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8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486844 | |
005 | 20100807074956 | |
007 | ta | |
008 | 081119s2008 ulk 001a kor | |
020 | ▼a 9788949905914 ▼g 94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503 ▼2 22 |
085 | ▼a 953.5906 ▼2 DDCK | |
090 | ▼a 953.5906 ▼b 2008 | |
100 | 1 | ▼a 강대민 ▼0 AUTH(211009)39870 |
245 | 1 0 | ▼a 근대 부산의 민족운동 / ▼d 강대민. |
260 | ▼a 서울 : ▼b 京仁文化社 , ▼c 2008. | |
300 | ▼a x, 431 p. ; ▼c 23 cm. | |
440 | 0 0 | ▼a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v 67 |
500 | ▼a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작은 2006년도 경성대학교 학술연구지원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
740 | ▼a 민족운동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115133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115133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512667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115133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115133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5906 2008 | Accession No. 1512667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강대민(지은이)
경남 산청 출생으로 부산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성대학교 인문문화학부(사학전공) 교수 겸 한국학연구소장으로 재임 중이다. 경성대학교 인문학부장, 박물관장, 학생처장, 한국보훈학회 부산지회장, 박차정의사 기념사업회 부회장, 부산항일학생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조선통신사학회 회장, 부산시 시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부산시문화재 위원, 국립 해양박물관 유물심의 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대학생을 위한 한국사 산책(공저)≫ (신서원), ≪부산지역 학생운동사≫ (국학자료원), ≪근대 부산의 민족운동≫ (경인문화사), ≪한국근현대사론≫ (도서출판 봄길) 등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제1장 부산지역 항일운동사의 지평 = 1 제1절 부산사의 회고와 전망 = 3 1. 들어가며 = 3 2. 부산사의 성격 규정에 대한 고찰 = 5 3. 부산사 연구를 위한 제언 = 19 4. 맺으며 = 24 제2절 근대 부산사 연구의 회고 = 26 1. 들어가며 = 26 2. 개항기 부산사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9 3. 개항기 부산사 연구를 위한 제언 = 37 4. 맺으며 = 44 제3절 개항 이후 부산과 일본 - 일본조계 설치를 중심으로 - = 45 1. 들어가며 = 45 2. 일본의 단독조계설정 경위 = 47 3. 일본 조계지의 확대기도 = 49 4. 일본 조계에 설립한 경제침투기구 = 54 5. 부산지방민의 항일투쟁 = 57 6. 맺음말 = 60 제4절 부산 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 62 1. 들어가며 = 62 2. 부산지역 독립운동의 전통 = 63 3. 부산지역 항일독립운동정신 계승 = 77 4. 맺으며 = 93 제5절 일제하 부산 지역의 사회운동 - 1920년대 동래 지역을 중심으로 - = 96 1. 들어가며 = 96 2. 1920년대 전반기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 97 3. 20년대 중후반기 청년연맹과 청년동맹의 활동 = 104 4. 신간회 및 근우회 동래지회 활동 = 114 5. 맺으며 = 118 제2장 유림과 민족운동 = 123 제1절 허전 문도의 의병운동 = 125 1. 들어가며 = 125 2. 저술과 학통 = 126 3. 문도의 지역별 분포 = 130 4. 을미의병운동의 특징 = 141 5. 문도의 의병운동 = 145 6. 맺으며 = 156 제2절 허전 문도의 애국운동 = 158 1. 들어가며 = 158 2. 문도의 국외 애국운동 = 160 3. 문도의 국내 애국운동 = 169 4. 맺으며 = 179 제3절 파리장서와 영남유림 = 180 1. 들어가며 = 180 2. 1910년대 영남유림의 동향과 3ㆍ1독립만세운동 = 182 3. 파리장서운동과 허전 문도 = 191 4. 맺으며 = 200 제3장 항일의 전통 = 203 제1절 백산 안희재의 대동청년단운동 = 205 1. 들어가며 = 205 2. 백산의 생애 = 206 3. 대동청년단의 결성 = 212 4. 대동청년단의 구성 = 214 5. 대동청년단의 활동 = 219 6. 맺으며 = 229 제2절 장건상의 생애와 항일 = 231 1. 들어가며 = 231 2. 출생과 성장 = 233 3. 독립운동의 전개 = 242 4. 독립노선 = 279 5. 맺으며 = 286 제3절 김대지의 항일 = 289 1. 들어가며 = 289 2. 출생과 성장 = 291 3. 독립운동의 전개 = 294 4. 맺으며 = 331 제4절 박차정의 생애와 항일 = 333 1. 들어가며 = 333 2. 출생과 항일가정에서의 성장 = 334 3. 근우회 지도자로서의 활동 = 338 4. 중국 망명과 의열 활동 = 342 5. 맺으며 = 353 제5절 양정욱의 항일 = 355 1. 들어가며 = 355 2. 생애 = 358 3. 1920년대의 항일독립운동 = 361 4. 양정욱의 항일과 革朝會 = 371 5. 맺으며 = 376 제4장 더 넓은 수평선에 서다 = 379 제1절 한말 일본 유학생의 계몽사상 = 381 1. 들어가며 = 381 2. 정치사상 = 383 3. 사회사상 = 390 4. 경제사상 = 396 5. 교육사상 = 402 6. 맺으며 = 408 제2절 8ㆍ15 해방의 역사적 의의 = 411 1. 들어가며 = 411 2.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 = 413 3. 과거사 청산과 진실규명 = 417 4. 맺으며 = 414 찾아보기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