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
01726cgmccc200337 k 4500 |
001 |
|
000045493718 |
005 |
|
20100805035929 |
007 |
|
vf cbahou |
008 |
|
000000s1997 ulk052 cvlkorOE |
035 |
|
▼a (KERIS)BIB000007488157
|
040 |
|
▼a 211036
▼c 211036
▼d 211048
▼d 211028
▼d 211009
|
085 |
|
▼a 700.953
▼2 DDCK
|
090 |
|
▼a 700.953
▼b 1996b
▼c 8
|
110 |
|
▼a 국립문화재연구소
|
245 |
1
0
|
▼a 경주교동법주
▼h [비디오녹화자료] =
▼x 慶州校洞法酒 /
▼d 국립문화재연구소.
|
260 |
|
▼a 서울 :
▼b 국립문화재연구소 ,
▼c 1997.
|
300 |
|
▼a 비디오카세트 1개(52분) :
▼b 유성, 천연색 ;
▼c 12.5 mm.
|
440 |
0
0
|
▼a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
▼x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series ;
▼v 8
|
500 |
|
▼a 용기 표제
|
500 |
|
▼a "중요무형문화재 제86-다호"
|
511 |
8
|
▼a 출연진: 배영신
|
520 |
|
▼a 경주 최씨 집안에서 대대로 빚어온 경주교동법주는 조상제사, 손님접대를 위한 가양주(家釀酒)로서 우리 나라 최고의 민속주로 손꼽힌다. 경주교동법주는 순수한 찹쌀과 밀로 만든 누룩, 그리고 집 안마당에 있는 샘물로 빚는다. 이렇게 빚어진 교동법주는 투명하고 노르스름하며 입에 달라 붙는 찰기가 있다. 경주교동법주는 빛깔·향기·맛이 어우러진 종합예술품이다. 이 법주의 특징은 누룩, 찹쌀의 사용, 재료의 배합 비율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술은 밀기울만 가지고 누룩을 만드는 데 비해, 밀 전체와 쌀가루를 사용하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일반 술은 맵쌀로 담그는 게 고작이지만 경주교동법주는 찹쌀을 사용하니 그만큼 고급술이 된다.
|
538 |
|
▼a VHS
|
580 |
|
▼a 연관 단행본 있음.
|
740 |
|
▼a 중요무형문화재
|
787 |
0
|
▼t 慶州校洞法酒
▼w (211009)587681
|
910 |
1
|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
940 |
|
▼a Kyongju Kyo-Dong Pobju
|
945 |
|
▼a KINS
|
953 |
|
▼a 교양학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