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54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487291 | |
005 | 20100807075458 | |
007 | ta | |
008 | 081121s2008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82513299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2 |
090 | ▼a 375 ▼b 2008z8 | |
245 | 0 0 | ▼a 교육과정 강의 = ▼x Curriculum studies / ▼d 김성훈 편저. |
260 | ▼a 서울 : ▼b 동문사 , ▼c 2008. | |
300 | ▼a 186 p.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177-180)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성훈 ▼g 金成勳 , ▼e 편.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8z8 | 등록번호 1115141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8z8 | 등록번호 1115141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성훈(지은이)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캐나다 앨버타 대학에서 교육학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2007년부터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교육에 관한 역사철학적 연구를 해왔고, 최근에는 서양 지성사 및 문화사 전반으로 지적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영국의 교육사상가들』(2010)과 『교육사상 탐구』(2020)가 있고, 옮긴 책으로 『루소 교육 소저작』(2016), 『(에라스무스)아동교육론』(2017/2007), 『(에라스무스)교육방법론』(2019) 등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 『교육학 명문 100선』(2016/2013)이 있다.

목차
목차 Chapter 1 교육과정의 개관 01 교육과정의 역사 = 9 02 교육과정의 재영토화 = 13 03 교육과정의 개념 = 16 04 교육과정의 의미 = 21 05 교육과정의 변화 = 23 06 교육과정의 미래 = 28 07 학교교육의 미래 = 33 Chapter 2 교육과정의 모형 01 교육과정의 관점 = 43 02 교육과정의 가치체계 = 45 03 교육과정의 개발 = 52 04 교육과정의 탐구 = 54 05 교육과정의 평가 = 57 Chapter 3 전통주의 & 개념적-경험주의 01 교육과정의 개발 = 65 02 Ralph Tyler의 재평가 = 71 03 개념적-경험주의 = 75 Chapter 4 재개념주의 01 교육과정 문화의 재구조화 = 105 02 교육과정, 주관적인 의식의 세계 = 109 03 "복잡한 대화"로의 회귀 = 112 04 교육과정의 치료 = 114 05 교육과정의 실행을 다시 생각함 = 117 06 이론과 실제의 문제 = 122 07 교육과정 학자와 교사의 관계 = 127 Chapter 5 비판이론 01 교과서의 정치학 = 133 02 수업과 교육과정의 통제 = 141 03 교육의 상업화 = 145 04 세계화, 교육, 교육과정 = 151 Chapter 6 교육과정과 교사 01 교사가 교육과정을 만났을 때 = 163 02 창의적인 해석자로서 교사 = 167 03 교육과정의 "즉흥연주" = 170 04 교육과정 개혁과 교사 = 173 참고문헌 = 177 찾아보기 =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