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상]----------
목차
발간사 = ⅲ
축사 = ⅴ
제1장 사료산업의 중요성
1. 사료산업의 중요성 = 1
1.1 물량 면에서 식량보다 더 많은 사료 = 2
1.2 사료산업의 고용력 = 3
1.3 한국 사료산업의 세계 사료곡물 시장에서의 비중 = 3
1.4 관련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사료산업 = 5
2. 사료산업 발전을 위한 연도별 고찰 = 5
3. 사료산업의 발전과정 = 23
3.1 발전단계의 구분 = 23
3.2 태동기(1948~1966년) = 25
3.2.1 배합사료의 기원 = 25
3.2.2 가축보호법의 제정과 배합사료 생산 개시 = 26
3.2.3 사료용 곡류의 도입과 배합사료 보세가공 설영특허 제도 = 26
3.2.4 한국사료협회의 탄생 = 26
3.2.5 여러 배합사료공장의 설립 = 27
3.2.6 사료관리법의 제정과 늘어나는 사료공장 = 27
3.2.7 사료 제조시설 기준의 개정사 = 30
3.2.8 공정 규격의 설정과 사료검사제도의 확립 = 30
3.3 기반구축기(1967~1982년) = 31
3.3.1 제1기반구축기(1967~1976년) = 31
3.3.2 제2기반구축기(1977~1982년) = 39
제2장 사료 행정기구 및 제도의 변천과정
1. 사료 행정기구 및 제도의 발전 개요 = 57
1.1 사료 행정기구의 변화 = 57
1.2 법률 및 제도의 제정과 개정 = 57
2. 행정기구의 변화 = 59
2.1 중앙관서 = 59
2.2 지방관서 = 61
2.3 역대 사료행정 담당자 = 61
3. 법률과 제도의 제정 및 개정약사 = 61
3.1 사료관리법의 개정약사 = 61
3.1.1 사료관리법의 제정과 개정 = 61
3.1.2 사료관리법 시행령의 제정과 개정 = 69
3.1.3 사료관리법 시행규획 = 73
3.2 사료관계 제규정의 변천과정 = 79
3.2.1 사료검사업무취급요령(사료검사 업무 지침) = 79
3.2.2 사료의 공정규격(성분량 한도) = 91
3.2.3 배합사료 제조용 동물약품 및 사료 첨가제 사용지침 = 104
3.3 사료검사제도의 변천 = 108
3.3.1 농림부 훈령 제236호(1971년 6월 21일) = 111
3.3.2 농림부 훈령 제268호(1972년 9월 1일) = 111
3.3.3 농림부 훈령 제278호(1973년 1월 12일) = 111
3.3.4 농수산부 훈령 제311호(1974년 9월 25일) = 111
3.3.5 농수산부 훈령 제329호(1975년 7월 31일) = 112
3.3.6 농수산부 훈령 제354호(1976년 7월 3일) = 113
3.3.7 농수산부 훈령 제364호(1976년 8월 3일) = 113
3.3.8 농수산부 훈령 제412호(1978년 5월 22일) = 113
3.3.9 농수산부 훈령 제427호(1978년 11월 23일) = 114
3.3.10 농수산부 훈령 제434호 = 114
3.3.11 농수산부 훈령 제440호(1979년 7월 1일) = 114
3.3.12 농수산부 훈령 제450호(1979년 12월 13일) = 114
3.3.13 농수산부 훈령 제459호(1980년 7월 11일) = 114
3.3.14 농수산부 훈령 제510호(1982년 2월 9일) = 115
3.3.15 사료검사제도 운용에 대한 결론 = 117
3.4 사료의 품질 및 가격의 변화 = 117
3.4.1 사료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인 분석 = 117
3.4.2 배합사료 가격의 변화 = 126
3.5 사료가격안정기금제도의 도입과 운영사 = 132
3.5.1 농협중앙회에 창설된 사료가격안정기금 = 132
3.5.2 사료가격안정기금의 축산진흥기금으로의 통합 = 139
3.6 중요 사료행정의 업적 = 142
3.6.1 사료가격안정제도와 배합사료 가격 자율화 = 142
3.6.2 배합사료 제조시설의 근대화 = 144
3.6.3 사료 품질 향상을 위한 사료관리법의 개정 = 145
3.6.4 기타 중요 업적 = 146
4. 사료 수급 대책의 변화 = 146
4.1 유통사료 수급의 변화 = 146
4.1.1 전체 사료 = 146
4.1.2 유통사료 = 148
4.1.3 배합사료 = 151
4.2 원료사료의 도입 = 154
4.2.1 사료 수입 업체(사료조절단체) = 154
4.2.2 사료 수입 실적과 재원 = 155
4.2.3 원료사료의 수입 품목과 수입국 = 160
4.2.4 수입 다변화 = 160
4.2.5 수입 가격의 변동 추세 = 161
4.2.6 사료 수입에 대한 관세제도 = 163
4.2.7 사료용 곡류 수입 공급체계 = 166
4.2.8 수입사료의 사후관리 요령 = 170
4.2.9 사료용 수입곡류 공급계약 = 170
4.3 강류사료 수급조절과 가격의 변화 = 172
4.3.1 정부관리 양곡부산물 = 173
4.3.2 민수도입 소맥 가공부산물 = 182
4.4 국내산 단미사료의 등록 현황과 생산 실적 = 190
4.4.1 단백질 단미사료의 현황 = 191
4.4.2 무기물 단미사료 현황 = 195
5. 최근의 동향 = 196
5.1 사료의 제조시설과 배합사료 생산 = 196
5.1.1 사료의 제조시설 = 196
5.1.2 배합사료의 생산 = 198
5.2 사료검사제도 = 199
5.2.1 사료검사제도의 개선 = 199
5.3 사료의 공정 규격 = 200
5.3.1 배합사료의 공정 규격 = 200
5.4 사료 수입 제도 = 201
5.4.1 사료 수입 업무의 기본 방향 = 201
5.4.2 수입사료의 사후관리제도 = 203
5.4.3 사료 원료에 대한 관세 = 203
5.5 사료의 안정기준가격 = 204
5.5.1 농수산부 고시 제83-25호(1983년 5월 31일) = 204
5.5.2 농수산부 고시 제83-41호(1983년 9월 29일) = 205
5.6 사료 원료 수입 가격 차액 납입금 = 205
