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92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489892 | |
005 | 20100807081921 | |
007 | ta | |
008 | 081119s2008 ulka 000ce kor | |
020 | ▼a 9788992650168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1478657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895.745 ▼2 22 |
085 | ▼a 897.47 ▼2 DDCK | |
090 | ▼a 897.47 ▼b 정용주 고 | |
100 | 1 | ▼a 정용주 , ▼d 1962- |
245 | 1 0 | ▼a 고고춤이나 춥시다 : ▼b 정용주 에세이 / ▼d 정용주 지음. |
260 | ▼a 서울 : ▼b 푸르메 , ▼c 2008. | |
300 | ▼a 295 p. : ▼b 삽도 ; ▼c 21 cm.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47 정용주 고 | Accession No. 1115170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47 정용주 고 | Accession No. 1115170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디언의 女子>를 펴낸 시인 정용주의 산문집. 70년대에 10대를 보낸 시인의 어린시절과 사춘기 시절의 에피소드들을 그려냈다. 여주의 시골 마음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경험한 것들과 중학교 때 서울로 전학와 겪었던 사춘기 소년의 심적 변화를 소개하고 있다.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 '하루 해는 어떻게 가나'는 시인의 초등학교 시절의 이야기들이다. 소풍날 용돈을 야바위꾼 아저씨에게 날려버린 이야기, 겨울날 학교 가기보다는 새끼줄 기차놀이에 더 열중했던 동네 아이들, 술 취한 엿장수의 리어카를 끌어주는 척하며 엿 훔쳐먹던 이야기 등이 담겨 있다.
2부 '서울 물 좀 먹어보자'에서는 1년을 어린 농군으로 지내고 중학교를 들어가고 보니 어느새 다른 또래보다도 조금 어른스러워진 주인공이 겪은 에피소드들이 수록되어 있다. 3부 '설익은 인생의 맛'은 반항하는 10대 시절의 이야기를 담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글쓴이의 말-잃어버린 추억을 찾아가는 시간 여행 제1부 하루 해는 어떻게 가나 프롤로그 = 15 제비골 마을 = 17 미군부대의 천리안 = 19 소풍과 야바위꾼 = 21 뻥튀기장수 = 24 나눗고기 = 27 아, 매우 좋아요! = 30 새끼줄 기차 = 33 벼 타작하는 날 = 36 이걸 어디다 감추지? = 39 눈사람 = 42 아이스께끼 = 45 땡땡이 치기 = 49 흥식이네 식구들 = 53 너 두고 봐라! = 57 이상한 도둑 = 59 술 취한 엿장수 = 62 오빠! 엄마가 빨리 오래! = 65 옷을 벗고 뛰어라 = 68 또 안 싸우나 = 71 영동이의 죽음 = 74 아버지의 장날 선물 = 76 두 개의 상처 = 79 멧새 새끼 = 83 풋도토리 = 87 7남매의 막내 = 91 내 마음의 풍향계 = 94 의리가 밥 먹여주나 = 97 연애공작소 원두막 = 101 이상한 망아지 = 105 눈물 젖은 비빔국수 = 108 졸업 = 111 제2부 서울 물 좀 먹어보자 지포라이터와 지게 = 117 병국이 이야기 = 120 형이 사 온 책상 = 124 산비둘기 = 127 가죽 구두 = 130 형의 마음을 받다 = 133 껌은 사랑의 표시 = 136 여강원 아이들 = 139 두 명의 소장수 = 142 축구 시합 = 146 첫 여선생님 = 150 고고춤이나 춥시다 = 153 집 떠나는 굴뚝새 = 158 부뚜막의 연탄 냄새 = 161 너, 내가 누군지 알아? = 163 공터에서 보낸 시간들 = 166 선생님, 안녕하세요! = 169 그리운 시냇가 = 172 너, 다시 한번 말해봐! = 175 되긴 뭐가 돼, 임마! = 178 아! 오토바이 = 181 내가 뭐하는 놈이지? = 185 아줌마, 잠깐만 기다려요! = 189 어머니의 텃밭 = 193 성북역 그림자 = 198 한여름 밤의 꿈 = 202 오, 원더풀 투나잇! = 205 빨간 책 = 209 너에게 박수를 보낸다 = 212 제3부 설익은 인생의 맛 쌍 자크라 불린 사나이 = 219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 222 다같이 묵도하시겠습니다! = 225 나를 봐서 울지 마세요 = 228 짝사랑 = 231 졸업식 = 233 일곱 색깔 무지개 = 235 당구에 입문하다 = 239 시범을 보이다 = 242 우정의 자장면 = 245 적막의 블루스 = 249 이놈의 수학만 없다면 = 252 소울 트레인 = 256 길 없는 날들 = 260 그래도 느넨 서울놈이잖아 = 264 그 여름의 끝 = 268 첫 키스 = 271 나는 변하고 싶다 = 274 표류하는 영혼 = 278 소년은 울지 않는다 = 285 에필로그-그때 그 굴뚝새는 어디로 갔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