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소반장 [비디오녹화자료]

소반장 [비디오녹화자료]

자료유형
멀티미디어
단체저자명
국립문화재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소반장 [비디오녹화자료] = 小盤匠 / 국립문화재연구소.
발행사항
서울 :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7.  
형태사항
비디오카세트 1개(52분) : 유성, 천연색 ; 12.5 mm.
총서사항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series ; 7
요약
소반은 우리 민족이 평좌생활(平坐生活)을 시작했던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음식을 얹어 사용하는 식생활 기물이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1인 1반의 식생활 관습이 정착되어 각 가정에서는 가족 수에 따라 수십 구의 소반을 구비하여 내객을 접대했다. 이렇듯 많은 수요가 있었던 소반은 최근 생활양식의 변화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여 소반을 제작하던 소반장도 생계를 위해 전업을 하여 기능의 단절 상태를 불러왔다. 이러한 가운데 소반제작의 가업을 이어오던 이인세가 1992년 소반장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재래식 수공의 목공 연장과 그 연장을 이용해 소반을 제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일반인은 물론 목공예를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소반의 결구와 제작 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주기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000 01685cgmccc200313 k 4500
001 000045493714
005 20100805035926
007 vf cbahou
008 000000s1997 ulk052 cvlkorOE
035 ▼a (KERIS)BIB000007488154
040 ▼a 211036 ▼c 211036 ▼d 211048 ▼d 211009
085 ▼a 700.953 ▼2 DDCK
090 ▼a 700.953 ▼b 1996b ▼c 7
110 ▼a 국립문화재연구소
245 1 0 ▼a 소반장 ▼h [비디오녹화자료] = ▼x 小盤匠 / ▼d 국립문화재연구소.
260 ▼a 서울 : ▼b 국립문화재연구소 , ▼c 1997.
300 ▼a 비디오카세트 1개(52분) : ▼b 유성, 천연색 ; ▼c 12.5 mm.
440 0 0 ▼a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 ▼x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series ; ▼v 7
500 ▼a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511 8 ▼a 출연진: 이인세
520 ▼a 소반은 우리 민족이 평좌생활(平坐生活)을 시작했던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음식을 얹어 사용하는 식생활 기물이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1인 1반의 식생활 관습이 정착되어 각 가정에서는 가족 수에 따라 수십 구의 소반을 구비하여 내객을 접대했다. 이렇듯 많은 수요가 있었던 소반은 최근 생활양식의 변화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여 소반을 제작하던 소반장도 생계를 위해 전업을 하여 기능의 단절 상태를 불러왔다. 이러한 가운데 소반제작의 가업을 이어오던 이인세가 1992년 소반장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재래식 수공의 목공 연장과 그 연장을 이용해 소반을 제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일반인은 물론 목공예를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소반의 결구와 제작 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38 ▼a VHS
580 ▼a 연관 단행본 있음.
740 ▼a 중요무형문화재
787 0 ▼t 소반장 ▼w (211009)752091
910 1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945 ▼a KINS
953 ▼a 교양학술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2F 멀티미디어자료실/ 청구기호 AVC 700.953 1996b 7 (SN.117-95) 등록번호 114015764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