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대한민국 경제 및 재정통계

대한민국 경제 및 재정통계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국회예산정책처 . 경제분석실 . 거시경제분석팀 , 편
Title Statement
대한민국 경제 및 재정통계 / 편집: 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국회예산정책처 ,   2008.  
Physical Medium
258 p. : 색채삽도 ; 26 cm.
ISBN
9788960731011
000 00681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92734
005 20100807084926
007 ta
008 081218s2008 ulka 000a kor
020 ▼a 9788960731011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9.095195 ▼2 22
085 ▼a 339.0953 ▼2 DDCK
090 ▼a 339.0953 ▼b 2008z1
245 0 0 ▼a 대한민국 경제 및 재정통계 / ▼d 편집: 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팀.
260 ▼a 서울 : ▼b 국회예산정책처 , ▼c 2008.
300 ▼a 258 p. : ▼b 색채삽도 ; ▼c 26 cm.
710 ▼a 국회예산정책처 . ▼b 경제분석실 . ▼b 거시경제분석팀 , ▼e
910 1 ▼a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910 1 ▼a NABO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0953 2008z1 Accession No. 11151605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주요 현안자료
 1. 주요 선진국 주택가격 조정과 영향 = 3
  1.1 주요 선진국 주택가격 추이 = 3
  1.2 주택가격 하락 원인 = 6
  1.3 주택가격 하락의 영향 = 12
 2. 원자재가격 급등과 물가상승 = 39
Ⅱ. 재정지표
 1. 주요 통계 = 51
  1.1 통합재정수지 = 51
  1.2 국가채무 = 55
  1.3 조세부담률 및 국민부담률 = 58
 2. 세입 = 59
  2.1 국세수입 실적 = 59
  2.2 국세ㆍ지방세 = 62
  2.3 직접세와 간접세 = 63
  2.4 국채 발행 = 64
  2.5 세외수입 = 67
  2.6 조세지출 = 68
 3. 총지출 = 70
  3.1 통합재정규모 = 70
  3.2 국가재정운용계획 기준 총지출 규모 = 71
  3.3 통합재정(중앙정부)의 분야별 재원배분 = 73
 4. 예ㆍ결산 = 77
  4.1 세입ㆍ세출 결산 = 77
  4.2 세계잉여금 처리 = 79
  4.3 기금결산 = 81
  4.4 지자체별 예결산 현황 = 84
 5. 기타 = 93
  5.1 예산안 국회 수정 현황 = 93
  5.2 추가경정예산 = 96
  5.3 부담금 = 97
  5.4 국민연금 자산규모 및 운용규모 = 99
 6. OECD 국가와의 비교 = 101
  6.1 GDP 대비 총지출 = 101
  6.2 GDP 대비 재정수지 = 104
  6.3 GDP 대비 총금융채무 = 107
  6.4 조세부담률 = 110
  6.5 국민부담률 = 112
  6.6 총지출 대비 분야별 지출 비중 = 115
Ⅲ. 사업평가
 1. 공기업 = 123
  1.1 주요 공기업 자산, 부채 및 자본 추이 = 123
  1.2 주요 공기업 금융성 부채 추이 = 125
  1.3 주요 공기업 손익 추이 = 127
  1.4 주요 공기업 수익성 지표 추이 = 128
  1.5 주요 공기업 재무 건전성 지표 추이 = 130
 2. 규제영향분석 = 131
  2.1 OECD 및 주요 경쟁국가별 규제수준 비교(2006) = 131
  2.2 부처/청별 규제영향분석서의 수(2001∼2006년 중요규제) = 132
  2.3 부처/청별 규제영향분석서의 분석수준(2001∼2006 중요규제) = 133
  2.4 규제영향분석서(2001∼2006) 평가 항목별 분석수준 = 134
 3. 국가연구개발(R&D) = 136
  3.1 국가 R&D 투자 현황 = 136
  3.2 전략적 속성의 유형별 국가 R&D 투자 현황 = 137
  3.3 연구수행 주체별 국가 R&D 투자 현황 = 139
  3.4 연구수행 주체별 국가 R&D 투자 속성 = 141