6. 배합사료 산업의 전망 = 205
6.1 배합사료의 수요 전망 = 205
6.2 사료수급제도의 개선 = 206
6.2.1 개선 방향 = 206
6.2.2 개선 전망 = 207
6.3 사료검사제도의 개선 = 207
6.3.1 개선 방향 = 207
6.3.2 개선 전망 = 207
6.4 사료기술경영연구소 설치 및 사료회관의 건립 = 207
6.4.1 한국사료회관 = 207
제3장 교육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1. 영양사료분야 교육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개요 = 209
1.1 교육기관의 역사와 업적 총괄 = 209
1.2 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총괄 = 209
1.3 학회 및 연구회의 역사와 업적 = 210
2. 교육기관 = 211
2.1 강원대학교 = 211
2.2 고려대학교 = 213
2.3 건국대학교 = 216
2.4 성균관대학교 = 220
2.5 중앙대학교 = 222
2.6 서울대학교 = 225
2.7 상지대학 = 239
2.8 충북대학교 = 240
2.9 충남대학교 = 242
2.10 전북대학교 = 244
2.11 전남대학교 = 247
2.12 순천대학 = 248
2.13 경북대학교 = 249
2.14 영남대학교 = 252
2.15 동아대학교 = 255
2.16 경상대학교 = 257
2.17 제주대학교 = 264
2.18 신구실업전문대학 = 266
2.19 안성농업전문대학 = 266
2.20 예산농업전문대학 = 266
2.21 연암축산원예전문대학 = 268
2.22 진주농림전문대학 = 270
2.23 계명실업전문대학 = 271
3. 연구기관 = 272
3.1 축산시험장 = 272
3.2 국립종축장 = 294
3.3 가축위생연구소 = 298
3.4 한국과학기술원 = 301
3.5 한국축산과학연구소 = 303
3.6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사료검사소 = 305
3.7 한국사료정보센터 = 306
4. 학회 및 연구회 = 307
4.1 한국축산학회 = 307
4.2 한국낙농학회 = 335
4.3 한국초지연구회 = 336
4.4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 341
4.5 한국영양사료연구회 = 346
제4장 사료분야 단체의 역사와 업적
1. 사료분야 단체의 역사와 업적 개요 = 349
1.1 국내 사료분야 단체 = 349
2. 한국사료협회 = 351
2.1 주요 업적 = 351
2.1.1 설립 목적 = 351
2.1.2 주요 사업 = 351
2.1.3 회원 자격 = 351
2.1.4 조사 연구 및 기술 보급 = 352
2.1.5 주요 간행물 발간 실적 = 354
2.2 전ㆍ현직 임원 = 358
3. 한국단미사료협회 = 360
3.1 주요 업적 = 360
3.1.1 설립 경위와 목적 = 360
3.1.2 주요 목적 사업 = 360
3.1.3 공장 현황, 생산 및 수출 현황 = 360
3.1.4 주요 조사 연구 및 기술 보급(1979~1982년) = 362
3.2 전ㆍ현직 임ㆍ직원 = 363
4. 한국동물약품협회 = 364
4.1 주요 업적 = 365
4.2 전ㆍ현직 임원 = 367
5.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 368
5.1 주요 업적 및 사업 현황 = 369
5.1.1 사업의 특수성 = 369
5.1.2 배합사료 가공 사업 현황 = 369
5.1.3 배합사료 가공 사업과 축협중앙회의 역할 = 371
5.1.4 배합사료 원료 도입 업무 = 373
5.2 전ㆍ현직 임원 = 373
6. 미국사료곡물협회 한국지부 = 374
6.1 주요 업적 = 374
6.1.1 시찰단 파견 = 374
6.1.2 전문가 초청 = 375
6.1.3 세미나의 개최 및 지원 = 375
6.1.4 자료 출판 = 375
6.1.5 조사 연구 사업 지원 = 375
6.1.6 친선사절단 방한 = 375
6.2 역대 대표자 = 375
7. 미국대두협회 한국지사 = 376
7.1 주요 업적 = 376
7.2 역대 대표자 = 377
8. 미국동물유지협회 한국지부 = 377
8.1 주요 업적 = 377
8.1.1 사업의 목적 = 377
8.1.2 NRA 해외 사무실 = 377
8.1.3 동물 부산물의 용도 = 377
8.1.4 미국동물유지협회 극동 및 서울사무소의 주요 사업 내용 = 378
8.2 역대 대표자 = 378
제5장 배합사료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1. 배합사료 회사의 역사와 업적 개관 = 379
1.1 한국사료협회 소속 배합사료 제조업체 = 379
1.2 과거에 있다가 없어진 배합사료 제조업체 = 380
1.3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소속 사료 제조업체 = 380
2. 한국사료협회 소속 사료 제조업체 = 380
2.1 두산곡산주식회사 = 380
2.2 중앙축산사료주식회사 = 382
2.3 주식회사 천호통산 = 383
2.4 한일사료공업주식회사 = 384
2.5 흥성사료공업주식회사 = 385
2.6 건국배합사료공업주식회사 = 387
2.7 서울미원주식회사 배합사료공장 = 388
2.8 서부배합사료주식회사 = 390
2.9 금성물산사료주식회사 = 391
2.10 신촌사료주식회사 = 393
2.11 대한사료공업주식회사 = 394
2.12 부국사료주식회사 = 396
2.13 대주산업주식회사 = 397
2.14 서울사료주식회사 = 399
2.15 동방사료주식회사 = 400
2.16 주식회사 제일축산 = 402
2.17 경기사료공업주식회사 = 403
2.18 주식회사 원광산업 = 404
2.19 주식회사 삼창사료 = 405
2.20 천광산업주식회사 = 405
2.21 보거사료주식회사 = 406
