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6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488186 | |
005 | 20100807080228 | |
007 | ta | |
008 | 081126s2008 ulka 000a kor | |
020 | ▼a 9788993210170 | |
020 | 1 | ▼a 9788993210002(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0 ▼2 22 |
090 | ▼a 340 ▼b 2008z24 | |
100 | 1 | ▼a 이상돈 ▼0 AUTH(211009)90507 |
245 | 2 0 | ▼a (MT)법학 / ▼d 이상돈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장서가 , ▼c 2008. | |
300 | ▼a 253 p. : ▼b 색채삽도 ; ▼c 21 cm. | |
440 | ▼a 나의 미래 공부 = ▼x Map of Teens ; ▼v 17 | |
500 | ▼a 공저자: 홍성수. | |
700 | 1 | ▼a 홍성수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 2008z24 | Accession No. 1115153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 2008z24 | Accession No. 1115153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홍성수(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교수로 법사회학, 법철학, 인권법 및 인권이론, 혐오 표현, 차별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런던정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법의 이유: 영화로 이해하는 시민의 교양》, 《말이 칼이 될 때: 혐오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헤이트: 왜 혐오의 역사는 반복될까》(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혐오표현, 자유는 어떻게 해악이 되는가》(공역)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PART01. 법학 여행을 위한 안내서 study01. 법이란 무엇일까? study02. 법의 정의를 정의할 수 없는 사회? study03. 정의 실현을 꿈꾸는 꿈의 마법사, 법률가 PART02. 교수님과 함께 떠나는 법학 여행 study01. 법학은 기술일까? 학문일까? study02. 법률적용의 기본공식, 법률적 삼단논법 study03. 최적의 법규범을 찾아라! study04. 나도 법조인이 되어 볼까? PART03. 미리 보는 법학, 법의 기초제도 study01. 헌법, 국민의 권리를 정하고 국가를 조직하다 study02. 계약법, 약속을 규제하다 study03. 불법행위법, 손해를 구제하다 study04. 형법, 범죄를 처벌하다 PART04. 법조인이 되기 위한 관문! 로스쿨 vs. 사법시험 study01. 로스쿨 시대, 무엇이 달라지는 걸까? study02. 법조인이 될 수 있는 두 가지 길 study03. 로스쿨 진학을 위해 학부 전공자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study04. 예비법조인들의 핫이슈, 로스쿨 선택 PART05. 법조인들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 study01. 공명정대한 판결자, 법관(성남지방법원 판사 인터뷰) study02. 공익의 대표자로 피의자를 기소하는 검사 (수원지방검찰청 여주지청 검사 인터뷰) study03. 국민의 권리 수호자, 변호사(로펌 변호사 / 사내 변호사 인터뷰) study04. 법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법학 교수 study05. 법조인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법학도들의 이야기 PART06. 교수님들의 학문이야기 [재미통] 영화로 보는 재미있는 법 이야기 [생각박스] 사형제도에 대하여 [지식통] 교수님이 추천하는 법학 관련 책들 [호기심박스] 로스쿨 시대에 법관이나 검사가 되는 길은? [게시판] 법학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들 [계획표] 나의 미래 계획 다이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