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문학일반론
1. 문학이라는 용어의 문제 = 11
2. 문학의 쓰임과 즐거움 = 15
3. 장르론의 시각과 재인식 = 25
제2장 시론
1. 시의 정의 : 네 가지 관점 = 37
(1) 모방론의 관점 = 38
(2) 표현론의 관점 = 39
(3) 효용론의 관점 = 41
(4) 존재론의 관점 = 41
2. 서정시가 지향하는 시계의 본질 = 46
3. 시의 형식적 구성 요소 = 49
(1) 시어 = 49
(2) 운율 = 53
(3) 화자 = 54
(4) 이미지 = 56
(5) 비유와 상징 = 58
4. 현대시의 양상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61
(1) 모더니즘 시 = 61
(2) 포스트모던한 시 = 64
제3장 소설론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71
(1) 소설의 명칭과 그 개념 = 71
(2) 소설의 기원 = 77
(3) 소설의 정의 = 83
(4) 소설의 특성 = 85
(5) 소설의 기능 = 91
(6)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96
2. 소설의 구성요소 = 98
(1) 인물, 성격 = 100
(2) 구성 = 114
(3) 배경 = 128
(4) 주제 = 137
(5) 시점 = 148
(6) 그 밖의 요소 = 155
3. 소설의 유형 = 163
(1) 분량에 의한 소설의 분류 = 164
(2) A. 티보테의 소설의 3유형 = 170
(3) E. 뮈어의 소설의 3유형 = 171
제4장 영상문학론
1. 영화란 무엇인가 = 177
2. 영화의 형식적 조건 = 178
(1) 영상언어 = 178
(2) 이미지의 수사학 = 180
(3) 장르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 = 185
3. 영화의 문학성, 영상문학의 가능성 = 186
4. 영화 산업 속의 문학의 실상 = 191
5. 영상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192
제5장 대중문학론
1. 무엇이, 왜 대중문학인가 = 197
2. 대중문학의 현황 = 199
(1) 시와 대중문화의 교섭 양상 = 199
(2) 대중소설의 하위 장르 = 204
(3) 동시대의 현상 : 김진명, 팬터지, 멜로물 = 209
3. 대중문학 연구의 방법 = 214
(1) 문화운동에 의한 한 방법론 = 214
(2) 문화연구를 지향하는 방법론 = 218
(3) 문화비평으로서의 방법론 = 223
4. 성찰과 전망의 분기점 = 227
제6장 문예사조론
1. 문예사조란 무엇인가 = 233
2. 문예사조론에서 간과되기 쉬운 개념들 = 235
(1) 예술양식사 = 235
(2) 고디시즘/낭만주의/포스트로맨티시즘 = 238
(3) 에로티시즘 = 241
(4) 유미주의와 세기말 사조 = 242
3. 반사조론(反思潮論) = 243
부록 : 몇 가지 읽을거리
1. 비극과 멜로드라마 / 김성희 = 247
2. 문예창작 :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 빌렘 플루서 = 257
3. 욕망을 뛰어넘는 사랑과 의지 / 김주연 = 263
4. 풀꽃이 되어/心琴 / 정목일 = 265
5. 새를 기다리며 / 황영옥 = 271