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8camcc2200241 k 4500 | |
001 | 000045485802 | |
005 | 20121201120445 | |
007 | ta | |
008 | 080930s2008 ggkag b 000c kor | |
020 | ▼a 9788946039537 ▼g 03670 | |
035 | ▼a (KERIS)BIB000011449269 | |
040 | ▼a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780.89/957047 ▼a 781.62957047 ▼2 22 |
085 | ▼a 780.8997047 ▼2 DDCK | |
090 | ▼a 780.8997047 ▼b 2008 | |
100 | 1 | ▼a 김보희 |
245 | 1 0 | ▼a 소비에트 고려민족의 노래 = ▼x Эабытые песни российских кореицев / ▼d 김보희 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 ▼c 2008. | |
300 | ▼a 261 p. : ▼b 삽화, 악보 ; ▼c 26 cm | |
440 | 0 0 | ▼a 한민족 노래 연구 ; ▼v 1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8997047 2008 | Accession No. 1115112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중앙아시아와 극동러시아 일대를 8차례 답사해 고려인의 노래 700여 곡을 채록하고 100여 곡을 채보했다. 또한 <레닌기치>와 <선봉>, <고려일보>에 실린 창작곡을 찾아냈다. 이 책은 그중에서 1937년 강제이주를 전후한 시기에 고려인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를 골라 악보와 함께 해설을 붙인 것이다.
1부 ‘고려인 노래의 갈래’는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이 고려인 음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설명한다. 중국, 러시아, 일본, 서양의 음악과 정체성을 지키려는 디아스포라적 특성이 만나 고려인 음악의 특징으로 자리 잡은 혼종 현상에 대한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
2부 ‘악보로 보는 고려인 노래’ 100여 편의 노래를 민요·신민요, 창가·유행가, 독립운동가, 창작가요로 분류하여 악보, 가사와 함께 수록했다. 곡과 작사·작곡가에 대한 간략한 해설을 곁들여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고려인들의 노래에 친근감을 불어넣어 준다.
노래로 되살아나는 고려인들의 좌절과 희망, 그리고 삶
소비에트 고려인들이 겪어낸 질곡의 세월과 디아스포라적 정서를 악보에 되살린 책
조선 말부터 일제 강점기를 지나는 동안 이런저런 사연을 안고 소비에트로 건너가 새 삶을 꾸려야 했던 고려인들은 좌절과 아픔으로 얼룩진 세월을 보내야 했다. 따라서 그들의 노래에는 격동의 근현대사를 헤쳐 온 한민족의 끈질기고 강건한 생활이 배어 있으며, 좌절과 희망의 정서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더구나 그들은 강제이주 전인 연해주 시절의 노래를 모국의 노래로 기억해 면면히 전승하면서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켜왔다.
저자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중앙아시아와 극동러시아 일대를 8차례 답사해 고려인의 노래 700여 곡을 채록하고 100여 곡을 채보했다. 또한 <레닌기치>와 <선봉>, <고려일보>에 실린 창작곡을 찾아냈다. 이 책은 그중에서 1937년 강제이주를 전후한 시기에 고려인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를 골라 악보와 함께 해설을 붙인 것이다. 기억에서 멀어지는 고려인을 한 번쯤 되돌아보게 하고 한민족 음악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이 책은 하나의 토대가 될 것이다.
[내용소개]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뉜다.
1부 ‘고려인 노래의 갈래’는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적 특성이 고려인 음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중국, 러시아, 일본, 서양의 음악과 정체성을 지키려는 디아스포라적 특성이 만나 고려인 음악의 특징으로 자리 잡은 혼종 현상에 대한 설명이 흥미롭게 서술되어 있다.
