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감 (4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성희, 1957-
서명 / 저자사항
공감 / 박성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이너북스,   2009  
형태사항
207 p. : 삽화 ; 20 cm
ISBN
9788992654098
000 00556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491292
005 20120910203836
007 ta
008 081210s2009 ulka 000c kor
020 ▼a 9788992654098 ▼g 0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2.41 ▼2 22
085 ▼a 152.41 ▼2 DDCK
090 ▼a 152.41 ▼b 2009
100 1 ▼a 박성희, ▼d 1957- ▼0 AUTH(211009)143652
245 1 0 ▼a 공감 / ▼d 박성희 지음
246 1 1 ▼a Sympathy
260 ▼a 서울 : ▼b 이너북스, ▼c 2009
300 ▼a 207 p. : ▼b 삽화 ; ▼c 20 cm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11518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410739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512704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11518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410739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9 등록번호 1512704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감을 전문적으로 다루면서도 동화처럼 재미있는 이야기로 펼친다. 공감은 어떻게 생겨나는지, 어떤 식으로 표현되며 활용되는지,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공감을 전달하려면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우리에게 익숙한 고전 및 우화, 예화를 통해 부드럽게 풀어간다.

사람들 사이에 깊은 이해와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공감
사람들과 공감을 통해 그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관계 속에서 태어나서 관계를 즐기다가 떠나는 것이 인생이라고 할 때, 이 관계를 윤택하고 풍부하게 해 주는 공감의 중요성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사람살이에 공감이 이렇게 중요한 것일진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공감의 기능과 역할을 잘 알고 실생활에 이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등잔 밑이 어둡다고, 살다 보면 가장 가까운 곳이 가장 홀대를 받기도 한다. 공감에 파장이 있다면 이 파장은 가까운 가족으로부터 친족, 이웃, 사회, 인류로 퍼져 가는 모습이 자연스럽다.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소홀히 대한다. 인류의 고통은 공감 하겠는데 아버지의 아픔은 공감하기 어렵고, TV 드라마 속 불륜은 공감되는 데 내 남편의 바람은 도저히 공감되지 않고, 청담자의 갈등은 공감이 잘 되는데 내 자식의 불평은 받아들이기 껄끄럽다. ‘가깝다’는 것과 공감이 본질적으로 함께 할 수 없는 것이 아닌데도 참 이상하다.
일반 대중을 위한 상담지식을 풀어놓아 10년 가까이 스테디셀러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책『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의 저자이기도 한 청주교대 박성희 교수는 공감을 보다 전문적으로 다루면서도 깊이 있는 내용을 동화처럼 재미있는 이야기로 펼쳐 보자는 소망을 담아 이 책, 『공감』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공감은 어떻게 생겨나는지, 어떤 식으로 표현되며 활용되는지,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공감을 전달하려면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에 대해 우리에게 익숙한 고전 및 우화, 예화를 통해 부드럽게 풀어간다. 적시적소에 소개하여 이해를 돕는 이야기들의 재미 또한 쏠쏠하다.
이 책을 통해 공감에 대해 이해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면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 부드럽고 우호적인 분위기가 넘치는 대화를 하게 될 것이다.

* 상세보기
바람직한 관계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공감이 있다. ‘나’와 ‘너’가 감응하여 공명하게 만들고 ‘하나’라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서로 성장할 수 있게 이끌어 가는 힘이 공감에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공감이 있어서 우리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공감이 있어서 우리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공감이 있어서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즐기며, 공감이 있어서 우리는 더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다.

공감은 어떻게 생기나?
최근 사람의 뇌를 연구하는 뇌신경생리학자들은 사람의 뇌에 공감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신경세포와 신경체제가 들어 있음을 발견했다. 소위 거울뉴런과 거울뉴런체계다. 이 신경세포는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관찰하고 느낄 뿐 아니라, 마치 거울처럼 다른 사람에게 비슷한 일이 일어날 때도 재빨리 알아채고 반응하는 능력을 가졌다. 다른 사람과 같은 느낌, 같은 생각,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감의 생리적 근거인 셈이다. 전혀 다른 두 사람이 짧은 만남 속에서도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일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공감을 잘 알고 적절하게 활용하면 대인관계에서 겪는 갈등과 충돌을 해소하고 조화로운 어울림 속에 행복하게 살아가는 일이 마냥 쉽고 재미있어 질 것이다.