2.22 주식회사 퓨리나코리아 = 407
2.23 대한제당주식회사 = 409
2.24 풍진화학공업주식회사 = 411
2.25 제일제당주식회사 = 412
2.26 선진사료주식회사 = 414
2.27 삼양유지사료주식회사 = 415
2.28 제일사료주식회사 = 416
2.29 우성실업주식회사 = 417
2.30 원선사료주식회사 = 419
2.31 삼화물산주식회사 = 420
2.32 주식회사 화성산업 = 420
2.33 은성산업주식회사 = 421
2.34 소생원사료공장주식회사 = 422
2.35 원국산업배합사료공장 = 423
2.36 무안서강배합사료공장 = 424
2.37 주식회사 삼양사 = 424
2.38 대양산업사 배합사료공장 = 425
2.39 남양산업주식회사 = 426
2.40 영흥물산주식회사 = 427
2.41 건양사료공사 = 428
2.42 주식회사 진양사료 = 429
2.43 경북축산주식회사 = 430
2.44 삼화양유사료공장 = 433
2.45 동서농산주식회사 = 434
2.46 주식회사 한성사료 = 436
2.47 영남제분주식회사(배합사료공장) = 437
2.48 대왕제분주식회사(배합사료공장) = 438
2.49 고려산업주식회사(배합사료공장) = 439
2.50 진흥사료공업주식회사 = 440
2.51 금성제분주식회사 사료공장 = 441
2.52 삼진사료공업사 = 445
2.53 제동흥산주식회사 = 446
2.54 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 = 447
2.55 현대사료주식회사 = 448
3. 과거 배합사료 제조업체 = 448
3.1 건림기업회사 = 448
3.2 경상사료공장 = 449
3.3 공성사료 = 449
3.4 금성배합사료공장 = 449
3.5 남방물산 = 449
3.6 대구사료주식회사 = 449
3.7 대덕배합사료기업사 = 449
3.8 대동사료회사 = 449
3.9 대성산업주식회사 = 449
3.10 대신사료주식회사 = 449
3.11 대영농산주식회사 = 450
3.12 대원사료상사 = 450
3.13 대창사료회사 = 450
3.14 동남농원주식회사 = 450
3.15 동립산업진흥주식회사 = 450
3.16 동방흥업주식회사 = 450
3.17 동아종합산업주회사 사료공장 = 450
3.18 동양사료주식회사 = 451
3.19 동양어업주식회사 = 451
3.20 명성사료공업주식회사 = 451
3.21 복지사료공장 = 451
3.22 부국사료공장 = 451
3.23 부민사료공업주식회사 = 451
3.24 부창사료공업사 = 451
3.25 삼강사료공장 = 451
3.26 삼성사료주식회사 = 452
3.27 삼양축산사료공사 = 452
3.28 삼양축산진흥주식회사 = 452
3.29 삼화곡산주식회사 = 452
3.30 삼흥축산기업주식회사 = 452
3.31 서원사료 = 452
3.32 서해농산주식회사 = 452
3.33 선일사료공업사 = 453
3.34 세원사료주식회사 = 453
3.35 소신종계원 = 453
3.36 신영사료공사 = 453
3.37 신한목장주식회사 = 453
3.38 신한제분주식회사 배합사료공장 = 453
3.39 신흥배합사료공사 = 453
3.40 주식회사 양돈가공센터 = 454
3.41 영보사료회사 = 454
3.42 영육농산주식회사 = 454
3.43 영화배합사료공장 = 454
3.44 유경사료공업사 = 454
3.45 인산농원주식회사 = 454
3.46 전남배합사료공장 = 454
3.47 제일산업주식회사 = 455
3.48 제일축산협동사료공업사 = 455
3.49 중앙농산주식회사 = 455
3.50 중앙사료공사 = 455
3.51 중앙사료주식회사 = 455
3.52 진명사료주식회사 = 455
3.53 천일곡산공업주식회사 = 455
3.54 충남사료공장 = 456
3.55 충북사료배합공업사 = 456
3.56 풍국사료공장 = 456
3.57 주식회사 풍양사료 = 456
3.58 한국사료공사 = 456
3.59 한국식품주식회사 = 456
3.60 한국축산개발주식회사 = 456
3.61 한국카아길주식회사 = 456
3.62 한도산업사 = 457
3.63 한일배합사료공장 = 457
3.64 한흥사료공업사 = 457
3.65 협성산업주식회사 = 457
3.66 화성사 배합사료공장 = 457
3.67 효성물산 사료공장 = 457
3.68 흥성사료공사 = 458
4.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소속 사료 제조업체 = 458
4.1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부산배합사료공장 = 458
4.2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인천배합사료공장 = 459
4.3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군산배합사료공장 = 460
4.4 부천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1
4.5 양주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2
4.6 수원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3
4.7 천안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5
4.8 흥성군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6
4.9 당진군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7
4.10 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8
4.11 안양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69
4.12 보령군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71