  3.5 정부 부처/청별 국가 R&D 투자 현황 = 143
  3.6 R&D 투자의 국가별 비교 = 145
Ⅳ. 경제ㆍ금융ㆍ재정 동향
 1. 국내경제구조 변화 추이 = 151
 2. 국내경제ㆍ금융ㆍ재정 동향 = 158
  2.1 경기 = 158
  2.2 국민계정 = 159
  2.3 생산 = 161
  2.4 소비 = 163
  2.5 투자 = 164
  2.6 대외거래 = 166
  2.7 노동 = 170
  2.8 물가 = 171
  2.9 통화ㆍ금융 = 172
 3. 해외경제 동향 = 173
  3.1 세계경제 전망 = 173
  3.2 주요 가격변수 = 176
Ⅴ. 경제ㆍ금융ㆍ재정통계
 1. 총량 및 국내 경제구조 변화 = 179
  1.1 경제규모 = 179
  1.2 생산ㆍ지출ㆍ분배구조 = 180
  1.3 가계ㆍ기업의 성향 = 181
  1.4 노동 구조 = 182
  1.5 공업구조별ㆍ업종별 수출구조 = 183
  1.6 공업구조별ㆍ업종별 수입구조 = 183
  1.7 국가별 수출구조 = 184
  1.8 국가별 수입구조 = 184
  1.9 통화금융 = 185
  1.10 국제수지 = 186
 2. 국내 경제ㆍ금융ㆍ재정 = 187
  2.1 경기종합지수 = 187
  2.2 경기 및 생산의 확산지수 = 188
  2.3 기업실사지수(BSI) = 189
  2.4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 190
  2.5 지출항목별 국내총생산 = 192
  2.6 국내총생산의 산업별 기여도 = 193
  2.7 국내총생산의 수요부문별 기여도 = 195
  2.8 총저축ㆍ국민총소득 = 196
  2.9 재별ㆍ산업형태별ㆍ규모별 산업생산 = 197
  2.10 업종별 산업생산 = 198
  2.11 서비스업 생산 = 199
  2.12 재별ㆍ산업형태별ㆍ규모별 재고순환 = 200
  2.13 업종별 재고순환 = 201
  2.14 소비재의 판매ㆍ출하ㆍ수입 = 202
  2.15 소매판매 = 203
  2.16 소비자전망(CSI) = 204
  2.17 설비투자 관련지표 = 205
  2.18 업종별 가동률 = 206
  2.19 건설기성액ㆍ건설수주 = 207
  2.20 품목별 수출 = 208
  2.21 품목별 수입 = 209
  2.22 국가별 수출 = 210
  2.23 국가별 수입 = 211
  2.24 순상품교역조건ㆍ수출입단가 = 212
  2.25 소득교역조건ㆍ수출입물량 = 213
  2.26 경상수지 = 214
  2.27 자본수지 = 215
  2.28 대외채무 = 216
  2.29 대외채권 = 217
  2.30 주요 노동지표 = 218
  2.31 산업별 취업자 = 219
  2.32 산업별 임금 = 220
  2.33 소비자물가 = 221
  2.34 생산자물가 = 222
  2.35 수출입물가 = 223
  2.36 주요 금리지표 = 224
  2.37 통화 = 225
  2.38 본원통화의 부문별 기여도 = 226
  2.39 광의유동성의 기여도 = 227
  2.40 예금취급기관의 부문별 기여도 = 228
  2.41 M2의 기관별 기여도 = 229
  2.42 M2의 상품별 기여도 = 230
  2.43 금융기관 대출금의 산업ㆍ가계 기여도 = 231
  2.44 가계신용 = 232
  2.45 L-LF의 부문별 기여도 = 233
  2.46 통합재정 = 234
  2.47 조세징수액 = 235
  2.48 증시자금조달 = 236
  2.49 증권거래 및 주가지수 = 237
  2.50 국채ㆍ회사채 발행 및 잔액 = 238
 3. 해외 경제 = 239
  3.1 지역별 성장율 = 239
  3.2 지역별 소비자물가 = 240
  3.3 지역별 경상수지 = 241
  3.4 주요 국가의 재정수지 = 242
  3.5 OECD 경기선행지수 = 243
  3.6 상품가격 = 244
  3.7 국제금리 = 245
  3.8 주요국 환율 = 246
  3.9 주요국 주가지수 = 247
  3.10 주요국 산업생산 = 248
  3.11 주요국 통화(M2) = 249
  3.12 주요국 수출 = 250
  3.13 주요국 수입 = 251
  3.14 주요국 자본수지 = 252
  3.15 주요국 외환보유액 = 253
  3.16 주요국 소매판매 = 254
  3.17 주요국 실업률 = 255
  3.18 소비자물가 = 256
  3.19 주요국 중앙정부 부채(USD기준) = 257
  3.20 주요국 중앙정부 부채(GDP 대비 비율) = 25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