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3n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493681 | |
005 | 20121213190702 | |
007 | ta | |
008 | 081223s2003 ulka 001c kor | |
020 | ▼a 8957260811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a eng ▼h eng |
082 | 0 4 | ▼a 410 ▼2 22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03d1 | |
100 | 1 | ▼a Aitchison, Jean, ▼d 1938- |
245 | 1 0 | ▼a 언어학개론 / ▼d 진 에이치슨 지음 ; ▼e 임지룡 옮김 |
246 | 1 9 | ▼a Linguistics ▼g (5th ed.)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3 | |
300 | ▼a 340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650 | 0 | ▼a Linguistics |
700 | 1 | ▼a 임자룡, ▼e 역 |
900 | 1 0 | ▼a 에이치슨, 진,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03d1 | Accession No. 11152170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03d1 | Accession No. 1115217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진 에이치슨(지은이)
옥스퍼드 대학 우스터 칼리지 교수이자 옥스퍼드 대학 언어와 의사소통에 관한 루프트 머독 재단의 교수. 지은 책으로 <말하는 동물>, <언어 변화> 등이 있다.
임지룡(옮긴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어 의미론』(2018),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21)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심리언어학』(1993), 『언어의 의미』(2002), 『언어학개론』(2003),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은유 백과사전』(2020) 외 다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기는 말 = ⅴ 저자의 한국판 서문 = ⅶ 머리말 = xi 감사의 글 = xiii 제1부 출발하기 = 1 1 언어학이란 무엇인가? = 3 2 언어란 무엇인가? = 14 3 언어 연구 = 30 4 시작 지점 결정하기 = 41 제2부 내부 원 = 51 5 소리 유형 = 53 6 낱말 및 낱말의 조각 = 67 7 문장 유형 = 86 8 의미 = 114 제3부 외부 원 = 133 9 언어 사용 = 135 10 언어와 사회 = 151 11 언어와 마음 = 176 12 언어와 문체 = 199 제4부 변화와 비교 = 215 13 언어 변화 = 217 14 언어 비교 = 232 15 변화에 대한 태도 = 249 제5부 보편 문법을 향하여 = 257 16 적절한 틀 추구 = 259 17 변형이 지닌 난처함 = 277 18 기본으로의 복귀 = 292 끝맺음 = 306 더 읽을 거리 = 307 기호 및 주요 약어의 목록 = 320 음성학 : 말소리에 대한 연구 = 321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