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서문 = 1
Chapter 2 서론 = 5
2.1 함께 고민하기 = 5
2.2 해답 찾아보기 = 10
2.3 두 염소 이야기 = 10
2.4 두뇌훈련 = 16
Chapter 3 과학이란 무엇인가 = 19
3.1 과학이란 무엇인가? = 19
3.2 과학하는 방법 = 22
3.3 과학자들은 어디서 질문을 발견하는가? = 25
3.4 예측과 편견 = 29
Chapter 4 과학 그리고 과학주의 = 35
4.1 과학자는 어떻게 연구하는가? = 35
4.2 과학의 서열 = 37
4.3 유사성과 상이성 = 40
4.4 정직한 측정 = 43
Chapter 5 관찰, 조사 그리고 실험 = 47
5.1 관찰 = 47
5.2 가설 = 50
5.3 실험 = 55
Chapter 6 무엇을 측정하려 하는가? = 59
6.1 다양성, 표본, 모집단 = 59
6.2 무작위화 = 65
6.3 ... 그리고 맹검법 = 73
Chapter 7 측정에 관해 생각해보기 = 75
7.1 통계학을 해야만 한다면 = 75
7.2 적절한 통계학 = 80
7.3 측정 '오류'를 보여주는 두 가지 방법 = 80
7.4 변환과 크기 조정 = 81
7.5 생물학적 체계와 변이성 = 86
7.6 가설 검증 = 88
7.7 실험 후 통계 = 91
7.8 가설 검증 결과의 정직성 = 92
7.9 실험 전 통계 = 93
7.10 결론 = 95
Chapter 8 측정치의 해석 = 97
8.1 해석은 책임을 동반한다 = 97
8.2 베이스식 사고법 = 99
8.3 애매한 가정 = 101
8.4 앞과 뒤를 연결하기 = 104
8.5 결론 = 105
Chapter 9 실험의 종류 = 109
9.1 앞서 준비한 실험 = 109
9.2 실험의 종류 = 111
9.3 결핍 실험 = 112
9.4 라틴 방진과 그 외 실험 계획 = 113
9.5 결과-반전 실험 = 115
9.6 절반-반대 실험 = 122
9.7 경쟁 실험 = 125
9.8 실험 결과 = 130
9.9 빈곤한 기능과 재건 = 133
Chapter 10 이것이 답입니다. -그런데 문제가 뭐였죠? = 135
10.1 설명 = 135
10.2 신뢰가능성 = 142
10.3 숨겨진 범위 = 143
10.4 권위와 환원주의 = 148
10.5 설명의 순환과 조직화의 단계 = 152
10.6 더 나은 설명 = 155
10.7 원인과 인과성 = 157
10.8 가설, 패러다임(paradigm) 그리고 진보 = 158
10.9 결론 = 160
Chapter 11 내용과 정황 = 161
11.1 대학원생이 처한 정황 = 161
11.2 당신이 직면할 수 있는 실제적 어려움의 목록 = 162
11.3 정직과 부정직 = 164
11.4 대학원 연구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 166
11.5 내용과 정황 = 169
Chapter 12 대학원생들을 위한 제언(提言) = 173
12.1 어디서, 그리고 누구와? = 173
12.2 사회과학도 많이 공부해야 = 177
12.3 비공식적인 연구 발표 = 181
12.4 이론 구제 = 184
12.5 설명과 증명 = 186
12.6 포스터 제작 = 187
12.7 공식적인 공개 발표 = 189
12.8 과학 논문 작성 = 190
12.9 논문 작성 = 192
Chapter 13 후기 = 197
찾아보기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