공감은 어떻게 나타나나?
공감은 상대방을 거울처럼 비추어 준다. 공감을 담당하는 신경세포를 거울 신경세포라고 부르는 이유에서도 거울처럼 비추는 공감의 역할이 잘 드러난다. 그렇다면 공감의 거울 기능은 어떻게 나타날까.
첫째, 동작으로 나타난다. 사이가 좋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동작을 모방하거나 동작이 일치되는 현상이 자주 발견된다. 스포츠 경기를 관전할 때도 이런 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상황이 긴박할수록 동작 따라 하기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또 우리는 거꾸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우리를 따라 행동하게 하는 공감 능력을 갖고 있다.
둘째, 느낌으로 나타난다. 웃고 있는 사람을 보면 우리 안에서도 웃음이 피어나고, 슬퍼하는 사람을 보면 함께 슬퍼지며, 공포에 질린 사람을 보면 불편하고 언짢은 마음이 생기는 게 보통이다. 이렇게 우리의 감정은 다른 이의 감정 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 현상을 정서공명 혹은 정서감염이라고도 한다.
셋째, 이해로 나타난다. 공감은 함께 느낀다는 말이다. 하지만 공감에는 느낌 이외에 이해라는 기능이 들어 있다. 사람의 내면에서 전개되는 생각이나 심리과정을 공감하려 할 때 이해하는 지적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얼마나 정확하게 상대방을 이해하느냐에 따라 공감의 정확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공감의 오류, 다시 말해 상대방을 잘못 공감하거나 공감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생기는 것은 바로 상대방을 이해하는 지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그렇다. 따라서 공감을 잘 하려면 상대방의 심리과정을 잘 따라갈 수 있는 지적 기능을 꼭 갖추어야 한다. 공감적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 잘 듣는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상대방이 사용하는 낱말에 대한 이해, 다른 하나는 상대방이 전개하는 논리에 대한 이해가 있다.
넷째, 공감은 결국 행동으로 나타난다. 아니 공감은 행동으로 완성된다고 말하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만일 어떤 아버지가 어린 자식이 물에 빠진 광경을 보고 마냥 아이의 느낌에 공감하면서 계속 통곡만 하고 있다면 어떻겠는가? 이는 위기에 처한 아들의 필요에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행동이다. 공감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함께 느끼면서 결국 상대방에게 도움을 주는 행동으로 완성된다. 때로는 함께 느끼고 이해하는 것 자체가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대개 공감은 행동으로 이어진다.
실제 이 네 가지는 한꺼번에 또는 아주 가깝게 이어져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생리적 반응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지만, 공감에서 느낌, 이해, 행동은 복잡하게 얽혀서 작용한다. 공감의 과정 마지막에 공감하는 사람과 공감을 받는 사람이 느낌으로 하나 되는 정서적 공명이 일어난다는 점은 확실하다. 다만, 여기에 도달하기까지 세 요소들의 선후관계 또는 상호작용 양상은 한마디로 잘라 말하기 어렵다.

사람들은 공감을 어떻게 활용했나?
잘 살펴보면 공감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늘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관계를 조금만 파고들어 가면 거기에 공감이 있다. 대화를 하다가 상대방이 적절한 낱말을 생각해 내지 못해 더듬을 때 대신해서 얼른 낱말을 말해 준다거나, 상대방이 끝내지 못한 대화의 뒷부분을 대신 말해 준다거나, 상대방의 말에 장단을 맞추며 대화의 맛을 이어 간다거나, 어떤 자극에 두 사람이 동시에 같은 심상을 떠올린다거나, 상대방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유사한 몸짓을 하는 행동들은 모두 공감을 활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렇게 공감을 잘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을 ‘공감적 반응을 보이는 자연 현상,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공감, 예술과 문학작품에서 활용하는 공감, 고전에서 찾아보는 공감, 상담에서 활용하는 공감’으로 나누어 우리에게 익숙한 동화 및 우화 등을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다.
상담자들에게 상담을 효과적으로 이끄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 한 가지만 말하라고 하면 대부분 공감이라고 대답한다고 한다. 그만큼 공감은 상담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담자들은 공감을 통해 청담자의 내면세계를 깊이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청담자를 도울 수 있는 촉진적인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관계의 밑바탕 위에서 청담자는 자유롭게 자신을 탐색하고 문제해결과 성장을 향한 발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
상담자들이 공감하기 위해 행하는 행동은 의외로 간단하다. 제3의 귀를 가지고 열심히 들어 주는 일, 그리고 들은 바를 거울처럼 반영해 주는 일이 거의 대부분이다. 그러니까 청담자의 느낌과 생각, 특히 느낌을 잘 듣고 잘 비추어 주는 일이 공감의 중심이 된다.

공감 능력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나?
공감은 하나의 능력이다. 이 능력은 어떻게 하면 향상시킬 수 있을까?
저자는 응시명상, 걷기 동작 관찰 등을 활용한 마음 비우기, 자연과 하나 되기, 자기와 공감하기, 상상으로 공감하기, 비디오로 공감 연습하기, 핵심 용어와 낱말 이해하기, 고유 논리 이해하기, 근본욕구와 성장 동기 찾기, 습관 언어 활용하기, 감각 언어 통로 활용하기 등을 든다.