4.13 광주지구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71
4.14 서울특별시 축산업협동조합사료공장 = 473
제6장 단미사료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1. 단미사료 제조 산업의 중요성, 그 역사와 업적 = 475
1.1 단미사료의 중요성 = 475
1.2 단미사료 제조 산업체의 역사와 업적 = 475
2. 대두박 제조업체 = 476
2.1 동방유량 = 476
2.2 삼양유지사료주식회사 = 476
2.3 제일제당주식회사 = 476
3. 어분 제조업체 = 476
3.1 고려사료공업사(경양호) = 476
3.2 고려원양어업주식회사 = 477
3.3 고성어유비제조협업공장 = 477
3.4 금풍실업(주) 염곡새마을공장 = 477
3.5 남북수산 = 478
3.6 주식회사 남양기업 = 478
3.7 남양어분 = 478
3.8 남양사료공업사 = 478
3.9 남해개발상사 = 479
3.10 대림수산(대진호) = 479
3.11 대성사료공업사 = 479
3.12 대양사료공업사 = 479
3.13 대영물산 = 480
3.14 주식회사 대유사료 = 480
3.15 대일사료공업사 = 481
3.16 대한물산 = 482
3.17 대한어유비 = 482
3.18 대호원양실업주식회사 = 482
3.19 대화산업 = 482
3.20 대흥사료공업사 = 482
3.21 동남수산 = 483
3.22 동방원양개발 = 483
3.23 현대유지공업사 = 483
3.24 동산사료공업사 = 483
3.25 동성어분사료 = 484
3.26 동신사료공업사 = 484
3.27 동양물산 = 484
3.28 동우실업 = 485
3.29 동원산업주식회사 = 485
3.30 동일산업사 = 485
3.31 동창사료공업사 = 485
3.32 동화사료 = 485
3.33 동흥물산 = 487
3.34 미성사료공업사 = 487
3.35 보성실업 = 487
3.36 부산사료공업사 = 488
3.37 삼영물산 = 488
3.38 삼정사료공업사 = 489
3.39 삼척어유비 = 489
3.40 삼천포수산물가공주식회사 = 489
3.41 삼호물산주식회사 = 490
3.42 삼화사료공업사 = 490
3.43 삼흥사료공업사 = 490
3.44 서해산업 = 490
3.45 선진사료공업사 = 490
3.46 세명산업사 = 492
3.47 손가수산 = 492
3.48 신라교역 = 492
3.49 신일산업 = 492
3.50 영남사료공업사 = 492
3.51 주식회사 영해산업 = 492
3.52 오성사료주식회사 = 492
3.53 오양수산주식회사 = 493
3.54 우일물산사 = 493
3.55 원진물산 = 493
3.56 윤성사료공업사 = 494
3.57 이화유지공업주식회사 = 494
3.58 일광사료공업사 = 494
3.59 일성산업주식회사 = 494
3.60 전양물산 = 495
3.61 전일사료 = 495
3.62 제일사료공업사 = 495
3.63 종원사업 = 496
3.64 중앙산업사 = 496
3.65 진수환경개발주식회사 = 496
3.66 천일사료공업사 = 496
3.67 주식회사 충무산업 = 496
3.68 포산물산 = 497
3.69 풍성사료공업사 = 497
3.70 한국사료주식회사 = 498
3.71 한길상사 = 498
3.72 한성기업 = 498
3.73 한일어분공업사 = 498
3.74 협성사료공업사 = 498
3.75 흥창산업사 = 498
3.76 흥일사료공업사 = 499
4. 어즙흡착사료 제조업체 = 499
4.1 남양어분 = 499
4.2 남양사료공업사 = 499
4.3 대영물산 = 500
4.4 주식회사 대유사료 = 500
4.5 대일사료공업사 = 500
4.6 대화산업 = 500
4.7 동남수산 = 500
4.8 동일산업사 = 500
4.9 동창사료공업사 = 500
4.10 동흥물산 = 500
4.11 미성사료공업사 = 500
4.12 보성실업 = 500
4.13 삼척어유비 = 500
4.14 삼천포수산물가공주식회사 = 500
4.15 선진사료공업사 = 500
4.16 오성사료주식회사 = 500
4.17 이화유지공업주식회사 = 500
4.18 일성산업주식회사 = 500
4.19 중앙산업사 = 500
4.20 천일사료공업사 = 500
4.21 한길상사 = 500
4.22 협성사료공업사 = 500
4.23 흥창산업사 = 500
5. 육분 제조업체 = 501
5.1 금성사료공업사 = 501
5.2 동양안료공업사 = 501
5.3 동일산업주식회사 = 501
5.4 신원사료공업사 = 501
5.5 유원사료 = 502
5.6 한국젤라틴주식회사 = 502
6. 육골분 제조업체 = 502
6.1 동창사료공업사 = 502
6.2 일진화학공업사 = 502
6.3 제삼화학물산공업사 = 503
6.4 홍창산업사 = 503
7. 우모분 제조업체 = 503
7.1 삼원사료공업사 = 503
7.2 서울화공사 = 503
7.3 선진사료공업사 = 503
7.4 한성단미사료공업사 = 503
7.5 한일물산 = 503
7.6 협성사료공업사 = 503
7.7 홍창산업사 = 503
7.8 화진산업사 = 503
8. 해조분 제조업체 = 504
8.1 성림산업사 = 504
9. 골분 제조업체 = 504
9.1 유창산업사 = 504
9.2 일진화학공업사 = 504
9.3 한국골분 = 504
9.4 한불산업 = 504
9.5 협성사료공업사 = 504
9.6 홍창산업사 = 504
10. 인산 칼슘 제조업체 = 504
10.1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 504
10.2 이원화학 = 505
10.3 한국특수사료주식회사 = 506
11. 패분 제조업체 = 507
11.1 금계물산 = 507
11.2 금계패화석회사 = 507
11.3 남흥산업 = 507
11.4 대성화학 = 507
11.5 동원물산기업사 = 507
11.6 동원화공 = 507
