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896cgmccc200325 k 4500 | |
001 | 000045493716 | |
005 | 20100805035927 | |
007 | vf cbahou | |
008 | 030623s1998 ulk074 cvlkorOE | |
035 | ▼a (KERIS)BIB000007488159 | |
040 | ▼a 211036 ▼c 211036 ▼d 245011 ▼d 211048 ▼d 211009 | |
085 | ▼a 700.953 ▼2 DDCK | |
090 | ▼a 700.953 ▼b 1996b ▼c 10 | |
110 | ▼a 국립문화재연구소 | |
245 | 1 0 | ▼a 승무 ▼h [비디오녹화자료] = ▼x 僧舞 / ▼d 국립문화재연구소. |
260 | ▼a 서울 : ▼b 국립문화재연구소 , ▼c 1998. | |
300 | ▼a 비디오카세트 1개(74분) : ▼b 유성, 천연색 ; ▼c 12.5 mm. | |
440 | 0 0 | ▼a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 ▼x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series ; ▼v 10 |
500 | ▼a 용기 표제 | |
500 | ▼a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 |
511 | 8 | ▼a 출연진: 이매방, 이애주 |
520 | ▼a 승무는 민속춤으로서는 가장 잘 다듬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춤사위를 집대성한 춤이다. 승무는 신체를 이용하는 동장 이외에도 장삼을 움직여 공간에 형성되는 모든 형상이 다른 춤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점이 있다. 또한 민속춤이 대체로 즉흥적이며 무릎의 굴신에 따라 상하가 가볍게 우쭐대는 것에 비해 승무는 전체적으로 무겁고 느린 정중동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 춤사위가 매우 세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도 민속춤이 갖는 어르고 맺고 푸는 동작의 섬세한 표현과 한삼 사위의 묘함이 조화를 이룬다. 현재 전승되는 승무는 이매방류 승무와 한영숙류 승무로 대표된다. 이매방 승무는 이대조로부터 권번에서 배운 기방예술로써 성격이 많이 나타나며, 남도 예술의 미가 더욱 돋보이는 춤이라면, 한영숙 승무는 경기라는 지역적 특성과 기방춤을 재구성하여 체계적인 창작 작품으로서 무대화시킨 한성준의 승무를 더욱 빛낸 한국춤의 정통적 기교와 격조를 보여주는 춤이라 하겠다. | |
538 | ▼a VHS | |
580 | ▼a 연관 단행본 있음. | |
740 | ▼a 중요무형문화재 | |
787 | 0 | ▼t 승무 ▼w (211009)774347 |
910 | 1 |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
945 | ▼a KINS | |
953 | ▼a 교양학술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Multimedia/ | Call Number AVC 700.953 1996b 10 (SN.117-93) | Accession No. 114015762 | Availability Un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