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16n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485778 | |
005 | 20121201122336 | |
007 | ta | |
008 | 081114s2008 bnka FM 001c kor | |
020 | ▼a 9788973141920 ▼g 94600 | |
020 | 1 | ▼a 9788973141357 (set)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50 | 1 4 | ▼a N380 ▼b .M67917 2008 |
082 | 0 4 | ▼a 700/.7/22 ▼2 22 |
085 | ▼a 700.722 ▼2 DDCK | |
090 | ▼a 700.722 ▼b 2008 | |
100 | 1 | ▼a Moxey, Keith P. F., ▼d 1943- ▼0 AUTH(211009)133192 |
245 | 1 0 | ▼a 설득의 실천 : ▼b 미술사의 역설과 권력 / ▼d 키스 먹시 지음 ; ▼e 조주연 옮김 |
246 | 1 9 | ▼a (The) practice of persuasion : ▼b paradox and power in art history |
260 | ▼a 부산 : ▼b 경성대학교 출판부, ▼c 2008 | |
300 | ▼a 224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경성대문화총서 ; ▼v 8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Art ▼x Historiography |
650 | 0 | ▼a Art criticism ▼x Methodology |
700 | 1 | ▼a 조주연, ▼d 1963-, ▼e 역 ▼0 AUTH(211009)17465 |
900 | 1 0 | ▼a 먹시, 키스, ▼e 저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722 2008 | 등록번호 1115113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722 2008 | 등록번호 1115113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키스 먹시(지은이)
2008년 현재 버너드 컬리지와 컬럼비아 대학교 미술사학과의 앤 휘트니 올린 교수다. 미술사의 역사와 철학 그리고 16세기 북유럽 회화와 판화에 관한 책들을 썼다. 《이론의 실천》 이외에도 단독 저서로 《설득의 실천: 미술사의 역설과 권력(The Practice of Persuasion: Paradox and Power in Art History》(2001), 《농부와 전사와 아내들: 종교개혁기의 대중적 이미지(Peasants, Warriors, and Wives: Popular Imagery in the Reformation)》(1989)가 있고, 또 《미술사학, 미학, 시각문화(Art History, Aesthetics, Visual Culture)》(2002), 《미술사의 주제: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 역사적 대상(The Subjects of Art History: Historical Objects in Contemporary Perspective)》(1998), 《시각문화: 이미지와 해석(Visual Culture: Images and Interpretations》(1994), 《시각이론: 회화와 해석(Visual Theory: Painting and Interpretation)》(1991) 같은 여럿 논문 총서를 공동 편집하기도 했다.
조주연(옮긴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미술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대미술의 미학적 기원과 전개를 밝힌 『현대미술 강의』를 썼다. 이후 사진을 중심으로 현대미술과 동시대 미술이 연접 또는 이접하는 지점을 연구하는 한편, 최근에는 현대 조각의 미학적 독창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비포 앤 애프터: 사진 이론의 약진과 롤랑 바르트」, 「벤야민과 바르트 사이: 수잔 손택의 사진론」 등의 논문을 썼으며, 옮긴 책으로는 『소극 다음은 무엇?』, 『60년대 미술』, 『강박적 아름다움』, 『롤랑 바르트의 사진』, 『실재의 귀환』(공역)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도판 = 8 감사의 글 = 9 저자 서문 = 13 서론 설득의 정치학 = 17 1장 미술사의 헤겔주의적 무의식: 초기 네델란드 회화 연구의 민족주의로서의 자연주의 = 27 2장 역사, 허구, 기억: 리멘슈나이더와 설득의 위험 = 71 3장 역사에 동기를 부여하기 = 103 4장 원근법, 파노프스키, 역사철학 = 137 5장 실재적인 것에 대한 향수: 미술사와 시각연구의 난감한 관계 = 155 6장「저자의 죽음」의 죽음 이후 = 183 옮긴이의 말 = 209 찾아보기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