2부 ‘악보로 보는 고려인 노래’100여 편의 노래를 민요·신민요, 창가·유행가, 독립운동가, 창작가요로 분류하여 악보, 가사와 함께 수록한 것이다. 한편 곡과 작사·작곡가에 대한 간략한 해설을 곁들여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고려인들의 노래에 친근감을 불어넣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차례 책머리에 = 4 1부 고려인 노래의 갈래 1. 머리말 = 13 2. 고려인 노래의 선행 연구 = 14 3. 고려인의 전래가요 = 17 4. 원동시절의 가요 = 21 전래가요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노래 = 21 일제 강점기의 영향을 받은 민요풍 창가 = 26 5. 고려인의 창작가요 = 31 민요풍의 창작가요 = 35 창가풍의 창작가요 = 37 서양 음악풍의 창작가요 = 39 6. 맺음말 = 4l 참고 자료 = 43 2부 악보로 보는 고려인의 노래 민요ㆍ신민요 1. 금강산 타령 = 48 2. 기생점고 = 50 3. 노 젓는 노래 = 52 4. 담바구 타령 = 54 5. 도라지 타령 = 57 6. 몽금포 타령 = 60 7. 방아 타령 = 62 8. 밭갈이 타령 = 64 9. 산염불 = 66 10. 소방울 소리 = 67 11. 신아리랑 타령 = 69 12. 아리랑 = 71 13. 아리랑(김형수) = 73 14. 아스랑가 = 75 15. 야장들의 노래 = 78 16. 영변가 = 80 17. 오봉산 타령 = 82 18. 울산 타령 = 84 19. 조선팔경가 = 86 20. 창덕궁 = 88 21. 화토 노래 = 90 22. 함경도 농부가 = 94 창가ㆍ유행가 1. 강 건너 천리길 = 96 2. 강남달(하월유수) = 98 3. 기쁜 날 = 100 4. 김영찬 = 102 5. 까르리가슈 = 106 6. 꼬무나의 세상 = 108 7. 낙동강(달빛 아래 칠백 리) = 110 8.노란 꾀꼬리 = 112 9. 다 먹어리 = 114 10. 달걸이 = 117 11. 망향가 = 119 12. 모쓰크와 교외의 밤 = 121 13. 베 짜는 처녀 = 124 14. 사랑의 불길 = 126 15. 세계 일주가 = 128 16. 세모일가 = 130 17. 수일가 = 132 18. 시들은 방초 = 136 19. 십진가 = 138 20. 쌍동이들 = 140 21. 아버지와 딸 = 143 22. 야블로츠카 = 145 23. 양만리 천리길 = 146 24. 오월 일일 = 148 25. 울며 헤어진 부산항 = 150 26. 월야강변 = 152 27. 이별가 = 154 28. 이별의 쌍고동 = 156 29. 인떼르나치오날 = 158 30. 크림반도 = 160 31. 혼인예식가 = 162 32. 혼인예식노래 = 164 33. 황제 러시아 = 166 34. 황초령 = 168 독립운동가 1. 간도 토벌가 = 170 2. 경성감옥가 = 172 3. 독립군가 = 174 4. 독수리 = 176 5. 용진가 = 178 6. 유대적 행진곡 = 180 7. 이곳은 우리나라 아니언만은 = 182 8. 정옥가 = 184 9. 학도가 = 186 10. 포악한 원수야 = 188 11. 한양감옥 = 189 12. 혁명가 = 190 창작가요 1. 고운 댕기 = 192 2. 낭만의 벌판 = 194 3. 내 사랑아 = 197 4. 동기 방학 = 199 5. 동철 씨 = 201 6. 뜨락또리스트의 노래 = 203 7. 목화 따는 처녀 = 206 8. 무지개 = 208 9. 방아 = 210 10. 봄 노래 = 212 11. 삼월 팔일 = 214 12. 씨를 활활 뿌려라 = 216 13. 아그로놈의 사랑 = 218 14. 압록강 떼모리 = 221 15. 양 치는 처녀 = 223 16. 옥수수 노래 = 225 17. 옥야천리 치르치크 벌 = 228 18. 우리 농촌 아가씨들 = 230 19. 우리 엄마 = 232 20. 유쾌한 배달부 = 233 21. 정녕코 좋다 = 235 22. 치르치크 풍년 벌 = 237 23. 파란 풀 = 239 24. 처녀의 약속 = 242 25. 파종에 나선 맘 = 244 26. 풍년 노래 = 246 27. 행세범절 = 249 참고 자료 = 252 부표 : 《레닌기치》에 실린 창작 가요 목록 =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