11.7 삼우산업 = 507
11.8 삼지물산 = 507
11.9 중앙화학공업주식회사 = 508
11.10 한불산업 = 509
12. 광물질 제조업체 = 509
12.1 광석화학 = 509
12.2 금산석회 = 509
12.3 남성산업주식회사 = 509
12.4 주식회사 동양금속화학 = 509
12.5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 510
12.6 만악기업주식회사 = 510
12.7 삼주광업소 = 510
12.8 삼진산업 = 510
12.9 중앙분체 = 510
12.10 창신화학 = 510
12.11 청주석회광업사 = 510
12.12 치악산업 = 511
12.13 한국미네사료 = 511
12.14 한국필라화학주식회사 = 511
12.15 한흥실업주식회사 = 511
3. 향미제 제조업체 = 511
13.1 아세아향미 = 511
13.2 한국사료향미양행 = 512
제7장 동물약품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1. 동물약품의 중요성 및 그 역사와 업적 = 513
1.1 사료산업에서 동물약품의 중요성 = 513
1.2 동물약품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개요 = 514
1.3 동물약품 제조업체 개요 = 516
1.4 동물약품 판매업체와 오퍼상 개요 = 516
2. 동물약품 제조업체 = 516
2.1 과학사료공사 = 516
2.2 과학축산 = 518
2.3 녹십자수의약품주식회사 = 519
2.4 다나화학 = 521
2.5 주식회사 대성미생물연구소 = 522
2.6 대양동물약품공업사 = 524
2.7 대한신약공업주식회사 = 525
2.8 동명산업주식회사 = 525
2.9 주식회사 동방 = 526
2.10 두산곡산주식회사 = 526
2.11 서울미원주식회사 = 526
2.12 삼성신약사 = 526
2.13 삼양약화학주식회사 = 529
2.14 삼우화학공업주식회사 = 529
2.15 성원화학 = 530
2.16 신일화학 = 532
2.17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 533
2.18 주식회사 우성양행 = 533
2.19 유니화학주식회사 = 533
2.20 주식회사 유한양행 = 535
2.21 주식회사 유한코락스 = 535
2.22 이글케미칼공업사 = 536
2.23 이화약품주식회사 = 537
2.24 제일사료주식회사 = 539
2.25 제일화학공업사 = 539
2.26 주식회사 종근당 = 540
2.27 중앙가축전염병연구소 = 540
2.28 주식회사 중앙케미칼 = 541
2.29 코린화학주식회사 = 542
2.30 태우동물약품주식회사 = 543
2.31 주식회사 퓨리나코리아 = 543
2.32 주식회사 한국고킹 = 543
2.33 한국동물약품주식회사 = 544
2.34 주식회사 한국미생물연구소 = 546
2.35 한국바이엘화학주식회사 = 547
2.36 한국비료공업주식회사 = 548
2.37 한국화이자주식회사 = 548
2.38 한두교역 = 549
2.39 한봉동물약품공사 = 550
2.40 한양수의약품공업사 = 551
2.41 한풍산업주식회사 = 551
2.42 합동약품화학주식회사 = 553
2.43 현대약품공업주식회사 = 553
3. 동물약품 판매업체 = 553
3.1 대한동물약품공사 = 553
3.2 덕수가축약품상사 = 553
3.3 서울화학 = 553
3.4 주식회사 위림상사 = 553
3.5 한국백신주식회사 = 553
3.6 한일양행 = 554
4. 동물약품 오퍼업체 = 554
4.1 덕양물산주식회사 = 554
4.2 동서교역 = 554
4.3 롱프랑 코리아 = 554
4.4 마성상사 = 554
4.5 마야무역상사 = 554
4.6 오남무역상사 = 554
4.7 오진양행 = 554
4.8 유니온교역상사 = 554
4.9 아성인터내쇼날 = 555
4.10 장천상사 = 555
4.11 정우상사 = 555
4.12 조일상사 = 555
4.13 주식회사 태경 = 555
제8장 조사료산업 발전사
1. 조사료산업의 발전과정 개요 = 557
1.1 초지농업의 역사 = 557
2. 조사료산업의 중요성 = 560
2.1 반추가축의 소화생리 = 560
2.2 조사료의 기능 = 560
2.3 토양보전의 기능 = 561
2.4 수자원 보호 = 561
3. 조사료 행정기구 및 법규의 변천과정 = 561
3.1 조사료 행정 및 주요사항 = 561
3.2 초지법의 제정과 개정의 변천과정 = 563
4. 초지 조성 실적과 정부의 지원책 = 564
5. 목초 및 사료 작물 재배(답리작) 발전과정 = 567
6. 목초 및 사료 작물 종자 판매업체 = 569
6.1 목초종자의 국내 생산 = 569
6.2 목초 및 사료 작물 종자의 수급 = 570
6.3 목초 및 사료 작물 종자의 판매업체 = 571
7. 초지분야 교육연구기관 = 571
7.1 대학교 = 571
7.2 연구기관 = 571
8. 산야초의 이용 = 571
8.1 제1차 전국 초자원 조사 = 571
8.2 제2차 전국 초자원 조사 = 573
8.3 제3차 초자원 조사 = 575
주요 인명 색인 = 577
편집 후기 = 587
한국영양사료산업60년사 편찬위원회 위원 명단 = 589
[volume. vol.하]----------
목차
발간사 = ⅲ
축사 = ⅴ
제1장 성장발전기 사료산업의 발전 및 변천사
1. 사료산업의 발전 및 변천사 개요 = 1
1.1 축산업의 발전 = 1
1.2 사료산업의 발전 = 1
1.3 배합사료 가격의 변동추세 = 1
1.4 WTO 체제의 출범과 수입사료의 양허관세 추천제도의 도입 = 1
2. 축산업의 발전 = 2
2.1 주요 가축 사육 및 사육 규모의 변화 = 2
2.2 축산물의 수급 = 5
3. 사료산업의 발전 = 7
3.1 사료산업의 발전 = 7
3.2 사료 수급의 변화 = 9
3.3 원료사료 사용의 변화 = 10
3.4 배합사료의 종류별 생산량 및 구성비의 변화 = 10
