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학의 이론과 적용

문학의 이론과 적용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정호 權正浩, 1942- 송희복 宋喜復, 1957-, 저
서명 / 저자사항
문학의 이론과 적용 / 권정호, 송희복
발행사항
대구 :   홍익,   2003  
형태사항
288 p. ; 23 cm
ISBN
8978260225
000 00627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485647
005 20121129161158
007 ta
008 991113s2003 tgk 000c kor
020 ▼a 8978260225 ▼g 93810
035 ▼a (KERIS)BIB000010086243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801 ▼2 22
085 ▼a 801 ▼2 DDCK
090 ▼a 801 ▼b 2003L1
100 1 ▼a 권정호 ▼g 權正浩, ▼d 1942- ▼0 AUTH(211009)7718
245 1 0 ▼a 문학의 이론과 적용 / ▼d 권정호, ▼e 송희복
260 ▼a 대구 : ▼b 홍익, ▼c 2003
300 ▼a 288 p. ; ▼c 23 cm
700 1 ▼a 송희복 ▼g 宋喜復, ▼d 1957-, ▼e▼0 AUTH(211009)100218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3L1 등록번호 1115113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801 2003L1 등록번호 111511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문학일반론
 1. 문학이라는 용어의 문제 = 11
 2. 문학의 쓰임과 즐거움 = 15
 3. 장르론의 시각과 재인식 = 25
제2장 시론
 1. 시의 정의 : 네 가지 관점 = 37
  (1) 모방론의 관점 = 38
  (2) 표현론의 관점 = 39
  (3) 효용론의 관점 = 41
  (4) 존재론의 관점 = 41
 2. 서정시가 지향하는 시계의 본질 = 46
 3. 시의 형식적 구성 요소 = 49
  (1) 시어 = 49
  (2) 운율 = 53
  (3) 화자 = 54
  (4) 이미지 = 56
  (5) 비유와 상징 = 58
 4. 현대시의 양상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61
  (1) 모더니즘 시 = 61
  (2) 포스트모던한 시 = 64
제3장 소설론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71
  (1) 소설의 명칭과 그 개념 = 71
  (2) 소설의 기원 = 77
  (3) 소설의 정의 = 83
  (4) 소설의 특성 = 85
  (5) 소설의 기능 = 91
  (6)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96
 2. 소설의 구성요소 = 98
  (1) 인물, 성격 = 100
  (2) 구성 = 114
  (3) 배경 = 128
  (4) 주제 = 137
  (5) 시점 = 148
  (6) 그 밖의 요소 = 155
 3. 소설의 유형 = 163
  (1) 분량에 의한 소설의 분류 = 164
  (2) A. 티보테의 소설의 3유형 = 170
  (3) E. 뮈어의 소설의 3유형 = 171
제4장 영상문학론
 1. 영화란 무엇인가 = 177
 2. 영화의 형식적 조건 = 178
  (1) 영상언어 = 178
  (2) 이미지의 수사학 = 180
  (3) 장르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 = 185
 3. 영화의 문학성, 영상문학의 가능성 = 186
 4. 영화 산업 속의 문학의 실상 = 191
 5. 영상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192
제5장 대중문학론
 1. 무엇이, 왜 대중문학인가 = 197
 2. 대중문학의 현황 = 199
  (1) 시와 대중문화의 교섭 양상 = 199
  (2) 대중소설의 하위 장르 = 204
  (3) 동시대의 현상 : 김진명, 팬터지, 멜로물 = 209
 3. 대중문학 연구의 방법 = 214
  (1) 문화운동에 의한 한 방법론 = 214
  (2) 문화연구를 지향하는 방법론 = 218
  (3) 문화비평으로서의 방법론 = 223
 4. 성찰과 전망의 분기점 = 227
제6장 문예사조론
 1. 문예사조란 무엇인가 = 233
 2. 문예사조론에서 간과되기 쉬운 개념들 = 235
  (1) 예술양식사 = 235
  (2) 고디시즘/낭만주의/포스트로맨티시즘 = 238
  (3) 에로티시즘 = 241
  (4) 유미주의와 세기말 사조 = 242
 3. 반사조론(反思潮論) = 243
부록 : 몇 가지 읽을거리
 1. 비극과 멜로드라마 / 김성희 = 247
 2. 문예창작 :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 빌렘 플루서 = 257
 3. 욕망을 뛰어넘는 사랑과 의지 / 김주연 = 263
 4. 풀꽃이 되어/心琴 / 정목일 = 265
 5. 새를 기다리며 / 황영옥 = 2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