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주환
Title Statement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 김주환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생각의나무,   2008  
Physical Medium
244 p. ; 20 cm
Series Statement
問라이브러리 ;10
ISBN
9788984989139 9788984988859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702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493084
005 20121128220704
007 ta
008 081118s2008 ulk b 001c kor
020 ▼a 9788984989139 ▼g 03300
020 1 ▼a 9788984988859 (세트)
035 ▼a (KERIS)BIB000011493525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089.957 ▼a 320.9519 ▼2 22
085 ▼a 089.97 ▼2 DDCK
090 ▼a 089.97 ▼b 2008z1 ▼c 10
100 1 ▼a 김주환 ▼0 AUTH(211009)50926
245 1 0 ▼a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 ▼d 김주환
260 ▼a 서울 : ▼b 생각의나무, ▼c 2008
300 ▼a 244 p. ; ▼c 20 cm
440 0 0 ▼a 問라이브러리 ; ▼v 10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z1 10 Accession No. 1115208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89.97 2008z1 10 Accession No. 1512702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z1 10 Accession No. 1115208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89.97 2008z1 10 Accession No. 1512702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디지털 혁명과 정보사회의 도래,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움베르토 에코가 극찬한 미디어 이론가 김주환이 전망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


볼로냐 대학에서 움베르토 에코로부터 기호학을 수학하고 ‘기호생산의 삼중삼각형 이론’으로 에코 교수에게 극찬(trenta e lode)을 받은 연세대 김주환 교수가 그간의 연구성과를 망라한 신간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를 펴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문자 기록을 넘어 소리와 영상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남기기 시작하면서 후역사시대의 개막을 가져온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미디어의 눈부신 발전의 원동력은 무엇이며, 디지털 혁명과 정보사회가 도래한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며 앞으로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는 어떠할지 전망하고 있다.

저자는 에코, 마르크스, 맥루한, 하이데거 등 20세기 위대한 사상가들의 이론을 토대로 디지털 기호로 이루어진 세상을 바라본다. 특히,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을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혁명의 기원을 고찰하면서 물적 노동에 대비되는 ‘커뮤니케이션 노동’이라는 개념을 통해 마르크스 자본론의 이론적 허점을 지적하고 있다. 왜 자본주의는 마르크스가 예언한 대로 멸망하지 않고 오히려 더 발전하게 되었는지, 왜 매체발전이 이렇게 급속하게 일어나게 되어 결국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가 오게 되었는지, 광고와 마케팅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이고 그것이 왜 물질적 생산과정 이상으로 중요한지, 왜 광고매체로 활용될 수 있는 매체 기술은 계속 발전하는 반면, 광고매체로 이용되지 않는 매체는 결국 도태하고 마는지, 커뮤니케이션 노동, 즉 광고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왜 지리멸렬할 수밖에 없는지 등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이론가 맥루한의 논의를 확장시켜 매체발전의 역사를 다섯 단계로 정리하고 이를 정치, 경제, 문화의 변동과 연관시켜 살피고 있다. 나아가 디지털 미디어 혁명의 근본적인 의미는 후역사시대가 시작되었다는 데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전망한다. 뿐만 아니라 하이데거의 현상학을 디지털 존재론에 적용시켜, 물질적 존재도 기호적 존재도 아닌(실체도 아니고 이미지도 아닌) 제3의 존재인 디지털 존재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예를 들어 햅틱폰에 들어 있는 주사위는 실재하는 주사위의 이미지나 기호가 아니라 그냥 주사위이지만 물질적 기반이 없다. 하지만 물질적 기반 없이도 인간행위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대상이 되는, 지금까지 인류 역사에서 존재해본 적이 없는 새로운 존재양식이라고 말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주환(지은이)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언론홍보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로 내면소통, 명상, 마음근력, 소통능력, 회복탄력성, 설득과 리더십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뇌과학과 뇌영상 분석 기법을 이용해 내면소통과 명상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들의 연구 모임인 대한명상의학회에서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2017년부터는 연세대학교 야구부 멘털 코치를 맡아 명상 훈련을 시키고 있다. 고등학교 2학년 시절, 장자와 반야심경에 심취하여 명상 수행을 시작했다. 미국 쿤달리니요가 전문가과정((Guru Singh, LA Kundalini University: RYT 200)을 수료했으며, 과학적 명상 연구를 선도하는 MLI(The Mind and Life Institute)의 SRI(Summer Research Institute)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대한 조계종 출가학교를 졸업(50기)했고, 하트스마일명상 지도자과정을 수료했다. 국제 케틀벨 코치(레벨1)이며, 대한 우슈협회 우슈(태극권) 7단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볼로냐대학교에서 움베르토 에코 교수에게 기호학을 사사했으며, 미국 보스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01년 한국 언론학회 신진교수 우수논문상과 2012년 한국HCI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 2011년 연속으로 연세대 우수강의교수로 선정되었다. 저서로 《회복탄력성》, 《그릿》,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역서로 《스피치의 정석》, 《드라이브》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미디어와 기호 = 11
 기호, 기호물, 미디어
 기호란 무엇인가
 기호와 실체의 구성
 기호의 해석과 가추법
 기호학에 대하여
기호생산이론과 디지털 혁명의 기원 = 51
 디지털 혁명 기원의 문제
 기호와 상품생산의 동질성: 기호생산이론을 위한 삼중삼각형 모델
  상품생산의 삼중삼각형 모델
  기호생산의 삼중삼각형 모델
  미술작품 생산의 삼중삼각형 모델
  신화생산의 삼중삼각형 모델
매체발전의 역사와 디지털 혁명의 의미 = 119
 첫 번째 변화: 문자의 발명
 두 번째 변화: 인쇄매체의 등장과 근대성의 확립
 세 번째 변화: 전자매체와 매스미디어의 등장
 네 번재 변화: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
 디지털 매체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
월드와이드웹의 존재론 = 199
 도구로서의 디지털 존재
 디지털 존재의 시공간적 조건
 자아, 타자, 그리고 인터넷상에서의 상호작용
 월드와이드웹 안 존재로서의 현존재
참고문헌 = 228
쟁점과 핵심어 찾아보기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