4. 배합사료 생산량 = 13
4.1 축종별 배합사료 생산량 = 13
4.2 지역별ㆍ연도별 배합사료 생산량 = 20
4.3 계절별(월별) 생산량 = 21
4.4 대용유 생산 = 21
4.5 소속별 배합사료의 제조 감량 비교 = 23
5. 원료사료 사용량의 변화 = 24
5.1 국산 및 수입 원료사료 사용 실적 = 24
5.2 곡류 사료 = 25
5.3 강피류 사료 = 27
5.4 식물성 박류 사료 = 28
5.5 동물성 단백질사료 = 30
5.6 무기물(국산)사료 = 32
5.7 기타 사료 = 33
6. 원료사료 및 배합사료 수입 실적 = 35
6.1 전체 원료사료 수입 실적 = 35
6.2 곡류 사료의 수입 실적 = 36
6.3 식용유용 대두 및 식물성 박류 사료의 수입 실적 = 37
6.4 동물성 단백질사료 및 기타 원료사료의 수입 실적 = 38
6.5 배합사료의 연도별ㆍ종류별 수입 실적 = 38
6.6 원료사료 및 배합사료 수입선의 다변화 = 39
7. 배합사료 가격의 변동추세 = 41
8. WTO 체제의 출범과 수입사료의 양허관세 추천제도의 도입 = 41
8.1 WTO 체제의 출범 = 41
8.2 수입사료의 양허관세 추천제도 = 42
8.3 사료용 원료의 할당 관세제도의 운영 = 50
8.4 WTO 체제 출범에 따른 사료산업의 세계화에 대비한 사료관리법령 정비 = 53
9. 기타 관련 자료 = 54
9.1 수입곡물 수송차량의 신고 및 관리에 관한 요령 = 54
9.2 하역용 곡물 사일로 현황 = 55
9.3 배합사료 제조업체의 소속별 가동율 현황 = 56
제2장 사료 관련 법령과 규정의 변천사
1. 사료관리법과 관련 규정의 변천사 개요 = 59
1.1 사료관리법의 개정사 = 59
1.2 사료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의 개정사 = 59
1.3 사료관리법 시행규칙(농림부령)의 개정사 = 59
1.4 사료 관계 여러 가지 규정의 제정과 개정 내용 = 60
2. 역대 사료행정 담당 국ㆍ과장 = 60
2.1 역대 축산국장과 사료과장(사료관련 업무 담당 과장) 명단 = 60
2.2 사료관리법 = 60
2.3 사료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 개정사 = 82
2.4 사료관리법 시행규칙(농림부령)의 개정사 = 88
2.5 사료 관계 여러 가지 규정의 제정 및 개정사 = 122
제3장 교육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1. 영양사료 분야 교육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개요 = 255
1.1 교육기관의 역사와 업적 총괄 = 255
1.2 연구기관의 역사와 업적 총괄 = 256
1.3 학회 및 연구회의 역사와 업적 총괄 = 256
2. 교육기관 = 257
2.1 강원대학교 = 257
2.2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259
2.3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263
2.4 경북대학교 = 264
2.5 경상대학교 = 265
2.6 고려대학교 = 268
2.7 공주대학교 = 269
2.8 단국대학교 = 270
2.9 대구대학교 = 271
2.10 동아대학교 = 272
2.11 삼육대학교 = 272
2.12 상지대학교 = 273
2.13 서울대학교 = 274
2.14 성균관대학교 = 277
2.15 순천대학교 = 278
2.16 영남대학교 = 279
2.17 우석대학교 = 280
2.18 전남대학교 = 281
2.19 전북대학교 = 282
2.20 제주대학교 = 283
2.21 중부대학교 = 284
2.22 중앙대학교 = 285
2.23 진주산업대학교 = 287
2.24 충남대학교 = 288
2.25 충북대학교 = 290
2.26 한경대학교 = 292
2.2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93
2.28 신구대학 = 294
2.29 천안연암대학 = 294
3. 연구기관 = 296
3.1 축산과학원 = 296
3.2 농협중앙회 축산사료연구소 = 317
3.3 한국사료협회 사료기술연구소 = 319
3.4 한국사료협회 소속 회원사 연구소 = 322
3.5 한국 단미사료 분야 연구소 = 323
4. 학회 및 연구회 = 324
4.1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324
4.2 한국축산학회 = 337
4.3 한국낙농학회 = 359
4.4 한국영양사료학회 = 365
4.5 한국초지학회 = 388
4.6 한국가금학회 = 394
4.7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 410
제4장 한국사료협회 및 그 회원사의 업적과 역사
1. 한국사료협회와 그 회원사의 업적과 역사 개요 = 501
1.1 한국사료협회의 설립과 기능 = 501
1.2 한국사료협회 소속 회원사의 배합사료 생산량 = 501
1.3 한국사료협회 소속 배합사료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 501
1.4 한국사료협회 소속 회원사의 25년간 누적 배합사료 생산량 = 501
2. 한국사료협회의 주요 업적과 발전사 = 502
2.1 주요 업적 = 502
2.2 한국사료협회 전ㆍ현직 임원 = 510
3. 한국사료협회 소속 배합사료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 512
3.1 회원사 = 512
3.2 비회원사 = 514
3.3 한국사료협회 소속 회원사 변동사항(인수ㆍ합병 등) = 515
3.4 한국사료협회 소속 회원사의 25년간 누적 배합사료 생산량 = 516
3.5 한국사료협회 소속 배합사료 제조업체의 업적과 역사 = 516
3.5.1 고려산업(주) 해표사료 = 520
