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4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493083 | |
005 | 20121128220810 | |
007 | ta | |
008 | 081118s2008 ulk 001c kor | |
020 | ▼a 9788984989122 ▼g 03300 | |
020 | 1 | ▼a 978898498885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1493524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089.957 ▼a 320.9519 ▼2 22 |
085 | ▼a 089.97 ▼2 DDCK | |
090 | ▼a 089.97 ▼b 2008z1 ▼c 9 | |
100 | 1 | ▼a 이상규 ▼0 AUTH(211009)109734 |
245 | 1 0 | ▼a 둥지 밖의 언어 : ▼b 지혜의 심장, 우리말 사전 지식의 진화를 위하여 / ▼d 이상규 |
260 | ▼a 서울 : ▼b 생각의나무, ▼c 2008 | |
300 | ▼a 276 p. ; ▼c 21 cm | |
440 | 0 0 | ▼a 問라이브러리 ; ▼v 009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2008z1 9 | 등록번호 1115208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학자가 이상규가 국립국어원장 재임 기간의 마지막 저서를 통해 심혈을 기울인 우리말 어문정책과 사전에 대한 제안을 담은 책.
국가 사업으로 진행해 온 <표준국어대사전>이 담당할 수 있는 지식 자원은 질량적 측면에서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기존의<표준국어대사전>이 안고 있는 한계를 여러 측면에서 지적하고 있다.
저자는 국립국어원장으로 활동하는 내내 어문 정책에 대해 빗발처럼 쏟아지는 민원에 시달렸음을 이야기하면서, 여러 문제를 최소화하겠다는 신념으로 이 책을 냈다고 밝힌다. 국립국어원장으로서, 국어학자로서 그의 고민들이 깊게 녹아들어간 이 책은 국어 능력 향상, 국어 정보화, 국어사전 지식 강화 등의 제문제에 대한 튼실한 청사진을 제공해주고 있다.
국어학자 이상규가 깊은 애정으로 그려낸
아름답고 풍성한 우리말 사전의 청사진
둥지 밖의 언어
지혜의 심장, 우리말 사전 지식의 진화를 위하여
국가 사업으로 진행해 온 『표준국어대사전』이 담당할 수 있는 지식 자원은 질량적 측면에서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 새로이 생산되는 지식 영역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사전 지식의 기준을 새로 설정하고 대상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고도화해야 한다. 이러한 일은 어느 개인이 주도할 수 없다. 국가가 참여하고 다중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지식 능력을 고도화하는 일이야말로 빗물질적 생산성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21세기에 적응할 기반을 마련하는 지름길이다. 이 책에서는 기존의 『표준국어대사전』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제기하여 체계적 불균형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머리말」 중에서
국어학자가 이상규가 국립국어원장 재임 기간의 마지막 저서를 통해 심혈을 기울인 우리말 어문정채과 사전에 대한 제안을 한다
현대의 지식정보사회에서 늘어난 지식과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며, 이는 국가 경쟁력과도 깊은 연관성을 갖기도 한다. 미래 지향적 선진국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식 기반을 구축해야 하는데, 지속적으로 생산된 새로운 고급 지식 정보를 다중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신지식 기반인 사회간접자본을 구축하는 것이 절실하다. 국립국어원장 이상규는 이 책을 통해 지식정보사회 속에서 그러한 지식 기반 구축에 대한 심도 깊은 제안을 하고 있다.
국어학자인 저자의 입장에서 지식 기반 구축을 위해 상당히 중요한 것은 국어사전의 정비를 통해 그 사전에 담긴 지식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국가 사업으로 진행해 온 『표준국어대사전』이 담당할 수 있는 지식 자원은 질량적 측면에서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기존의 『표준국어대사전』이 안고 있는 한계를 여러 측면에서 지적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장으로 활동하는 내내 어문 정책에 대해 빗발처럼 쏟아지는 민원에 시달렸음을 이야기하면서, 여러 문제를 최소화하겠다는 신념으로 이 책을 냈다고 밝힌다. 국립국어원장으로서, 국어학자로서 그의 고민들이 깊게 녹아들어간 이 책은 국어 능력 향상, 국어 정보화, 국어사전 지식 강화 등의 제문제에 대한 튼실한 청사진을 제공해주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사전 지식은 끊임없이 진화해야 = 4 왜 언어 다양성이 중요한가 = 13 1. 언어 지배와 공존 2. 위기에 처한 언어의 다양성 3. 우월한 언어란 존재하지 않는다 언어 생태적 관점에서 본 사전 지식 = 53 1.『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얽힌 두 가지 이야기 2. 사전 둥지 바깥 언어 3. 토착 언어의 절멸 4. 국어의 외연을 넓히자 지혜의 심장, 국어사전 = 107 1. 국어사전이란 무엇인가? 2. 사전의 계열적 체계 문제 3. 사전에 없는, 책에 담겨진 지식 4. 표준국어대사전의 발전 방향 국가 사전 지식의 생산과 관리 = 177 1. 협업과 공유의 가능성 2. 사전 편찬 기술의 미래 3. 어문 규정,〈국어기본법〉과 사전 4. 전문(학술)용어 5. 신조어, 고유어, 절멸 신호등 6. 넘쳐나는 외국어 7. 로마자 표기와 성명 표기 기호, 그 속에 숨어 있는 비밀 = 247 1. 문화 콘텐츠로서의 기호 2. 기호에 숨어 있는 문화 원형: 콘텐츠 구축의 가능성 3. 마지막 보루, 문학 언어의 창조성 쟁점과 핵심어 찾아보기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