공감을 잘 전달하려면 어떻게 말해야 하나?
공감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된다. 말로 표현하는 공감은 그중에서도 아주 중요하다. 말이 즉각적인 소통 수단으로서 사람의 속내를 잘 드러내 주기 때문일 것이다. 하기야 아무리 내가 상대방의 말에 공감을 해도 이를 말로 표현하지 않는 한 상대방은 내 마음을 제대로 알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감을 잘하는 사람은 그 표현에도 능숙할 필요가 있다.
대화가 중심이 되는 상담에서도 청담자의 말을 잘 듣는 일 못지않게 공감한 바를 표현하는 일은 역시 중요하다. 상담학자들, 특히 미국의 상담학자들은 공감적 표현을 ‘~하니까(해서), ~하구나(군요)’라는 형식으로 정리해 놓았다. 그러니까 뒤의 ‘~’에는 상대방이 가졌을 법한 느낌, 감정, 동기, 행동을 말하고, 앞의 ‘~’에는 그렇게 하는 이유와 근거를 들며 말하는 것이다. 이를 테면, ‘너 아까 엄마가 야단을 쳐서, 화가 많이 났구나.’‘선생님 뜻대로 정치가 돌아가지 않아서, 속이 많이 상하셨군요.’와 같은 식이다. 이렇게 공감적 표현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뒷부분, 즉 상대방의 느낌, 감정, 동기, 행동을 언급하는 부분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걸 잘 해야 공감적 표현을 잘 한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공감적 표현의 뒷부분은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상대방의 말속에 표현된 느낌, 감정, 동기, 행동을 있는 그대로 잘 드러내 주는 말이고, 다른 하나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속에 감춰져 있는 소망과 바람, 성장 동기 등을 들추어내는 말이다. 앞의 것을 기본수준의 공감이라고 한다면 뒤의 것은 심화수준의 공감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심화수준의 공감이 기본수준의 공감보다 나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해다. 이 두 가지는 대화 상황에 따라서 달리 적용되어야 할 대화 유형일 따름이다.
처음에는 억지로라도 이 틀에 맞춰 연습해 보다보면, 아마도 차츰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 부드럽고 우호적인 분위기가 넘치는 대화를 하게 될 것이다. 단, 이런 표현의 이면에는 항상 공감하는 일이 먼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겠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성희(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석사, 박사)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상담실 책임연구원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상담학과 객원교수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상담학과(ECPS) 객원교수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교수 *저서 공감(이너북스, 2009) 현명한 아버지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가야북스, 2008) 마시멜로 이야기에 열광하는 불행한 영혼들을 위하여(이너북스, 2008) 한국 문화와 상담(공저, 학지사, 2008) 고전에서 상담 지식 추출하기(학지사, 2008) 황희처럼 듣고 서희처럼 말하라(이너북스, 2007)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학지사, 2007)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PART 01 공감은 어떻게 생기나? = 6
PART 02 공감은 어떻게 나타나나? = 16
 동작으로 나타난다 = 18
 느낌으로 나타난다 = 24
 이해로 나타난다 = 37
 행동으로 나타난다 = 54
PART 03 사람들은 공감을 어떻게 활용했나? = 60
 공감적 반응을 보이는 자연 현상 = 62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공감 = 70
 예술과 문학작품에서 활용하는 공감 = 76
 고전에서 찾아보는 공감 = 81
 상담에서 활용하는 공감 = 116
PART 04 공감 능력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나? = 130
 마음 비우기 = 132
  01 응시명상
  02 걷기 동작 관찰
 자연과 하나 되기 = 136
  01 나무와 하나 되기
  02 흐르는 시냇물과 하나 되기
  03 손목시계와 하나 되기
 자기와 공감하기 = 142
 상상으로 공감하기 = 147
 비디오로 공감 연습하기 = 151
  01 감정 맞히기
  02 교류한 내용 맞히기
  03 교류한 감정 맞히기
 핵심 용어와 낱말 이해하기 = 157
 고유 논리 이해하기 = 159
  01 대화하며 상대방의 논리 파악하기
  02 읽기 자료에 담긴 주인공의 논리 파악하기
 근본욕구와 성장동기 찾기 = 165
 습관 언어 활용하기 = 168
 감각 언어 통로 활용하기 = 169
PART 05 공감을 잘 전달하려면 어떻게 말해야 하나? = 172
 기본수준의 공감 = 177
 심화수준의 공감 = 192

관련분야 신착자료

양옥경 (2022)
Ackerman, Diane (2023)
차미혜 (2022)
Haibach-Beach, Pamela S. (2024)
Goldstein, E. Bru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