3.5.2 주식회사 나람 = 521
3.5.3 남양산업주식회사 = 522
3.5.4 대한제당주식회사(무지개사료) = 523
3.5.5 주식회사 도드람비엔에프 = 524
3.5.6 부국사료주식회사 = 525
3.5.7 주식회사 선진 = 526
3.5.8 주식회사 선진사료 = 528
3.5.9 주식회사 에스씨에프 = 529
3.5.10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 531
3.5.11 카길코리아주식회사 = 532
3.5.12 주식회사 에이티생명과학 = 533
3.5.13 (주)우성사료 = 534
3.5.14 (재)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 사료공장 = 537
3.5.15 제일곡산주식회사 = 537
3.5.16 제일사료주식회사 = 539
3.5.17 중앙축산사료주식회사 = 543
3.5.18 주식회사 천하제일 = 544
3.5.19 탐라사료 = 545
3.5.20 태산사료주식회사 = 547
3.5.21 파레스 바이오 피드 주식회사 = 547
3.5.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드림 = 548
3.5.23 현대사료주식회사 = 549
3.5.24 화성사료주식회사 = 550
3.5.25 흥성사료공업주식회사 = 551
3.5.26 대상팜스코주식회사 = 552
3.5.27 대주산업주식회사 = 553
3.5.28 주식회사 도드람비티 = 555
3.5.29 주식회사 두산 = 556
3.5.30 (주)삼양사 사료BU = 557
3.5.31 서부배합사료주식회사 = 559
3.5.32 영남제분주식회사 = 559
3.5.33 CJ제일제당주식회사 = 561
3.5.34 에스와이주식회사 = 562
3.5.35 주식회사 케이씨피드 = 564
3.5.36 (주)코스프 = 565
3.5.37 한일사료주식회사 = 566
3.5.38 수퍼피드주식회사 = 568
3.5.39 주식회사 한국축산의희망서울사료 = 568
3.5.40 대한사료공업주식회사 = 570
제5장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사료공장 및 그 회원조합 사료공장의 업적과 역사
1. 농협사료의 업적과 역사 개요 = 573
1.1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사료사업 발전사 = 573
2. 농협사료(회원조합 포함)의 성장 발달사 = 574
2.1 배합사료공장 및 배합사료 생산 실적 = 574
2.2 원료사료 구매 및 수급 조절의 변천사 = 574
2.3 사료의 검사 및 품질관리의 변천 = 574
3.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농협사료 임ㆍ직원 현황 = 574
4. 농협사료 소속 배합사료공장의 주요 업적과 역사 = 575
5.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사료사업 발전사 = 575
5.1 농협사료의 역사와 주요 업적 = 575
6. 주식회사 농협사료의 성장 발달사 = 582
6.1 배합사료 가공사업 발전사 = 582
6.2 사료 원료 구매 및 수급 조절의 변천사 = 585
6.3 사료의 검사 및 품질관리의 변천 = 592
7.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농협사료 임ㆍ직원 현황 = 595
7.1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임ㆍ직원 = 596
7.2 (주)농협사료 임ㆍ직원 = 596
8. 농협 소속 배합사료공장의 주요 업적과 역사 = 598
8.1 농협사료의 연도별ㆍ종류별 생산 실적 = 598
8.2 농협 소속 배합사료공장의 원료 사용 실적 = 599
8.3 농협사료의 연도별ㆍ사료공장별 배합사료 생산 실적 = 600
8.4 농협 소속 배합사료공장의 주요 업적과 역사 = 601
8.4.1 (주)농협사료 청주배합사료공장 = 601
8.4.2 (주)농협사료 횡성배합사료공장 = 603
8.4.3 (주)농협사료 김제배합사료공장 = 604
8.4.4 (주)농협사료 나주배합사료공장 = 605
8.4.5 (주)농협사료 안동배합사료공장 = 606
8.4.6 (주)농협사료 울산배합사료공장 = 607
8.4.7 (주)농협사료 함안배합사료공장 = 608
8.4.8 (주)농협사료 부산바이오 = 609
8.4.9 서울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0
8.4.10 부천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1
8.4.11 양주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2
8.4.12 안양축산농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3
8.4.13 축산농협 안산연합사료공장 = 615
8.4.14 천안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6
8.4.15 홍성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7
8.4.16 보령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8
8.4.17 당진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19
8.4.18 광주축산농업협동조합 목포배합사료공장 = 620
8.4.19 대구축산농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20
8.4.20 김해축산업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22
8.4.21 부경양돈협동조합 배합사료공장 = 623
