 이론 = 67
  1) 불안의 의미 = 68
  2) 불안의 진단 = 69
  3) 불안 발증에 관한 이론 = 74
  4) 불안의 측정 = 79
 2. 결론 = 85
4장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의 대인불안 비교 = 87
 1. 문제와 목적 = 89
 2. 방법 = 95
  1) 조사 대상자 = 95
  2) 조사 내용과 절차 = 95
  3) 대인 불안과 관련 척도 = 96
 3. 결과 = 100
  1) 척도 구성과 척도 득점의 분석 = 100
  2) 대인 불안과 다른 척도와의 상관 = 105
  3) 국가와 성별에 의한 차이의 검토 = 106
 4. 고찰 = 112
5장 청년기의 우울 = 119
 1. 우울의 개관 = 121
  1) 우울(depression)이란 무엇인가 = 121
  2) 우울자의 성격 및 인격 구조 = 123
  3) 우울을 지체화(遷延化)하는 요인 = 124
  4) 우울과 자기 주목 = 127
 2. 우울 발생의 제 이론 = 129
  1) Beck의 인지 왜곡 이론 = 129
  2) Teasdale의 우울 발생의 이론 = 133
  3) Ellis의 우울 발생의 이론 = 135
  4) Rehm의 자기 컨트롤 이론 = 136
  5) Seligman et al.의 개정 학습 무력감 이론 = 138
  6) Alloy et al.의 절망감 이론 = 140
 3. 우울의 어세스먼트 = 142
  1) 자기 평정 척도 = 142
  2) 다른 사람 평정 척도 = 143
  3) 우울적 인지의 질문지법 = 143
  4) 질문지의 문제점 = 150
 4. 결론 = 151
6장 청년기의 우울과 정체성 혼란 = 153
 1. 문제 = 155
  1) 청년기의 우울과 정체성 혼란 = 155
  2) 본 논문의 목적 = 159
 2. 방법 = 163
  1) 조사 대상자 = 163
  2) 조사 시기와 절차 = 163
  3) 정체성 혼란과 관련 척도 = 164
 3. 결과 = 170
  1) 척도의 구성과 척도의 신뢰성 = 170
  2) 각 척도의 성차의 검정 = 173
  3) 정체성 혼란과 각 척도 간의 상관 = 174
  4) 공분산 구조 분석에 의한 모델의 검토 = 175
 4. 고찰 = 1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Gallwey, W. Timothy (2023)
School of Lif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