제6장 단미ㆍ보조사료 제조산업의 역사
1. 단미ㆍ보조사료 제조산업의 중요성과 역사 = 625
1.1 단미ㆍ보조사료의 중요성 = 625
1.2 단미사료 제조산업의 역사 = 625
1.3 보조사료 제조산업의 역사 = 628
2. 한국단미사료협회의 주요 업적과 역사 = 633
2.1 개요 = 633
2.2 설립 목적 = 634
2.3 사업 개황 = 634
2.4 연혁 = 634
2.5 연도별 주요 사업 내용 = 634
2.6 한국단미사료협회 전ㆍ현직 임ㆍ직원 = 639
3. 단미ㆍ보조사료 제조업체의 업적과 역사 = 642
3.1 어분 제조업체 = 642
3.2 어즙흡착 제조업체 = 653
3.3 육분 제조업체 = 653
3.4 육골분 제조업체 = 660
3.5 우모분 제조업체 = 661
3.6 골분 제조업체 = 663
3.7 인산칼슘 제조업체 = 664
3.8 광물질 제조업체 = 665
3.9 수입곡물의 가공부산물(강피류) 제조업체 = 671
3.10 대두박 제조업체 = 672
3.11 식물성 박류(단백질) 제조업체 = 672
3.12 조류(藻類) 제조업체 = 672
3.13 섬유질가공사료 제조업체 = 673
3.14 발효사료 제조업체 = 675
3.15 당밀 제조업체 = 676
3.16 제빵ㆍ제과ㆍ제면부산물 제조업체 = 676
3.17 조미료부산물 제조업체 = 677
3.18 두류가공부산물 제조업체 = 677
3.19 기타 식품가공부산물 제조업체 = 677
3.20 전분 제조업체 = 677
3.21 도축 및 가금도축 부산물 제조업체 = 678
3.22 혈분 제조업체 = 678
3.23 동물성 단백질혼합사료 제조업체 = 678
3.24 기타 동물성 단백질사료 제조업체 = 679
3.25 단세포단백질사료(불활성효모, 불활성박레리아) 제조업체 = 679
3.26 동물성유지 제조업체 = 679
3.27 혼합성 유지 제조업체 = 680
3.28 식물성유지 제조업체 = 681
3.29 불해성 지방 및 분말유지류 제조업체 = 681
3.30 패분 제조업체 = 682
3.31 남은음식물사료 제조업체 = 682
3.32 식염류 제조업체 = 684
4. 보조사료 제조업체 현황 = 684
4.1 결착제 제조업체 = 684
4.2 유화제 제조업체 = 684
4.3 산미제 제조업체 = 685
4.4 항응고제 제조업체 = 685
4.5 항산화제 제조업체 = 686
4.6 항곰팡이제 제조업체 = 686
4.7 향미제 제조업체 = 686
4.8 비단백태질소화합물 제조업체 = 687
4.9 규산염제 제조업체 = 687
4.10 완충제 제조업체 = 688
4.11 착색제 제조업체 = 688
4.12 추출제 제조업체 = 689
4.13 올리고당 제조업체 = 690
4.14 아미노산제 제조업체 = 691
4.15 비타민제 제조업체 = 691
4.16 효소제 제조업체 = 692
4.17 생균제 제조업체 = 693
4.18 혼합제 제조업체 = 697
5. 반추동물용 섬유질배합사료 = 698
5.1 반추동물용 섬유질배합사료 제조업체 = 698
제7장 한국동물약품협회 및 그 제조업체의 역사
1. 한국동물약품협회 및 그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개요 = 701
1.1 한국동물약품협회의 업적과 역사 개요 = 701
1.2 동물약품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 701
2. 한국동물약품협회의 주요 업적과 발전사 = 702
2.1 한국동물약품협회의 설립 및 발전사 요약 = 702
2.2 설립 목적, 회원 자격 및 주요 사업 등 = 702
2.3 주요 업적 = 706
2.4 전ㆍ현직 임ㆍ직원 = 754
3. 우리나라 동물약품 제조업체의 역사와 업적 = 756
제8장 21세기 한국 사료산업의 전망
1. 한국 사료산업의 현황과 전망 개요 = 767
1.1 단미ㆍ보조사료 생산의 현황과 전망 = 767
1.2 국내 배합사료산업의 현황과 전망 = 767
1.3 우리나라 사료산업의 해외 진출 현황과 전망 = 768
2. 한국 단미사료 및 보조사료의 현황과 전망 = 768
3. 단미사료의 주요 품목별 전망 = 770
3.1 어분 및 어즙흡착사료 = 770
3.2 육분 및 육골분 = 771
3.3 유지류 = 772
3.4 가금도축부산물 = 772
3.5 혈분 = 772
3.6 인산칼슘 = 772
3.7 광물질 = 773
4. 보조사료의 주요 품목별 전망 = 773
4.1 향미제 = 773
4.2 추출제 = 774
4.3 규산염제 = 774
4.4 생균제 = 774
5. 섬유질사료(TMR)의 품목별 전망 = 774
6. 한국 배합사료산업의 현황과 전망 = 778
6.1 배합사료산업의 현황 = 779
6.2 세계 사료 곡물 시장과 국내 수입 현황 = 788
6.3 배합사료산업의 과제와 전망 = 798
7. 우리나라 사료산업의 해외 진출 현황과 전망 = 805
7.1 배합사료 생산업체의 해외 진출 개요 = 805
7.2 해외 진출 사료 제조업체의 현황 = 809
7.3 해외 진출 사료산업의 전망 = 823
제9장 사료산업 발전 60년 회고담
1. 펠릿트 사료의 원조 / 이경산 = 825
2. 영양사료산업 60년사 - 회고담 / 백인기 = 827
3. 어분업계의 60년을 돌아보며 / 김군선 = 829
4. 사료산업 60년 회고 / 유동준 = 832
5. 한국영양사료산업 발전 초기의 회고담 / 한인규 = 837
6. 한국영양사료산업 발전의 발자취 / 곽종형 = 840
7. 한국영양사료 60년사에 남기고 싶은 일들 / 박근식 = 842
8. 사료산업의 발전 과정을 뒤돌아보며 / 오재정 = 846
9. 나의 회고담 / 맹원재 = 849
10. 한국영양사료산업 60년사 회고담 / 김기용 = 851
11. 나의 회고담 / 조홍래 / = 852
주요 인명 색인 = 859
편집 후기 = 877
한국영양사료산업60년사 편찬위원회 위원 명단 =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